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기삼, "불교문학연구" 집문당 1-313, 1997
2 김동리, "밥과 사랑과 그리고 영원" 사사연 1-362, 1985
3 옥경호, "미륵사상(彌勒思想)과 삼국의 사회적 이상 형성" 서울대학교종교학연구회 14 : 91-124, 1995
4 김병길, "김동리의 역사소설과 동양정신- '신라편' 연작의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38) : 7-34, 2009
5 홍기돈, "김동리의 구경적(究竟的) 삶과 불교사상의 무(無) ―김동리 소설 읽기ㆍ2―" 인간학연구소 (25) : 145-168, 2013
6 방민화, "김동리의 <미륵랑>에 나타난 화랑과 미륵신앙의 상관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197-214, 2009
7 방민화, "김동리 연작소설의 불교적 접근 - 선(禪)을 통해서 본 운명 대응 방식 연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2 (12): 51-68, 2007
8 김동리, "김동리 역사소설" 지소림 1977
9 임영봉, "김동리 소설의 구도적 성격 ―불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4) : 341-371, 2008
10 장영우, "김동리 소설과 불교" 한국불교어문학회 (6) : 43-61, 2001
1 홍기삼, "불교문학연구" 집문당 1-313, 1997
2 김동리, "밥과 사랑과 그리고 영원" 사사연 1-362, 1985
3 옥경호, "미륵사상(彌勒思想)과 삼국의 사회적 이상 형성" 서울대학교종교학연구회 14 : 91-124, 1995
4 김병길, "김동리의 역사소설과 동양정신- '신라편' 연작의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38) : 7-34, 2009
5 홍기돈, "김동리의 구경적(究竟的) 삶과 불교사상의 무(無) ―김동리 소설 읽기ㆍ2―" 인간학연구소 (25) : 145-168, 2013
6 방민화, "김동리의 <미륵랑>에 나타난 화랑과 미륵신앙의 상관성 연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3 (13): 197-214, 2009
7 방민화, "김동리 연작소설의 불교적 접근 - 선(禪)을 통해서 본 운명 대응 방식 연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12 (12): 51-68, 2007
8 김동리, "김동리 역사소설" 지소림 1977
9 임영봉, "김동리 소설의 구도적 성격 ―불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24) : 341-371, 2008
10 장영우, "김동리 소설과 불교" 한국불교어문학회 (6) : 43-61, 2001
11 조회경, "김동리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1-293, 1999
12 김주연, "김동리 소설 연구" 박문사 1-473, 2013
13 허련화, "김동리 불교소설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5) : 427-455, 2008
14 유동식, "韓國巫敎의 歷史와 構造" 연세대학교출판부 1-380, 1975
15 김동리, "野談" 야담사 1958
16 일연, "三國遺事" 한길사 2006
17 김부식, "三國史記" 고대사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