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문제해결을 위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기독교 청소년과 비기독교 청소년 비교 = The Effects of Family Problem Solvi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esteem on Suicide Probability in Adolescent: Comparison between Christian Adolescent and non-Christian Adolesc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297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기독교 청소년 및 비기독교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위험성 예측에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기독교 청소년 및 비기독교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이 자살위험성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은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4개 고등학생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측정도구는 맥코빈(M. McCubbin), 맥코빈(H. McCubbin)과 톰슨(A, Thompson, 1996)이 제작한 가족문제해결을 위한 의사소통(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검사지, 하레(Bruce R. Hare, 1985)가 제작한 자아존중감 척도(Hare Self-Esteem Scale), 고효진, 김대진, 이홍표(2000)가 개발한 청소년 자살위험성 예측 검사지(Suicide Probability Scale for Adolescents: SPS-A)를 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긍정형 의사소통은 자아존종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부모와의 부정형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기독교 청소년의 자살위험성 예측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학교자존감, 또래자존감, 가정자존감, 모 부정형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기독교 청소년의 자살위험성 예측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가정자존감, 학교자존감, 또래자존감, 부 부정형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self-esteem affects Christian adolescent`s suicide probability and non-Christian adolescent`s suicide probability. T...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self-esteem affects Christian adolescent`s suicide probability and non-Christian adolescent`s suicide probability. The object of research is selected random of 355 students from 4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ongkido. The tools of investigation were (1)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scale by Marilyn McCubbin, Hamilton McCubbin, and Anne Thompson. (2) Hare Self-Esteem Scale by Bruce R. Hare. (3) Suicide Probability Scale for Adolescents by Go Hyojin, Kim Daijin, Lee Heungpyo. The statistical methods were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2.0 in statistic center of Sungkyul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adolescent affirming communic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Parent-adolescent incendiary communic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Secondly, in influence of suicide probability by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that Christian adolescent and non-Christian adolescent who cogniz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In order of school self-esteem, peer self-esteem, home self-esteem, mother incendiary communication had much effect on the suicide probability of Christian adolescent. Also, lastly, In order of home self-esteem, school self-esteem, peer self-esteem, father incendiary communication had much effect on the suicide probability of non-Christian adolesc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ewman, B. M, "현대발달심리학: 평생발달의 심리" 형설 1991

      2 전요섭, "행복한 우리집" 한국가정사역연구소 2004

      3 한국일보, "한국일보 2010. 8. 15일자 2면"

      4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5 현명선,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간호교육학회 15 (15): 293-301, 2009

      6 김태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가족기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73-193, 2005

      7 국길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23 (23): 89-107, 2003

      8 채유경,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36-144, 2004

      9 정철순, "청소년의 자살 위험에 관한 연구" 10 (10): 521-532, 2001

      10 전요섭, "청소년의 아버지 귄위유형과 기독교신앙에 따른 가족 강인성"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89-212, 2007

      1 Newman, B. M, "현대발달심리학: 평생발달의 심리" 형설 1991

      2 전요섭, "행복한 우리집" 한국가정사역연구소 2004

      3 한국일보, "한국일보 2010. 8. 15일자 2면"

      4 문경숙,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7 (27): 143-157, 2006

      5 현명선,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간호교육학회 15 (15): 293-301, 2009

      6 김태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가족기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0 (10): 173-193, 2005

      7 국길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23 (23): 89-107, 2003

      8 채유경,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간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2 (12): 136-144, 2004

      9 정철순, "청소년의 자살 위험에 관한 연구" 10 (10): 521-532, 2001

      10 전요섭, "청소년의 아버지 귄위유형과 기독교신앙에 따른 가족 강인성" 한국청소년학회 14 (14): 189-212, 2007

      11 McDowell, J, "청소년상담 핸드북 상" 한국장로교출판사 2002

      12 김인규, "청소년 자살생각에 대한 구조모형 검증" 한국상담학회 7 (7): 1189-1202, 2006

      13 배주미, "청소년 자살 사후개입 매뉴얼 개발-학교 장면에 서의 개입을 중심으로" 156 : 1-360, 2010

      14 이경진,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한국상담심리학회 16 (16): 667-685, 2004

