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청년들의 소득불평등에 대한 공정성 인식 - 불평등 관계의 다양성을 중심으로 = Fairness Perception regarding Income Inequality among Young People - Focusing on the Diversity of Unequal Relationshi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67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regarding the income gap and distributive justice between social groups, its types and determinants,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s. Existing studies on fairness perception overlooked that individual perceptions of fairness may not be consistent depending on the type of inequality relationship, and did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where fairness controversy arose around specific inequality. This study defines fairness perception as an evaluation of the legitimacy of the actual inequality and deals with individual evaluations of inequality related to educational background, labor market, gender, generation, and class origin. To this end, a latent class analysis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sample of young people aged 20 to 34 in 2021’s “Investigation of Koreans’ Perception of Generation and Society as a whole.” As a result of the latent class analysis,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Unfair-inequality type’, ‘Fair-inequality type’, ‘Education-discrimination type’, and ‘Education-antidiscrimination type’ and in particular, the heterogeneity of the perception of fairness among young people was prominent in inequality related to educational background.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was heterogeneous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and social position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inequality due to attained status, and political beliefs and attitudes had a huge effect on inequality caused by ascribed status. The type of fairness perception of young people affected their welfare attitude. ‘Fair-inequality type’, ‘Educationdiscrimination type’ showed more negative welfare attitudes than ‘Unfairinequality type’ and ‘Education-anti-discrimination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clique culture in academia that has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in Korean society, and that it may continue to affect the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s of young people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regarding the income gap and distributive justice between social groups, its types and determinants,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regarding the income gap and distributive justice between social groups, its types and determinants,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s. Existing studies on fairness perception overlooked that individual perceptions of fairness may not be consistent depending on the type of inequality relationship, and did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where fairness controversy arose around specific inequality. This study defines fairness perception as an evaluation of the legitimacy of the actual inequality and deals with individual evaluations of inequality related to educational background, labor market, gender, generation, and class origin. To this end, a latent class analysis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sample of young people aged 20 to 34 in 2021’s “Investigation of Koreans’ Perception of Generation and Society as a whole.” As a result of the latent class analysis,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Unfair-inequality type’, ‘Fair-inequality type’, ‘Education-discrimination type’, and ‘Education-antidiscrimination type’ and in particular, the heterogeneity of the perception of fairness among young people was prominent in inequality related to educational background.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was heterogeneous according to gender and class, and social position exerted a great influence on inequality due to attained status, and political beliefs and attitudes had a huge effect on inequality caused by ascribed status. The type of fairness perception of young people affected their welfare attitude. ‘Fair-inequality type’, ‘Educationdiscrimination type’ showed more negative welfare attitudes than ‘Unfairinequality type’ and ‘Education-anti-discrimination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people was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clique culture in academia that has been accumulated for a long time in Korean society, and that it may continue to affect the political and social attitudes of young peopl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년층의 사회집단 간 소득격차와 분배정의에 관한 공정성 인식의 다차원성과 그것의 유형 및 결정요인들, 그리고 복지태도와의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밝히려는목적을 갖는다. 공정성 인식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개인의 공정성 인식이 불평등 관계의종류에 따라 일관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간과해, 특정 불평등을 중심으로 공정성 논란이불거진 한국 사회의 맥락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공정성 인식을 실재하는불평등에 대한 정당성 평가로 정의하고, 학력 및 학벌, 노동시장, 젠더, 세대, 계층 불평등에 대한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을 사회집단 쌍 간의 대립구도를 통해 분석했다. 이를위해 2021년 「한국인들의 세대와 사회 전반에 대한 인식 조사」 자료의 만 20~34세 청년 표본을 대상으로 잠재집단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잠재집단분석결과,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은 ‘불평등 비판형’과 ‘불평등 옹호형’, ‘반-학벌주의’ 유형과 ‘학벌주의’ 유형의 네 가지 집단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으며, 특히 학벌과 관련된 불평등에서 청년층 공정성 인식의 이질성이 두드러졌다.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은 성별과 계층에 따라 이질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성취 지위에 따른 불평등에서는 사회적 위치가, 귀속 지위에 따른 불평등에서는 정치적 믿음 및 태도가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청년층의공정성 인식 유형은 청년층의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쳐, ‘학벌주의’ 유형과 ‘불평등 옹호형’이 ‘불평등 비판형’과 ‘반-학벌주의’ 유형보다 부정적인 복지태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이 한국 사회에서 오랜 시간 동안 누적되어 온 학벌주의의 영향 아래 형성되었으며, 향후 청년층의 정치사회적 태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청년층의 사회집단 간 소득격차와 분배정의에 관한 공정성 인식의 다차원성과 그것의 유형 및 결정요인들, 그리고 복지태도와의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밝히려는목적을 갖는다. 공...

