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의 물동량간 인과관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583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심항만인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을 중심으로 각 항만간의 물동량 영향 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국내항만간의 무분별한 투자와 경쟁으로 인한 비효율적 항만개발 및 운영에 대한 정부차원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각 항만 물동량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이용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충격반응함수와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항만간의 동태적 관계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산항 물동량은 상대 항만인 광양항 물동량과 인천항 물동량의 변화 충격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고 효과의 지속성도 크지 않다. 광양항 물동량은 상대적으로 부산항물동량 충격에 의한 효과가 인천항 물동량 충격 효과 보다 더 심하고 오래 지속되었다. 인천항 물동량은 광양항 물동량 충격에 의한 효과가 크다.
      예측오차의 분산분해 결과 부산항물동량은 부산항 자신의 오차항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크며 초기에는 광양항 물동량에 의하여 설명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크지만 점차 인천항 물동량에 의하여 설명되는 부분이 크다. 광양향 물동량은 부산항 물동량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인천항 물동량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 보다는 크다. 하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인천항 물동량에 의한 기여도가 점차 증가했다. 인천항 물동량은 다른 항만 물동량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세 항만 중 가장 크다. 특히 광양항 물동량이 부산항 물동량이 기여하는 부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정부는 국내 다른 항만의 물동량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부산항에 대해서는 해외 경쟁 항만과의 경쟁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항만정책을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광양항과 인천항에 대해서는 독자적인 항만물동량 창출이 가능한 모형을 구축하도록 정책적으로 유도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심항만인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을 중심으로 각 항만간의 물동량 영향 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국내항만간의 무분별한 투자와 경쟁으로 인한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심항만인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을 중심으로 각 항만간의 물동량 영향 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국내항만간의 무분별한 투자와 경쟁으로 인한 비효율적 항만개발 및 운영에 대한 정부차원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각 항만 물동량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이용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충격반응함수와 예측오차분산분해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항만간의 동태적 관계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산항 물동량은 상대 항만인 광양항 물동량과 인천항 물동량의 변화 충격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효과가 적고 효과의 지속성도 크지 않다. 광양항 물동량은 상대적으로 부산항물동량 충격에 의한 효과가 인천항 물동량 충격 효과 보다 더 심하고 오래 지속되었다. 인천항 물동량은 광양항 물동량 충격에 의한 효과가 크다.
      예측오차의 분산분해 결과 부산항물동량은 부산항 자신의 오차항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크며 초기에는 광양항 물동량에 의하여 설명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크지만 점차 인천항 물동량에 의하여 설명되는 부분이 크다. 광양향 물동량은 부산항 물동량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인천항 물동량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 보다는 크다. 하지만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인천항 물동량에 의한 기여도가 점차 증가했다. 인천항 물동량은 다른 항만 물동량에 의해서 설명되는 부분이 세 항만 중 가장 크다. 특히 광양항 물동량이 부산항 물동량이 기여하는 부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정부는 국내 다른 항만의 물동량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은 부산항에 대해서는 해외 경쟁 항만과의 경쟁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항만정책을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광양항과 인천항에 대해서는 독자적인 항만물동량 창출이 가능한 모형을 구축하도록 정책적으로 유도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uality among export and import trading volume of port of Busan, Kwangyang, Incheon and to induce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test whether time series data is stationary and the model is fitness or not, we put in operation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We apply Granger causality and impulse response and variance decomposition based on VEC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ding volume of port of Busan is not largely influenced by that of port of Kawangyang and Incheon, but the trading volume of port of Kawangyang and Incheon is largely influenced by other ports including port of Busan. The result suggest that government has to focus on policy that the port of Kawangyang and Incheon can raise its own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uality among export and import trading volume of port of Busan, Kwangyang, Incheon and to induce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test whether time series data is stationary and the model is fitness or 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uality among export and import trading volume of port of Busan, Kwangyang, Incheon and to induce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test whether time series data is stationary and the model is fitness or not, we put in operation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We apply Granger causality and impulse response and variance decomposition based on VECM.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ding volume of port of Busan is not largely influenced by that of port of Kawangyang and Incheon, but the trading volume of port of Kawangyang and Incheon is largely influenced by other ports including port of Busan. The result suggest that government has to focus on policy that the port of Kawangyang and Incheon can raise its own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자료 및 분석방법
      • Ⅲ. 실증 분석
      • Ⅳ. 요약 및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자료 및 분석방법
      • Ⅲ. 실증 분석
      • Ⅳ.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 〈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해양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2 정봉민, "해운, 항만산업의 국가경제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3 정봉민, "항만산업의 국민경제적 기여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15 : 1999

