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COPUS

      지역거점공공병원 주출입구 평면유형에 따른 감염병 대응 사례연구 = Infectious Disease Response Based on the Main Entrance Plan Type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619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entrances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fter the spread of COVID-19and to suggest direction for entrance planning in case of future epidemics. The infection control response guideli...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in entrances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after the spread of COVID-19and to suggest direction for entrance planning in case of future epidemics. The infection control response guidelines were examined, andeight regional public hospitals were visited to research the current entrance access procedures while interviewing hospital facility managers.
      The purpose of the equipment and facilities installed for infectious disease response and changes in the main entrance area were analyzed byits architectural floor plans. Problems were then derived upon examining the required elements at the entrance and the newly added infectiousdisease response of visitors flow and procedure. The floor plan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was classified into four plan types, and theimprovement direction of the entrance layout during an infectious disease epidemic was presen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different responses of entrance procedure with the same plan type. In addition, the suitable entrance flow and procedure reflecting the relativedifferences and various aspects of each plan type was derived.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future as basic data for the architecturalplanning direction of a new hospit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감염병에 대응하는 지역공공병원 정문 사례를 조사하고 향후 감염병 발생 시 입실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감염...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감염병에 대응하는 지역공공병원 정문 사례를 조사하고 향후 감염병 발생 시 입실계획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감염관리 대응 지침을 조사하고 8개 지역 공공의료원을 방문하여 입구에서 현재 접근 절차를 조사하고 병원 시설 관리자를 인터뷰했다. 본 현장조사에서는 감염병 대응을 위해 설치된 장비 및 시설의 용도를 분석하였다. 둘째, 공공의료원 주출입구 변화를 평면을 활용해 분석했다. 주출입구에서 방문객 동선에 따라 진행되는 감염병 대응 절차와 추가된 시설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했다. 셋째, 지역공공병원 평면도를 4가지 계획유형으로 분류하고, 감염병 유행시 출입구 배치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플랜 유형에 대해서도 입학 절차에 대한 응답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계획 유형의 상대적인 차이와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여 적절한 진입 흐름과 절차를 도출했다. 본 연구는 향후 새로운 의료건축계획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