      이 연구는 청년층의 사회집단 간 소득격차와 분배정의에 관한 공정성 인식의 다차원성과 그것의 유형 및 결정요인들, 그리고 복지태도와의 관련성을 경험적으로 밝히려는목적을 갖는다. 공정성 인식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개인의 공정성 인식이 불평등 관계의종류에 따라 일관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간과해, 특정 불평등을 중심으로 공정성 논란이불거진 한국 사회의 맥락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공정성 인식을 실재하는불평등에 대한 정당성 평가로 정의하고, 학력 및 학벌, 노동시장, 젠더, 세대, 계층 불평등에 대한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을 사회집단 쌍 간의 대립구도를 통해 분석했다. 이를위해 2021년 「한국인들의 세대와 사회 전반에 대한 인식 조사」 자료의 만 20~34세 청년 표본을 대상으로 잠재집단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잠재집단분석결과,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은 ‘불평등 비판형’과 ‘불평등 옹호형’, ‘반-학벌주의’ 유형과 ‘학벌주의’ 유형의 네 가지 집단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으며, 특히 학벌과 관련된 불평등에서 청년층 공정성 인식의 이질성이 두드러졌다.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은 성별과 계층에 따라 이질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성취 지위에 따른 불평등에서는 사회적 위치가, 귀속 지위에 따른 불평등에서는 정치적 믿음 및 태도가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청년층의공정성 인식 유형은 청년층의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쳐, ‘학벌주의’ 유형과 ‘불평등 옹호형’이 ‘불평등 비판형’과 ‘반-학벌주의’ 유형보다 부정적인 복지태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청년층의 공정성 인식이 한국 사회에서 오랜 시간 동안 누적되어 온 학벌주의의 영향 아래 형성되었으며, 향후 청년층의 정치사회적 태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우, "한국인의 주관적 사회계층,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삶의 만족도: 성별・연령집단별 매개과정과 조절작용" 한국행정연구소 57 (57): 97-127, 2019

      2 안상훈 ; 김영미 ; 김수완, "한국인의 복지태도: 균열구조의 형성과 변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1 (41): 42-60, 2021

      3 이한나 ; 이미라, "한국인의 복지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형평성 지각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254-286, 2010

      4 이보윤 ; 김동훈,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과 복지선호: 기술특정성과 국가정체성의 역할" 극동문제연구소 31 (31): 149-176, 2015

      5 신광영, "한국사회 불평등 연구" 후마니타스 2013

      6 장상우,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인식"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5

      7 이희정 ; 박선웅, "청년층의 기회 공정성 인식 분절화: 지역과 젠더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44 (44): 71-99, 2021

      8 이희정,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회 52 (52): 119-164, 2018

      9 이희정, "청년들은 소득불평등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 사회계층 인식과 능력주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6 (56): 45-82, 2022

      10 마경희, "청년관점의 ‘젠더갈등’ 진단과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0

      1 김재우, "한국인의 주관적 사회계층,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삶의 만족도: 성별・연령집단별 매개과정과 조절작용" 한국행정연구소 57 (57): 97-127, 2019

      2 안상훈 ; 김영미 ; 김수완, "한국인의 복지태도: 균열구조의 형성과 변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1 (41): 42-60, 2021

      3 이한나 ; 이미라, "한국인의 복지태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형평성 지각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254-286, 2010

      4 이보윤 ; 김동훈, "한국의 경제적 불평등과 복지선호: 기술특정성과 국가정체성의 역할" 극동문제연구소 31 (31): 149-176, 2015

