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현대중국어의 상황상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슬라브 언어(Slavic language)에서 관점상(viewpoint aspect)은 완료상(perfective aspect)과 비완료상(imperfective aspect)의 대립으로 나타나고 그 중 완료상은 보통 ‘전체성’(totality)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에 대한 연구가 다른 언어로 확대되면서 비슬라브어에도 완료상이 ‘전체성’의 의미를 갖는 것처럼 오해되곤 한다. 중국어의 상 연구에서도 완료상 표지(perfective marker) ‘Le’는 ‘전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장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어의 상 개념(aspectual concept)에서도 ‘전체성’이 배제되는 것처럼 중국어의 상 개념에서도 ‘전체성’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관점상은 언어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관점상이 언어마다 차이가 있다는 점은 그래도 많이 알려져 있는데 반해, 상황상(situation aspect)은 모든 언어에서 유사하게 존재하는 것처럼 알려져왔다. 실제로 Smith(1991)는 상황상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여러 언어에 적용시킨 바 있다. 그러나 필자는 상황상의 분류에서 그 근거가 되는 것은 역시 관점상이기 때문에, 관점상이 언어에 따라 차이가 있다면 상황상 역시 언어마다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 따라서 상황상의 연구를 위해서는 관점상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필자는 먼저 관점상 표지들을 검토해보았다. 먼저 완료상 표지 ‘Le’는 ‘전체성’을 나타내는게 아니라, 어떤 경계(그것이 시작경계이든intial boundary 종점경계이든간에terminal boundary)를 포함하는 상황이 상대적인 과거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또 중국어에서 ‘Zai’와 Zhe’는 각각 ‘진행 표지’(progressive marker)와 ‘지속 표지’(durative marker)로서 전자는 어떤 상황의 내부적인 구성에 변화(change)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구별하고 후자는 어떤 상황이 시간적으로 지속 가능한지 여부를 구분한다. 다시 말해 전자는 동태적 상황의 지속을, 후자는 정태적 상황의 지속을 나타낸다. 이 외에 ‘Guo’ 등은 상황상 분류에서 그리 중요하지 않으므로 논의에서 배제하였다.
      이어 필자는 상황상 분류의 기준이 되는 의미 자질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상황상 연구의 장단점을 가려 새로운 상황상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필자가 제시한 상황상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되는데 각각 상태(State), 동작(activity), 결과(result), 점진적 변화(complex change)이다. 이 중에서 ‘동작’은 ‘순간’(semelfactive)을 포함하며, 기존의 ‘성취’(accomplishment)는 배제하였고, ‘점진적 변화’를 다시 추가하였다. 앞으로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중국어의 상 체계를 정리하는 첫걸음으로 삼고자 한다.
      번역하기

      슬라브 언어(Slavic language)에서 관점상(viewpoint aspect)은 완료상(perfective aspect)과 비완료상(imperfective aspect)의 대립으로 나타나고 그 중 완료상은 보통 ‘전체성’(totality)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

