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20년대 ‘청년’ 崔演澤과 성공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3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3.1운동 이후 성공주의 담론이 형성되는데 일조하였던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최연택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그의 성공주의 주장을 전통 유교지식인에서 근대 지식인 ‘청년’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검토하는데 있다. 최연택이 유교지식인에서 ‘청년’으로 전환되는 데에는 기독교의 영향이 컸으며, 이에 따라 최연택을 기독교 ‘청년’으로 파악하였다. 최연택은 1895년 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서울시 서대문구 아현동을 근거지로 주로 활동하였다. 그는 아현동에서 유년시절을 보냈고 성장해서는 이 지역에서 문창사라는 출판사를 경영하였다. 최연택의 학력을 살펴보면, 그는 아현동에 건립된 소학교를 거쳐 중학교 재학 중에 일본으로 유학을 갔다. 그런데 유년시절 소학교에 입학하기 이전 서당에서 전통적인 한문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경험이 작용된 탓인지 최연택은 유교적 전통과 쉽사리 단절되지 못했다. 일본에서 귀국한 이후 최연택이 한문 장편 소설 『육미당기』를 『매일신보』(1914)에 번역하여 연재한 것은 유교적 전통과의 친화력을 말해준다고 할 것이다. 이렇듯 최연택이 그의 일상화된 종교였던 유교와 완전히 결별하게 것은 기독교 신앙체험이었다. 3.1운동 이후 최연택의 행보에서 주목되는 것은 그가 성공주의를 전파했다는 점이다. 최연택은 「성공」 (『동아일보』), 「성공의 비결」 (『매일신보』), 『프랭클린 자서전』 (『매일신보』), 「성공론」 (『세계일류사상가논문집』, 1924)과 같은 글과 번역을 통해 성공주의를 전파하였다. 특히 「성공론」은 최연택이 기독교인으로서 경이로운 신앙체험을 한 뒤 출간된 글이다. 또한 앞서 「성공」과 「성공의 비결」에서 제기했던 문제의식을 그대로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의미 깊다고 판단된다. 흥미롭게도 「성공」과 「성공의 비결」에서 새무엘 스마일즈의 『자조론』의 가치가 언급되고 있다. 『세계일류사상가논문집』에 『자조론』이 소개되고 있는 점에서 볼 때, 최연택이 자조론의 가치에 주목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최연택은 개인의 성공과 결부하여 『자조론』의 가치를 전파하였던 식민지 지식인이었던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최연택이라는 식민지 지식인에 주목하여, 그가 1920년대 성공주의 담론을 확산시키는 일조한 ‘청년’이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결국 이 연구는 식민지 시기 ‘청년’의 탄생과 그 유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3.1운동 이후 성공주의 담론이 형성되는데 일조하였던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최연택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그의 성공주의 주장을 전통 유교지식인에서 근대 지식인 ‘청년...