      15 Rice, F. P, "청소년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1999

      16 여성가족부, "청소년 가족관계 실태" 2010

      17 McGrath, J, "자아존중감: 십자가와 그리스도인의 자신감" 한국기독학생회 2003

      18 Carlson, D. E, "자아존중감" 두란노 1988

      19 김보화,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청소년의 성충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교적응력의 조절효과" 한국상담학회 11 (11): 1221-1236, 2010

      20 이윤주,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살생각 및 시도와 소외감 및 진로장벽의 관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 (16): 69-85, 2008

      21 Capps, D. E, "인간발달과 목회적 돌봄" 이레서원 2001

      22 Wright, H. N, "위기상담학" 쿰란 1986

      23 McMinn, M. R, "영혼돌봄의 상담학"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24 고효진, "신경정신의학" 39 (39): 680-688, 2000

      25 이지연, "스트레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청소년 자살 생각간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0 (10): 375-394, 2005

      26 Crabb, L, "성경적 상담학 개론" 아가페문화사 2003

      27 Satir, V., "사티어 모델: 가 족 치료의 지평을 넘어서" 김영애 가족치료연구소 2000

      28 이진영, "부모의 기독교 신앙과 권위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차이"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3 : 152-177, 2004

      29 조하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0 (10): 1035-1049, 2009

      30 안현정,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10 (10): 65-81, 2005

      31 김남식, "기독교커뮤니케이션학" 베다니 1999

      32 전요섭, "기독교상담과 신앙" 좋은나무 2007

      33 한주리, "가족 의사소통 패턴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자아노출, 내적 통제성 및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한국언론학회 49 (49): 202-227, 2005

      34 Grob, M., "The Role of the High School Professional in Identifying and Managing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12 : 163-173, 1983

      35 Coopersmith,S,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W. H. Freeman 1967

      36 Kleck,G, "Suicide and Threatening Behavior" 18 : 219-236, 1988

      37 Cull, J. G, "Suicide Probability Scale(SPS) Ma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8

      38 Range,L.M, "Suicide Prevention: Guidelines for Schools" 5 (5): 135-154, 1993

      39 Puig-Antich, J., "Psychosocial Functionimg in Prepubertal Major Depressive Disord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the Depressive Episode" 42 : 500-507, 1985

      40 Dixon, W. A., "Problem-Solving Appraisal, Stress,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38 : 51-56, 1991

      41 Brenda, M, "Personal Resilience, Cognitive Appraisals, and Coping: An Integrative Model of Adjustment to Abortio" 74 (74): 735-752, 1998

      42 Hamner, T. J, "Parenting in Contemporary Society" Allyn & Bacon 2001

      43 Barnes, H. L, "Parent-Adolescen Communication and the Circumplex Model" 56 : 438-447, 1985

      44 Corcoran, K,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Free 2000

      45 Olson, D. H, "Marriage & Families: Intimacy, Diversity, and Strengths" McGraw-Hill 2006

      46 Meier, P. D., "Introduction to Psychology and Counseling" Baker

      47 Beck, A. T., "Hopelessness,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23 : 139-145, 1993

      48 Parrott Ⅲ, L, "Helping the Struggling Adolescent" Zondervan 2000

      49 Wagner,B.M, "Family Risk Factors for Child and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121 : 246-298, 1997

      50 McCubbin, M. A., "Family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FPSC), In Measures for Clinical Practice vol 1" Free 1996

      51 Galvin, K. M,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 (2nd ed.)" Pearson/Allyn and Bacon 2008

      52 Friedrich, W. R.,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Early Adolescents" 11 : 402-407, 1982

      53 Sillars, A. 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s" 31 : 102-128, 2005

      54 Collins, G. R, "Christian Counseling: A Comprehensive Guide" Word 2003

      55 Michael, K., "Brief Home-Based Intervention with Young Suicide Attempters and their Families" 18 : 557-568, 1995

      56 Spirito, A., "Attempted Suicide in Adolescence: A Review and Critique of the Literature" 9 : 333-363, 1989

      57 Rudd,M.D, "An Integrative Model of Suicidal Ideation" 20 : 16-30, 1990

      58 Wodarski, J. S, "Adolescents Suicide: A Review Of Influences and the Means for Prevention" 32 : 477-484, 1987

      59 Shneidman,T, "Adolescents Suicide" 48 : 56-63, 1987

      60 통계청, "2009 사망원인 통계 결과"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37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