      슬라브 언어(Slavic language)에서 관점상(viewpoint aspect)은 완료상(perfective aspect)과 비완료상(imperfective aspect)의 대립으로 나타나고 그 중 완료상은 보통 ‘전체성’(totality)을 나타낸다. 그런데 상에 대한 연구가 다른 언어로 확대되면서 비슬라브어에도 완료상이 ‘전체성’의 의미를 갖는 것처럼 오해되곤 한다. 중국어의 상 연구에서도 완료상 표지(perfective marker) ‘Le’는 ‘전체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장되기도 했다. 그러나 한국어의 상 개념(aspectual concept)에서도 ‘전체성’이 배제되는 것처럼 중국어의 상 개념에서도 ‘전체성’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관점상은 언어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
      관점상이 언어마다 차이가 있다는 점은 그래도 많이 알려져 있는데 반해, 상황상(situation aspect)은 모든 언어에서 유사하게 존재하는 것처럼 알려져왔다. 실제로 Smith(1991)는 상황상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여러 언어에 적용시킨 바 있다. 그러나 필자는 상황상의 분류에서 그 근거가 되는 것은 역시 관점상이기 때문에, 관점상이 언어에 따라 차이가 있다면 상황상 역시 언어마다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본다. 따라서 상황상의 연구를 위해서는 관점상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필자는 먼저 관점상 표지들을 검토해보았다. 먼저 완료상 표지 ‘Le’는 ‘전체성’을 나타내는게 아니라, 어떤 경계(그것이 시작경계이든intial boundary 종점경계이든간에terminal boundary)를 포함하는 상황이 상대적인 과거에 존재함을 나타낸다. 또 중국어에서 ‘Zai’와 Zhe’는 각각 ‘진행 표지’(progressive marker)와 ‘지속 표지’(durative marker)로서 전자는 어떤 상황의 내부적인 구성에 변화(change)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구별하고 후자는 어떤 상황이 시간적으로 지속 가능한지 여부를 구분한다. 다시 말해 전자는 동태적 상황의 지속을, 후자는 정태적 상황의 지속을 나타낸다. 이 외에 ‘Guo’ 등은 상황상 분류에서 그리 중요하지 않으므로 논의에서 배제하였다.
      이어 필자는 상황상 분류의 기준이 되는 의미 자질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상황상 연구의 장단점을 가려 새로운 상황상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필자가 제시한 상황상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되는데 각각 상태(State), 동작(activity), 결과(result), 점진적 변화(complex change)이다. 이 중에서 ‘동작’은 ‘순간’(semelfactive)을 포함하며, 기존의 ‘성취’(accomplishment)는 배제하였고, ‘점진적 변화’를 다시 추가하였다. 앞으로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중국어의 상 체계를 정리하는 첫걸음으로 삼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lavic Languages, viewpoint aspect is divided into perfective and imperfective, and perfective mostly means totality. But as the research about aspect is expanded into other langguages, expecially non-slavic languages, there is a misunderstanding that in every language perfective means totality. I claim that like the aspectual concept in Korean language doesn't include totality, Chinese aspectual concept also doesn't include totality. So viewpoint aspect in different languages can have different aspectual meanings.
      Situation aspect has also been believed to be almost equal in different languages. For example, Smith(1991) divided situation into 5 types, and applied it to some languages. But I thought that viewpoint aspect is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of situation, and if viewpoint aspect is different among languages, situation aspect must also have difference among languages.
      So first I examined some Chinese aspect markers, and tried to find their aspectual meanings. and I also examined some semantic features which are the criteria in classifying situation.
      Finally I present 4 types of Chinese situation, State, Activity, Result and Complex Change. In these, Activity includes Semelfactive, Accomplishment is removed, and Complex Change is added.
      I think more detailed study will be needed, bu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offer a basis in researching Chinese aspectual system.
      번역하기

      In Slavic Languages, viewpoint aspect is divided into perfective and imperfective, and perfective mostly means totality. But as the research about aspect is expanded into other langguages, expecially non-slavic languages, there is a misunderstanding t...

      In Slavic Languages, viewpoint aspect is divided into perfective and imperfective, and perfective mostly means totality. But as the research about aspect is expanded into other langguages, expecially non-slavic languages, there is a misunderstanding that in every language perfective means totality. I claim that like the aspectual concept in Korean language doesn't include totality, Chinese aspectual concept also doesn't include totality. So viewpoint aspect in different languages can have different aspectual meanings.
      Situation aspect has also been believed to be almost equal in different languages. For example, Smith(1991) divided situation into 5 types, and applied it to some languages. But I thought that viewpoint aspect is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of situation, and if viewpoint aspect is different among languages, situation aspect must also have difference among languages.
      So first I examined some Chinese aspect markers, and tried to find their aspectual meanings. and I also examined some semantic features which are the criteria in classifying situation.
      Finally I present 4 types of Chinese situation, State, Activity, Result and Complex Change. In these, Activity includes Semelfactive, Accomplishment is removed, and Complex Change is added.
      I think more detailed study will be needed, bu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offer a basis in researching Chinese aspectual syste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