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기존의 은유 이론이 전개되어온 과정과 은유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장 "轉移(대치)로서의 은유 개념"에서는 아리스토테레스의 전이와 일탈의 개념을 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기존의 은유 이론이 전개되어온 과정과 은유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장 "轉移(대치)로서의 은유 개념"에서는 아리스토테레스의 전이와 일탈의 개념을 밝...
본 논문은 기존의 은유 이론이 전개되어온 과정과 은유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장 "轉移(대치)로서의 은유 개념"에서는 아리스토테레스의 전이와 일탈의 개념을 밝히고 그의 맥을 잇고 있는 웨이틀리와 바필드의 은유 이론을 소개하였다. 2장 "상호작용(언술)으로서의 은유 개념"에서는 리차즈의 취의와 매재, 막스블랙의 초점과 틀, 리꾀르의 담화 혹은 언술로서의 은유 개념, 후르쇼프스키의 지시 틀(frame of reference) 이론 등을 소개하였다. 이들은 모두 은유의 작용력을 단어의 차원에서 문장, 담화의 차원으로 확장시켜야 한다는 관점을 보이고 있다.
은유가 창조적 의미 생성의 가장 본질적 방법이라는 점에서 은유는 詩作의 근본 원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적 상상력의 핵심이 되는 은유 분석은 언어 이면에 잠복되어 있는 시인의 지향성이 어떤 방식에 의해 표현되고 있는가 하는 문제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이라 생각된다. 새로운 의미의 창출이 은유의 본래적 기능이라는 것을 생각할 때 은유를 단순히 수사적 장식으로 여기는 고전적 은유론에서 벗어나 보다 확장된 시각에서의 연구가 요구된다. 따라서 3장 "은유의 본질과 실재"에서는 후르쇼프스키의 지시 틀 이론을 최근의 시에 적용하여 상호작용으로서의 은유 개념이 얼마나 풍부한 의미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지 입증하고자 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이성선의 산문시집 『꿈꾸는 아이』를 통해 본 시인의 시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