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해동학혁명'과 해월의 삶에 나타난 사인여천 사상 = Donghak Revolution in Yeonghae and the Thought of Sa-in-yeo-cheon shown in Haewol's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8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ese Abhandlung wird ausgeforscht, wie sich Haewol den Gedanken des Si-cheon-ju Suun's annimmt und entwickelt. Dies eroertert den Gedanken des Sa-in-yeo-cheon Haewol's. In conkreto steht das Denken, beispielsweise der Si-Cheong-Ju und der Soo-sim-jeong-gi(training of Keeping mind and right spirit) als der Basis des Sa-in-yeo-cheon und Yang-cheon-joo und Da-in-jeob-mul als die Praxis des Gedankens auf den Sa-in-yeo-cheon zur Diskussion.
      Die Haewol denkende Utopie ist, dass alle Menschen wie Han-ul-nim bedient werden koennen. Dies ist die Welt, dass alle Menschen wesentlich die gleiche Existenz erkannt werden koennen. Hierfuer fasst Haewol Si-cheong-ju Suun's praktisch auf. Er zeigt Yang-cheon-joo, Drei-gyung, Hyang-a-seol-we und Da-in-jeob-mul als praktische Methode vor. Dieser Gedanke Haewol's enhaelt nicht nur der Mensch, sondern auch die Gleichkeit der ganzen Natur, mit einem Wort das Bewusstsein der Hochachtung der Natur. Endlich betont er den Gedanken als Dong-gui-il-che, dass die ganze Natur aus Han-ul-nim kommen und den Han-ul-nim enthalten.
      번역하기

      Diese Abhandlung wird ausgeforscht, wie sich Haewol den Gedanken des Si-cheon-ju Suun's annimmt und entwickelt. Dies eroertert den Gedanken des Sa-in-yeo-cheon Haewol's. In conkreto steht das Denken, beispielsweise der Si-Cheong-Ju und der Soo-sim-jeo...

      Diese Abhandlung wird ausgeforscht, wie sich Haewol den Gedanken des Si-cheon-ju Suun's annimmt und entwickelt. Dies eroertert den Gedanken des Sa-in-yeo-cheon Haewol's. In conkreto steht das Denken, beispielsweise der Si-Cheong-Ju und der Soo-sim-jeong-gi(training of Keeping mind and right spirit) als der Basis des Sa-in-yeo-cheon und Yang-cheon-joo und Da-in-jeob-mul als die Praxis des Gedankens auf den Sa-in-yeo-cheon zur Diskussion.
      Die Haewol denkende Utopie ist, dass alle Menschen wie Han-ul-nim bedient werden koennen. Dies ist die Welt, dass alle Menschen wesentlich die gleiche Existenz erkannt werden koennen. Hierfuer fasst Haewol Si-cheong-ju Suun's praktisch auf. Er zeigt Yang-cheon-joo, Drei-gyung, Hyang-a-seol-we und Da-in-jeob-mul als praktische Methode vor. Dieser Gedanke Haewol's enhaelt nicht nur der Mensch, sondern auch die Gleichkeit der ganzen Natur, mit einem Wort das Bewusstsein der Hochachtung der Natur. Endlich betont er den Gedanken als Dong-gui-il-che, dass die ganze Natur aus Han-ul-nim kommen und den Han-ul-nim enthalt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월이 수운의 시천주(侍天主)사상을 어떤 식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지를 탐색한다. 이는 해월의 사인여천사상이 지닌 성격에 대한 논의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인여천 사상의 토대로서의 시천주(侍天主)와 수심정기(守心正氣)에 대한 논의이다. 그리고 사인여천 사상의 실천으로서의 양천주와 대인접물에 대한 논의이다.
      해월이 생각하는 이상사회는 모든 사람이 한울님처럼 대접받을 수 있는 사인여천의 사회이다. 이는 모든 인간을 본질적으로 동등한 존재로 인식하는 세계이다. 이를 위해 해월은 수운의 시천주(侍天主)사상을 실천적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시천주를 실천하는 방법으로 양천주(養天主)와 대인접물(待人接物), 삼경사상(三敬思想)과 향아설위(向我設位)사상을 제시한다. 이에는 인간뿐만 아니라 만물 평등주의, 즉 자연 존중 의식도 포함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해월은 모두가 한울님으로부터 나왔고, 한울님을 내포하고 있는 동귀일체(同歸一體)의 사상을 강조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해월이 수운의 시천주(侍天主)사상을 어떤 식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지를 탐색한다. 이는 해월의 사인여천사상이 지닌 성격에 대한 논의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인여천 사...