      4 김안호,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 21 (21): 141-160, 2005

      5 김철환, "한국의 경제성장과 수출사이의 인과관계" 한국국제경제학회 11 (11): 143-160, 2005

      6 정봉민, "한국 주요항만의비교우위 검토" 해양수산개발원 (273) : 2007

      7 이장원, "한ㆍ중ㆍ일 3국의 항만 경쟁력 비교 연구" 국제지역연구센터 11 (11): 333-360, 2008

      8 유윤하, "통화수요함수의 장기적 안정성 검정: Johansen 공적분 검정방법의 원용" 한국개발연구원 16 (16): 1994

      9 유승훈, "전력소비와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81-94, 2004

      10 이학헌,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국제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해운학회 (20) : 1995

      1 국토해양부,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2 정봉민, "해운, 항만산업의 국가경제기여도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3 정봉민, "항만산업의 국민경제적 기여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 15 : 1999

      4 김안호, "항만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 21 (21): 141-160, 2005

      5 김철환, "한국의 경제성장과 수출사이의 인과관계" 한국국제경제학회 11 (11): 143-160, 2005

      6 정봉민, "한국 주요항만의비교우위 검토" 해양수산개발원 (273) : 2007

      7 이장원, "한ㆍ중ㆍ일 3국의 항만 경쟁력 비교 연구" 국제지역연구센터 11 (11): 333-360, 2008

      8 유윤하, "통화수요함수의 장기적 안정성 검정: Johansen 공적분 검정방법의 원용" 한국개발연구원 16 (16): 1994

      9 유승훈, "전력소비와 경제성장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17 (17): 81-94, 2004

      10 이학헌,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국제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해운학회 (20) : 1995

      11 임종관, "양산항 개장이 동북아 항만경쟁 구도에 미치는 영향" 해양수산개발원 2005

      12 김형태, "상해항과 부산항의 항만요율수준 비교연구" (211) : 2002

      13 정봉민, "상하이 양산항 개장이 우리에게 위기인가? 기회인가?" 해양수산개발원 2005

      14 구종순, "부산항의 새로운 경쟁항만으로서 북중국항만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30 (30): 2007

      15 이양우, "부산지역 항만물류 산업의 클러스트 분석" 한국국제상학회 19 (19): 105-130, 2004

      16 배기형, "물류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물류학회 18 (18): 159-178, 2008

      17 최봉호, "국내 주요항만별 항만물동량과 산업성장의 인과관계" 한국항만경제학회 23 (23): 159-175, 2007

      18 모수원, "국내 주요 항만의 위치변화" 한국해운물류학회 (43) : 17-32, 2004

      19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20 이종원, "계량경제학" 박영사 2008

      21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2 Pesaran, h.h., "generalized impulse response analysis in liner multivariate models" 58 :

      23 유병철, "VAR 모형을 이용한 부산항과 상해항의 물동량 분석" 한국물류학회 18 (18): 189-208, 2008

      24 Kevin Cullinane, "Port competition between shanghai and ningbo" 32 (32): 2005

      25 김병일, "MDMG-HFP법과 퍼지역평가법을 이용한 상하이 및 북중국과 우리나라 컨테이너 항만의 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42) : 2004

      26 여기태, "MDMG-HFP법과 퍼지역평가법을 이용한 상하이 및 북중국과 우리 나라 컨테이너항만의 경쟁력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43)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3 1.08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