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들의 특징과 학습 참여 유형에 대한 비교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성화고를 졸업하여 대학 진학을 선택한 학생들이 일반계고 출신자 그룹에 비 해 어떠한 집단적 특징을 띠고 있으며 이들이 대학 재학 기간 중에 비교집단과 다른 학습 경 험을 ...

      본 연구는 특성화고를 졸업하여 대학 진학을 선택한 학생들이 일반계고 출신자 그룹에 비 해 어떠한 집단적 특징을 띠고 있으며 이들이 대학 재학 기간 중에 비교집단과 다른 학습 경 험을 하게 되는지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국 99개 대학에서 수집된 2015 년 대학생 학습참여(K-NSSE) 조사 데이터(N= 71,712명)를 분석한 결과, 특성화고 출신 대학 생 집단은 일반계고(일반고, 특목고, 자사고) 출신 대학생 그룹에 비해 성별, 나이, 가정의 소 득수준, 편입학 경험, 고교 내신 성적, 대학 직전 학기 성적, 대학 선택의 기준, 소속된 대학 의 소재지나 규모, 설립주체 등 거의 모든 개인적/기관적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 다. 그러나 졸업 후 진로 결정 여부나 진로 준비도 등 두 가지 요인에 있어서는 인문계교 출 신자와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특성화고 출신이라는 요인이 대학생 학습 참여에 끼치는 영 향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 전략, 능동적·협동적 학습, 교우관계, 지원적 대학 환경 등 총 10개 요인 중 여섯 개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고 출신 대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대학의 노력이 확대 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in college.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differed from graduates of general high sc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eir engagement in learning in college.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differed from graduates of general high schools in most of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high school GPA, college GPA, the size and the location of their institutions, and so on. Surprisingly, howeve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did not show a higher level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choice than their counterpart. In the multiple regression on the ten factors of student engagement, the high school type was found to affect six factors out of ten when other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In particular, students who graduated from vocational schools have difficulties in exercising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and participating ac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namely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상훈,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 진단을 위한 미국 NSSE 모델 도입 및 타당화" 교육연구소 16 (16): 77-104, 2015

      2 옥준필, "특성화고 교육혁신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3 변수용,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 영향요인" 2012

      4 채창균,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진로선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5 진미석, "사회적 형평의 관점에서 본 실업계 교육의 기능" 8 (8): 48-65, 1990

      6 배상훈, "마이스터고 학생의 가정배경 및 정서적.학습심리적 특징 분석 : 전문계 및 일반계고 학생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149-175, 2011

      7 배상훈, "대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측정 모델의 타당성 검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499-523, 2012

      8 장상수, "가족배경과 고등학교 계열 선택" 한국사회학회 41 (41): 118-146, 2007

      9 Kuh, G. D., "What we're learning about student engagement from NSSE : Benchmarks for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s" 35 (35): 24-32, 2003

      10 Luzzo, D. A., "Value of career-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predicting career-decision-making attitudes and skills" 40 (40): 194-, 1993

      1 배상훈, "한국 대학생의 학습참여 진단을 위한 미국 NSSE 모델 도입 및 타당화" 교육연구소 16 (16): 77-104, 2015

      2 옥준필, "특성화고 교육혁신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3 변수용,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 영향요인" 2012

      4 채창균, "실업계 고교 졸업생의 진로선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5 진미석, "사회적 형평의 관점에서 본 실업계 교육의 기능" 8 (8): 48-65, 1990

      6 배상훈, "마이스터고 학생의 가정배경 및 정서적.학습심리적 특징 분석 : 전문계 및 일반계고 학생과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19 (19): 149-175, 2011

      7 배상훈, "대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측정 모델의 타당성 검증"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499-523, 2012

      8 장상수, "가족배경과 고등학교 계열 선택" 한국사회학회 41 (41): 118-146, 2007

      9 Kuh, G. D., "What we're learning about student engagement from NSSE : Benchmarks for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s" 35 (35): 24-32, 2003

      10 Luzzo, D. A., "Value of career-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predicting career-decision-making attitudes and skills" 40 (40): 194-, 1993

      11 Weidman, J., "Undergraduate socialization : A conceptual approach" 5 : 289-322, 1989

      12 Strage, A.,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descriptions of the"ideal"professor and the"ideal"course and perceived strengths and limitations" 42 (42): 225-232, 2008

      13 Kuh, G. D., "The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 Conceptual and empirical foundations" 2009 (2009): 5-20, 2009

      14 Greenhaus, J. H., "The impact of career exploration among undergraduate business students" 24 : 394-502, 1983

      15 Zagora, M. A., "The effects of vocational identity status on outcomes of a career decision-making intervention for community college students" 35 (35): 239-247, 1994

      16 Carini, R. M., "Student engagement and student learning : Testing the linkages" 47 (47): 1-32, 2006

      17 Cross, K. P., "Our changing students and their impact on colleges : Prospects for a true learning society" 61 (61): 627-630, 1980

      18 Benshoff, J. M.,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 A developmental look at the needs of women and men returning to school" 3 : 47-61, 1991

      19 Fritschner, L. M., "Inside the undergraduate college classroom : Faculty and students differ on the meaning of student participation" 71 (71): 342-362, 2000

      20 Schlossberg, N. K., "Improving Higher Education Environments for Adults: Responsive Programs and Services from Entry to Departure" Jossey-Bass 1989

      21 Luzzo, D. A., "Identify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needs of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77 (77): 135-140, 1999

      22 Healy, C. C., "Exploring a path linking anxiety, career maturity, grade point average, and life satisfaction in a community college population" 32 : 207-211, 1991

      23 Tinto, V.,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 :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45 (45): 89-125, 1975

      24 NCES, "Demographic and enrollment characteristics of nontraditional undergraduates: 2011–12" National Center of Educational Statistics

      25 Taniguchi, H., "Degree completion among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86 (86): 912-927, 2005

      26 Pascarella, E. T., "College environmental influences on learn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 A critical review and synthesis" 1 (1): 1-61, 1985

      27 Weaver, R. R., "Classroom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 :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76 (76): 570-601, 2005

      28 Healy, C. C., "Career needs of community college students : Implications for services and theory" 30 (30): 541-545, 1989

      29 Slaney, F. M., "Career indecision in reentry and undergraduate women" 27 : 114-119, 1986

      30 Super, D. E.,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Jossey-Bass 192-234, 1984

      31 Healy, C. C., "Age and grade differences in career development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10 (10): 247-258, 1987

      32 Astin, A. W., "Achieving educational excellence: A critical assessment of priorities and practices in higher education" Jossey-Bass Publ. 1985

      3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6 1.76 1.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2 2.06 1.8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