      이 연구의 목적은 3.1운동 이후 성공주의 담론이 형성되는데 일조하였던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최연택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그의 성공주의 주장을 전통 유교지식인에서 근대 지식인 ‘청년’으로 전환되는 과정과 관련하여 검토하는데 있다. 최연택이 유교지식인에서 ‘청년’으로 전환되는 데에는 기독교의 영향이 컸으며, 이에 따라 최연택을 기독교 ‘청년’으로 파악하였다. 최연택은 1895년 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서울시 서대문구 아현동을 근거지로 주로 활동하였다. 그는 아현동에서 유년시절을 보냈고 성장해서는 이 지역에서 문창사라는 출판사를 경영하였다. 최연택의 학력을 살펴보면, 그는 아현동에 건립된 소학교를 거쳐 중학교 재학 중에 일본으로 유학을 갔다. 그런데 유년시절 소학교에 입학하기 이전 서당에서 전통적인 한문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경험이 작용된 탓인지 최연택은 유교적 전통과 쉽사리 단절되지 못했다. 일본에서 귀국한 이후 최연택이 한문 장편 소설 『육미당기』를 『매일신보』(1914)에 번역하여 연재한 것은 유교적 전통과의 친화력을 말해준다고 할 것이다. 이렇듯 최연택이 그의 일상화된 종교였던 유교와 완전히 결별하게 것은 기독교 신앙체험이었다. 3.1운동 이후 최연택의 행보에서 주목되는 것은 그가 성공주의를 전파했다는 점이다. 최연택은 「성공」 (『동아일보』), 「성공의 비결」 (『매일신보』), 『프랭클린 자서전』 (『매일신보』), 「성공론」 (『세계일류사상가논문집』, 1924)과 같은 글과 번역을 통해 성공주의를 전파하였다. 특히 「성공론」은 최연택이 기독교인으로서 경이로운 신앙체험을 한 뒤 출간된 글이다. 또한 앞서 「성공」과 「성공의 비결」에서 제기했던 문제의식을 그대로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의미 깊다고 판단된다. 흥미롭게도 「성공」과 「성공의 비결」에서 새무엘 스마일즈의 『자조론』의 가치가 언급되고 있다. 『세계일류사상가논문집』에 『자조론』이 소개되고 있는 점에서 볼 때, 최연택이 자조론의 가치에 주목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최연택은 개인의 성공과 결부하여 『자조론』의 가치를 전파하였던 식민지 지식인이었던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최연택이라는 식민지 지식인에 주목하여, 그가 1920년대 성공주의 담론을 확산시키는 일조한 ‘청년’이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결국 이 연구는 식민지 시기 ‘청년’의 탄생과 그 유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hoi yeon-taek, a colonial intellectual to propagate a discourse of one’s personal success in the 1920’s.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He launched propagate campaign of one’s personal success using newspapers and his own book. He was converted a confucian to ‘youth’ who had a background of christianity. I guess that choi yeon-taek was born in A hyeo-dong(阿峴洞) Seodamungu(西大門區), Seoul Korea in 1895. He spent his childhood and managed the munchangsa, a author and publisher in A hyeo-dong. He went to study in Japan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Kimtaejajon(金太子傳), a version of Yook mi dangki(六美堂記)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was serialized in the daily newspaper(每日申報) translated by Choi yeon-taek to returning from Japan in 1914. Before to enter a elementary school in A hyeo-dong, he learned the Confucian classics at a sodang(書堂), a Korea traditional school. That’s why he was familiar with the Confucian classics and Chinese character. The reason why he translated Yook mi dangki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He was completely converted a confucian to christianity after a special religious experience in 1923. It is important that he propagated campaign of one’s personal success using newspapers and his own book since th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hoi yeon-taek, a colonial intellectual to propagate a discourse of one’s personal success in the 1920’s.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He launched propagate campaign of one’s personal success using news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hoi yeon-taek, a colonial intellectual to propagate a discourse of one’s personal success in the 1920’s.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He launched propagate campaign of one’s personal success using newspapers and his own book. He was converted a confucian to ‘youth’ who had a background of christianity. I guess that choi yeon-taek was born in A hyeo-dong(阿峴洞) Seodamungu(西大門區), Seoul Korea in 1895. He spent his childhood and managed the munchangsa, a author and publisher in A hyeo-dong. He went to study in Japan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Kimtaejajon(金太子傳), a version of Yook mi dangki(六美堂記)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was serialized in the daily newspaper(每日申報) translated by Choi yeon-taek to returning from Japan in 1914. Before to enter a elementary school in A hyeo-dong, he learned the Confucian classics at a sodang(書堂), a Korea traditional school. That’s why he was familiar with the Confucian classics and Chinese character. The reason why he translated Yook mi dangki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He was completely converted a confucian to christianity after a special religious experience in 1923. It is important that he propagated campaign of one’s personal success using newspapers and his own book since th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