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구강검사 전문조사원 교육 및 질관리 = Standardization for Oral Health Survey in KNHANES (201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37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Purpose of the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reliability of oral health survey through calibration training in KNHANES.
      2. Methods
      (1) Contents of the study
      ○ Ensuring and evaluation of reliability through calibration training
      (2) Methods
      ① Lectures for calibration
      ② Training using dental models
      ③ Simulation of oral health examination with human subjects
      ④ Field instruction and reproducing examination
      ⑤ Revision of the manual of oral health survey
      3. Results
      ○ Appropriate reliability of examination was attained through calibration training. Nevertheless, effort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examination should be continued.
      ○ Number of examiners should be reduced for the quality of examination. For this purpos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eed to hire dentists as examiners.
      ○ Attitude of examiners is very important for the quality of examination. To raise attitude to appropriate level, number of trainee should be reduced further.
      ○ Duration of study should be matched with real survey period. Current administration-oriented study period doesn’t match with the real survey period of quality control.
      ○ Recruiting method for periodontal examinee needs to be modified by fortifying pre-examination screening.
      ○ Repair system for air compressor on Mobile Examination Car should be improved not to leave it in the status of malfunction for more than a day.
      번역하기

      1. Purpose of the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reliability of oral health survey through calibration training in KNHANES. 2. Methods (1) Contents of the study ○ Ensuring and evaluation of reliability through calibration training ...

      1. Purpose of the stud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reliability of oral health survey through calibration training in KNHANES.
      2. Methods
      (1) Contents of the study
      ○ Ensuring and evaluation of reliability through calibration training
      (2) Methods
      ① Lectures for calibration
      ② Training using dental models
      ③ Simulation of oral health examination with human subjects
      ④ Field instruction and reproducing examination
      ⑤ Revision of the manual of oral health survey
      3. Results
      ○ Appropriate reliability of examination was attained through calibration training. Nevertheless, effort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examination should be continued.
      ○ Number of examiners should be reduced for the quality of examination. For this purpos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eed to hire dentists as examiners.
      ○ Attitude of examiners is very important for the quality of examination. To raise attitude to appropriate level, number of trainee should be reduced further.
      ○ Duration of study should be matched with real survey period. Current administration-oriented study period doesn’t match with the real survey period of quality control.
      ○ Recruiting method for periodontal examinee needs to be modified by fortifying pre-examination screening.
      ○ Repair system for air compressor on Mobile Examination Car should be improved not to leave it in the status of malfunction for more than a d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목표
      ○ 국민건강영양조사 구강검사의 수행과 관련하여, 구강검사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과 현장지도를 통해 조사의 신뢰도를 확보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 구강검사 조사자 교육훈련을 통한 조사기준 일치수준 확보 및 결과평가
      ○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조사지역 현장 정도관리
      (2) 연구방법
      ① 검진 기준에 대한 이론교육
      ② 다양한 치아우식증과 보철 상황을 재현해 놓은 모형을 이용하여 교육
      ③ 피검자를 대상으로 모의구강검진을 시행 후, 신뢰도 평가
      ④ 교육훈련 피교육자에 대한 현장 지도 실시 및 결과평가
      ⑤ 구강검사 지침 보완
      3. 연구결과
      ○ 국민건강영양조사 구강검사 전문조사원인 공중보건의 교육훈련 과정의 하나로 현장정도관리를 위한 구강역학 전문위원 교육훈련을 시행하였으며, 책임연구원인 최연희 교수를 Gold standard로 하여 검진결과 일치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치주병 유병자 기준 1차 평균 Kappa index가 0.700에서 2차 1.000으로 상승하였음.
      ○ 또한 기존의 지침서 뿐만 아니라 WHO기준의 검진지침 기준을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모색 하였으며, 이를 7기 이내에 수정 보완하여 8기에 도입할 목표로 지침서를 검토하였음.
      ○ 구강검사 전문조사원 교육훈련은 총 2회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1차는 2018년 하반기 구강검사 전문조사원 교육훈련, 2차는 2019년 상반기 구강검사 전문조사원 교육훈련을 목적으로 함. 그 결과,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 및 치주병 유병자 기준 Kappa index가 평균 0.7 이상을 보였음.
      ○ 구강역학 전문위원이 교육훈련 이후 공중보건의가 실제 검진현장에 투입되는 초기에 현장정도 관리를 진행하였으며, 검진일과 훈련기간의 차이가 클수록 다소 낮은 일치도를 보이기도 하였으나, 환류과정을 통하여 교육훈련 효과를 상기시키며 검진결과에 도움을 주었음.
      ○ 치주건강 측정 개선방안에 대한 모색으로 기계식 치주낭 측정검사 방법인 Florida probe의 사용법에 대하여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질병관리본부 소속 공중보건치과의에 한하여 일치도 확인 및 사용법 숙지 정도에 대하여 확인하였음.
      ○ 질병관리본부 소속 공중보건의 정기교육을 총 5회에 걸쳐 시행하였음. 이를 통해 구강검사 전문 조사원으로서 소속감을 고취시켰으며, 치주건강 측정 개선방안에 대한 양질의 의견을 수립함.
      번역하기