      5 신광영, "한국사회 불평등 연구" 후마니타스 2013

      6 장상우, "한국 사회의 불평등과 공정성 인식"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5

      7 이희정 ; 박선웅, "청년층의 기회 공정성 인식 분절화: 지역과 젠더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44 (44): 71-99, 2021

      8 이희정, "청년층 계층인식 변화가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학회 52 (52): 119-164, 2018

      9 이희정, "청년들은 소득불평등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 사회계층 인식과 능력주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56 (56): 45-82, 2022

      10 마경희, "청년관점의 ‘젠더갈등’ 진단과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0

      11 김선기, "세대연구를 다시 생각한다 : 세대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문화사회학회 17 : 207-248, 2014

      12 여승현, "세대에 따른 경제적불평등 인식과 복지태도(Doctoral dissertation)" 한양대학교 2016

      13 전상진, "세대사회학의 가능성과 한계 - 세대개념의 분석적 구분 -" 한국인구학회 25 (25): 193-230, 2002

      14 이충환, "빈곤 원인 인식과 불평등 인식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375-401, 2015

      15 이현우 ; 박시남, "복지확대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 분석: 개인이익을 넘어서"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1 (31): 267-298, 2016

      16 류진석, "복지태도의 미시적 결정구조와 특성"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79-101, 2004

      17 이지호 ; 황아란, "복지태도의 결정요인 분석: 복지수준과 ‘정부의 질’에 대한 인식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3 (23): 257-285, 2016

      18 이수빈, "복지태도, 계급, 그리고 인권" 549-566, 2016

      19 박권일, "능력주의와 불평등: 능력에 따른 차별은 공정하다는 믿음에 대하여" 교육공동체벗 2020

      20 박효민, "능력주의(meritocracy)를 넘어서: 능력주의의 한계와 대안" 211-, 2019

      21 김석호, "공정한 사회의 길을 묻다" 시공사 2021

      22 박효민 ; 김석호, "공정성 이론의 다차원성" 한국이론사회학회 (27) : 219-260, 2015

      23 우명숙 ; 남은영, "공정성 원칙으로서 능력주의와 불평등 인식: 한국과 일본의 비교" 아세아문제연구원 64 (64): 201-244, 2021

      24 장혜경, "고용과 노동에서의 공정성, 어떻게 볼 것인가?: 인천국제공항공사 정규직 전환 문제를 중심으로" 109 : 44-61, 2020

      25 김영미,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사회과학연구소 47 (47): 27-52, 2016

      26 박선경 ; 이내영, "경제적 불평등은 어떻게 개인의 복지선호로 이어지는가? 한국인의 복지선호형성의 세부단계에 대한 유형화" 현대정치연구소 11 (11): 5-32, 2018

      27 황선재 ; 계봉오, "경제적 불평등 인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 사례와 함의" 한국인구학회 41 (41): 65-88, 2018

      28 김정희원, "‘공정’의 이데올로기, 문제화를 넘어 대안을 모색할 때" 109 : 24-43, 2020

      29 Louis, W. R., "Why do citizens want to keep refugees out? Threats, fairness and hostile norms in the treatment of asylum seekers" 37 (37): 53-73, 2007

      30 Bonikowski, B., "Varieties of American popular nationalism" 81 (81): 949-980, 2016

      31 Tajfel, H.,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Brooks-Cole 1979

      32 Zinni Jr, F. P, "The sense of injustice: The effects of situation, beliefs, and identity" 76 (76): 419-437, 1995

      33 Reynolds, K. J., "The role of personality and group factors in explaining prejudice" 37 (37): 427-434, 2001

      34 Achterberg, P., "The ideological roots of the support for welfare state reform: Support for distributive and commodifying reform in The Netherlands" 23 (23): 215-226, 2014

      35 Altemeyer, B, "The Authoritarian Specter"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36 Niehues, J, "Subjective perceptions of inequality and redistributive preference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Cologne Institute for Economic Research" 1-23, 2014

