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퀴나스 존재론의 교육학적 함의 = An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Aquinas' Ont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51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퀴나스의 관점에서 형이상학의 근본문제는 존재자 안에서 존재와 본질은 어떤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가 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이는 본질의 탐구에 주안점을 두었던 기존의 입장과는 매우 다른 것이다. 아퀴나스의 존재론에 의하면, 이 세계는 존재와 본질의 관련방식에 따라 위계가 다른 두 가지 존재자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와 본질의 결합으로 비로소 존재하는 보통의 존재자와, 존재가 곧 본질인 특별한 존재자―창조주―가 그것이다. 아퀴나스의 존재론은 이 두 존재자 사이의 차이와 관련을 밝힘으로써 인간이 어떻게 신의 경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인간은 존재 그 자체를 보도록 노력하는 일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완성시켜나가며 이것은 교육의 목적과 다른 것이 아니다.
      번역하기

      아퀴나스의 관점에서 형이상학의 근본문제는 존재자 안에서 존재와 본질은 어떤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가 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이는 본질의 탐구에 주안점을 두었던 기존의 입장과는 매...

      아퀴나스의 관점에서 형이상학의 근본문제는 존재자 안에서 존재와 본질은 어떤 방식으로 관련되어 있는가 하는 것으로 규정된다. 이는 본질의 탐구에 주안점을 두었던 기존의 입장과는 매우 다른 것이다. 아퀴나스의 존재론에 의하면, 이 세계는 존재와 본질의 관련방식에 따라 위계가 다른 두 가지 존재자로 이루어져 있다. 존재와 본질의 결합으로 비로소 존재하는 보통의 존재자와, 존재가 곧 본질인 특별한 존재자―창조주―가 그것이다. 아퀴나스의 존재론은 이 두 존재자 사이의 차이와 관련을 밝힘으로써 인간이 어떻게 신의 경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인간은 존재 그 자체를 보도록 노력하는 일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완성시켜나가며 이것은 교육의 목적과 다른 것이 아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sse as the core concept of metaphysics of Thomas Aquinas and deduct the implications about the aim of education from it. In the viewpoint of Aquinas, the basic question of metaphysics is how esse is related to essentia in ens. According to his idea, Ens is composed of two forces, i.e. esse and esentia. Ens means that which is, or exist. Esse is what is innermost in everything, and esse signifies the act of existing. Essentia signifies something common to all natures, through which diverse beings are placed in diverse genera and species. Aquinas' concern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andpoint which has focused on studying essentia. According to the mataphysics of Aquinas, this world is made up of two different kinds of being, i.e. God that is esse itself and creatures that are composed of esse and essentia. In spite of this difference both of them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As Aquinas' ontology deals with 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lds, it clearly shows how a man can arrive at his complete fulfillment. The perfection of self as the aim of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 man's efforts―to contemplate being itself.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sse as the core concept of metaphysics of Thomas Aquinas and deduct the implications about the aim of education from it. In the viewpoint of Aquinas, the basic question of metaphysics is how esse is relat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sse as the core concept of metaphysics of Thomas Aquinas and deduct the implications about the aim of education from it. In the viewpoint of Aquinas, the basic question of metaphysics is how esse is related to essentia in ens. According to his idea, Ens is composed of two forces, i.e. esse and esentia. Ens means that which is, or exist. Esse is what is innermost in everything, and esse signifies the act of existing. Essentia signifies something common to all natures, through which diverse beings are placed in diverse genera and species. Aquinas' concern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andpoint which has focused on studying essentia. According to the mataphysics of Aquinas, this world is made up of two different kinds of being, i.e. God that is esse itself and creatures that are composed of esse and essentia. In spite of this difference both of them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As Aquinas' ontology deals with 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lds, it clearly shows how a man can arrive at his complete fulfillment. The perfection of self as the aim of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a man's efforts―to contemplate being itself.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태, "학생 평가의 기준 탐색: 인격성과 지식의 관계에 관한 마리땡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7 (27): 61-90, 2000

      2 임병덕,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의 도덕적 의미" 한국도덕교육학회 18 (18): 27-46, 2006

      3 이홍우, "특별 기고 : 메타프락시스 서설" 한국도덕교육학회 20 (20): 337-347, 2009

      4 Elders, Leo J.,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가톨릭출판사 2003

      5 장욱,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 존재와 진리" 동과서 2003

      6 장건익,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와 실존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11 : 143-164, 2003

      7 김율,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개념과 형이상학적 탐구의 구조"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13) : 187-212, 2008

      8 Rassam, Joseph, "토마스 아퀴나스:존재의 형이상학" 도서출판 누멘 2009

      9 Pieper, Josef, "토마스 아퀴나스" 분도출판사 1995

      10 Maritain, J., "철학의 근본 이해" 서광사 1984

      1 조영태, "학생 평가의 기준 탐색: 인격성과 지식의 관계에 관한 마리땡의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7 (27): 61-90, 2000

      2 임병덕,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 교과의 도덕적 의미" 한국도덕교육학회 18 (18): 27-46, 2006

      3 이홍우, "특별 기고 : 메타프락시스 서설" 한국도덕교육학회 20 (20): 337-347, 2009

      4 Elders, Leo J.,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가톨릭출판사 2003

      5 장욱, "토마스 아퀴나스의 철학: 존재와 진리" 동과서 2003

      6 장건익,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와 실존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11 : 143-164, 2003

      7 김율,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 개념과 형이상학적 탐구의 구조"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13) : 187-212, 2008

      8 Rassam, Joseph, "토마스 아퀴나스:존재의 형이상학" 도서출판 누멘 2009

      9 Pieper, Josef, "토마스 아퀴나스" 분도출판사 1995

      10 Maritain, J., "철학의 근본 이해" 서광사 1984

      11 Gilson, E., "존재란 무엇인가" 서광사 1992

      12 홍지희, "인격의 개념과 교육"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3 Sasso, Giacomo Dal, "신학대전 요약" 가톨릭출판사 1993

      14 김승호, "스콜라주의 교육목적론"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6

      15 Boyd, W., "서양교육사" 교육과학사 2008

      16 김안중, "메논의 요약 및 해설" 한국교육개발원 9 (9): 27-42, 1982

      17 이홍우, "대승기신론 통석" 김영사 2006

      18 김안중, "교사의 미덕으로서의 여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7 (7): 45-71, 1994

      19 "개역 성경" 대한성서공회

      20 Pieper, Josef, "the Basis of Culture" Mentor Book 1952

      21 Sontag, Frederick, "Problems of Metaphysics" Chandler Publishing Company 1970

      22 Aquinas, Thomas, "On Being and Essence" Pontifical Institute of Medieval Studies 1968

      23 Maurer, A., "Medieval Philosophy" Random House 1962

      24 Maritain, J., "Individuality and Personality. in: The Person and the Common Good"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66

      25 Maritain, J., "Education at the Crossroads" Yale University Press 1943

      26 Aquinas, Thomas, "De Ente et Essentia" Summa Theologiae

      27 Aquinas, Thomas, "De Ente et Essentia" Boethium de Hebdomadibus

      28 Aquinas, Thomas, "De Ente et Essentia" Summa contra gentiles

      29 Copleston, F. C., "Aquinas" Penguin Books 1991

      30 Maritain, J., "A preface to Metaphysics" Sheed and Ward 194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10-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1.316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