      1. 연구목표 ○ 국민건강영양조사 구강검사의 수행과 관련하여, 구강검사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과 현장지도를 통해 조사의 신뢰도를 확보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 구강검...

      1. 연구목표
      ○ 국민건강영양조사 구강검사의 수행과 관련하여, 구강검사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과 현장지도를 통해 조사의 신뢰도를 확보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 구강검사 조사자 교육훈련을 통한 조사기준 일치수준 확보 및 결과평가
      ○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조사지역 현장 정도관리
      (2) 연구방법
      ① 검진 기준에 대한 이론교육
      ② 다양한 치아우식증과 보철 상황을 재현해 놓은 모형을 이용하여 교육
      ③ 피검자를 대상으로 모의구강검진을 시행 후, 신뢰도 평가
      ④ 교육훈련 피교육자에 대한 현장 지도 실시 및 결과평가
      ⑤ 구강검사 지침 보완
      3. 연구결과
      ○ 국민건강영양조사 구강검사 전문조사원인 공중보건의 교육훈련 과정의 하나로 현장정도관리를 위한 구강역학 전문위원 교육훈련을 시행하였으며, 책임연구원인 최연희 교수를 Gold standard로 하여 검진결과 일치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치주병 유병자 기준 1차 평균 Kappa index가 0.700에서 2차 1.000으로 상승하였음.
      ○ 또한 기존의 지침서 뿐만 아니라 WHO기준의 검진지침 기준을 비교하여 개선방안을 모색 하였으며, 이를 7기 이내에 수정 보완하여 8기에 도입할 목표로 지침서를 검토하였음.
      ○ 구강검사 전문조사원 교육훈련은 총 2회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1차는 2018년 하반기 구강검사 전문조사원 교육훈련, 2차는 2019년 상반기 구강검사 전문조사원 교육훈련을 목적으로 함. 그 결과, 치아상태 및 치료필요도 및 치주병 유병자 기준 Kappa index가 평균 0.7 이상을 보였음.
      ○ 구강역학 전문위원이 교육훈련 이후 공중보건의가 실제 검진현장에 투입되는 초기에 현장정도 관리를 진행하였으며, 검진일과 훈련기간의 차이가 클수록 다소 낮은 일치도를 보이기도 하였으나, 환류과정을 통하여 교육훈련 효과를 상기시키며 검진결과에 도움을 주었음.
      ○ 치주건강 측정 개선방안에 대한 모색으로 기계식 치주낭 측정검사 방법인 Florida probe의 사용법에 대하여 검토를 시행하였으며, 질병관리본부 소속 공중보건치과의에 한하여 일치도 확인 및 사용법 숙지 정도에 대하여 확인하였음.
      ○ 질병관리본부 소속 공중보건의 정기교육을 총 5회에 걸쳐 시행하였음. 이를 통해 구강검사 전문 조사원으로서 소속감을 고취시켰으며, 치주건강 측정 개선방안에 대한 양질의 의견을 수립함.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