      37 Rainer, H., "Subjective income and employment expectations and preferences for redistribution" 99 (99): 449-453, 2008

      38 Berger, J., "Structural aspects of distributive justice: A status value formulation" 2 : 119-146, 1972

      39 Hollander, J.,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on social inequalities" 63 (63): 338-351, 2000

      40 Costa-Lopes, R.,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the legitimation of social inequality: Past, present and future" 43 (43): 229-237, 2013

      41 d’Anjou, L., "Social position, ideology, and distributive justice" 8 (8): 351-384, 1995

      42 Turner, J. C., "Social identity, personality, and the selfconcept: A self-categorization perspective" 11-46, 1999

      43 Homans, G. C, "Social behavior: Its elementary forms"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4

      44 Turner, J. C., "Rediscovering the social group: A self-categorization theory" Basil Blackwell 1987

      45 Blumer, H, "Race prejudice as a sense of group position" 1 (1): 3-7, 1958

      46 Ng, S. H., "Perception of economic distributive justice: Exploring leading theories" 33 (33): 435-454, 2005

      47 Jost, J. T., "Non-conscious forms of system justificatio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preferences for higher status groups" 38 (38): 586-602, 2002

      48 Walster, E., "New directions in equity research" 25 (25): 151-176, 1973

      49 Kruglanski, A. W., "Motivated closing of the mind: ‘Seizing’ and ‘freezing’" 103 (103): 263-283, 1996

      50 Opotow, S, "Moral exclusion and injustice: An introduction" 46 (46): 1-20, 1990

      51 Gimpelson, V., "Misperceiving inequality" 30 (30): 27-54, 2018

      52 Bonikowski, B, "Mapping culture with latent class analysis: A response to Eger and Hjerm" Nations and Nationalism 2021

      53 Hunzaker, M. F., "Mapping cultural schemas: From theory to method" 84 (84): 950-981, 2019

      54 Wenzel, M, "Justice and identity: The significance of inclusion for perceptions of entitlement and the justice motive" 26 (26): 157-176, 2000

      55 Adams, J. S, "Inequity in Social Exchange" 2 : 267-299, 1965

      56 Shariff, A. F., "Income mobility breeds tolerance for income inequality: Cross-national and experimental evidence" 11 (11): 373-380, 2016

      57 Young, I. M, "Inclusion and democracy"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58 Buscha, F, "Financial expectations and the ‘left-right’ political value scale: Testing for the POUM hypothesis" 115 (115): 460-464, 2012

      59 Alesina, A., "Fairness and redistribution" 95 (95): 960-980, 2005

      60 Champernowne, D. G., "Economic inequality and income distrib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61 Jasso, G., "Distributive justice and earned income" 42 (42): 639-651, 1977

      62 Tajfel, H, "Differentiation between social groups: Studies in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Academic Press 1978

      63 Wallace, M., "Determinants of perceived immigrant job threat in the American states" 55 (55): 583-612, 2012

      64 DiMaggio, P., "Culture out of attitudes: Relationality, population heterogeneity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religion in the US" 68 : 31-51, 2018

      65 Berger, J., "Construction of status and referential structures" 20 (20): 157-179, 2002

      66 Engelhardt, Carina, "Biased Perceptions of Income Inequality and Redistribution" CESifo 2014

      67 Schmitt, M. T., "Attitudes toward group-based inequality: Social dominance or social identity?" 42 (42): 161-186, 2003

      68 Van Lange, P. A., "Are Conservatives Less Likely to be Prosocial than Liberals? From Games to Ideology, Political Preferences and Votingg" 26 (26): 461-473, 2012

      69 Bavetta, 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perceived inequality" 65 (65): 264-292, 2019

      70 Skitka, L. J., "Allocating scarce resources: A contingency model of distributive justice" 28 (28): 491-522, 1992

      71 Wenzel, M, "A social categorization approach to distributive justice: Social identity as the link between relevance of inputs and need for justice" 40 (40): 315-335, 2001

      72 Staerklé, C., "A normative approach to welfare attitudes, Contested welfare states: Welfare attitudes in Europe and beyond"

      73 Hauser, O. P., "(Mis)perceptions of inequality" 18 : 21-25,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업사회학회 -> 비판사회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Researchers On Industrial Society -> Korean Critical Sociological Association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7 1.37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8 1.56 1.76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