測度論을 硏究하는데 있어 主로 可測函數와 可測集合 만을 取扱하게 된다. 그러나 完全한 測度論을 硏究하는데는 오히려 非可測集合과 非可測函數가 보다더 硏究되어야 한다고 生覺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53308
Soh, Won-Sup (Mathematical Education)
1976
English
374.4
학술저널
61-64(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測度論을 硏究하는데 있어 主로 可測函數와 可測集合 만을 取扱하게 된다. 그러나 完全한 測度論을 硏究하는데는 오히려 非可測集合과 非可測函數가 보다더 硏究되어야 한다고 生覺한다. ...
測度論을 硏究하는데 있어 主로 可測函數와 可測集合 만을 取扱하게 된다. 그러나 完全한 測度論을 硏究하는데는 오히려 非可測集合과 非可測函數가 보다더 硏究되어야 한다고 生覺한다. 非可測集合과 非可測函數의 例는 모든 書籍에서 퍽이나 드물다. 여기에서는 非可測函數의 한例를 函數方程式
f(χ₁+χ₂)=f(χ₁)+f(χ₂)
의 不連續인 解에서 찾아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