      본 연구는 해월이 수운의 시천주(侍天主)사상을 어떤 식으로 수용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지를 탐색한다. 이는 해월의 사인여천사상이 지닌 성격에 대한 논의이다. 구체적으로는 사인여천 사상의 토대로서의 시천주(侍天主)와 수심정기(守心正氣)에 대한 논의이다. 그리고 사인여천 사상의 실천으로서의 양천주와 대인접물에 대한 논의이다.
      해월이 생각하는 이상사회는 모든 사람이 한울님처럼 대접받을 수 있는 사인여천의 사회이다. 이는 모든 인간을 본질적으로 동등한 존재로 인식하는 세계이다. 이를 위해 해월은 수운의 시천주(侍天主)사상을 실천적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시천주를 실천하는 방법으로 양천주(養天主)와 대인접물(待人接物), 삼경사상(三敬思想)과 향아설위(向我設位)사상을 제시한다. 이에는 인간뿐만 아니라 만물 평등주의, 즉 자연 존중 의식도 포함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해월은 모두가 한울님으로부터 나왔고, 한울님을 내포하고 있는 동귀일체(同歸一體)의 사상을 강조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동희, "해월신사의 양천주 사상" 218 : 1959

      2 원용문, "해월신사법설주해" 동학종단협의회중앙총부 1978

      3 조순, "해월 최시형의 현실인식과 동학의 대중화" 한국동학학회 (19) : 41-58, 2005

      4 오문환, "해월 최시형의 정치사상" 모시는사람들 2004

      5 오문환, "해월 최시형의 생활정치사상 연구" 연세대 1995

      6 허호익, "해월 최시형의 삼경론의 삼태극적 구조와 천지인 신관" 한국기독교학회 (28) : 309-336, 2003

      7 성주현, "해월 최시형과 동학혁명" 4 (4):

      8 동학연구소, "해월 최시형과 동학사상" 예문서원 1999

      9 윤석산, "해월 선생의 행적 -이필제의 난 이후, 10년을 중심으로-" 한국동학학회 27 (27): 87-108, 2006

      10 황선희, "한국근대사상과 민족운동1-동학․천도교편" 혜안 1996

      1 최동희, "해월신사의 양천주 사상" 218 : 1959

      2 원용문, "해월신사법설주해" 동학종단협의회중앙총부 1978

      3 조순, "해월 최시형의 현실인식과 동학의 대중화" 한국동학학회 (19) : 41-58, 2005

      4 오문환, "해월 최시형의 정치사상" 모시는사람들 2004

      5 오문환, "해월 최시형의 생활정치사상 연구" 연세대 1995

      6 허호익, "해월 최시형의 삼경론의 삼태극적 구조와 천지인 신관" 한국기독교학회 (28) : 309-336, 2003

      7 성주현, "해월 최시형과 동학혁명" 4 (4):

      8 동학연구소, "해월 최시형과 동학사상" 예문서원 1999

      9 윤석산, "해월 선생의 행적 -이필제의 난 이후, 10년을 중심으로-" 한국동학학회 27 (27): 87-108, 2006

      10 황선희, "한국근대사상과 민족운동1-동학․천도교편" 혜안 1996

      11 표영삼, "최선생문집도원기서 해제" 465 : 1988

      12 라명재, "천도교 경전 공부하기" 모시는 사람들 2003

      13 김경일, "인본주의에서 본 동학사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6 : 1985

      14 정운채, "인내천진리와 사인여천주의" 성음사 1973

      15 김경재, "수운의 시천주 체험과 동학의 신관" 한국동학학회 4 : 1999

      16 오문환, "사람이 하늘이다" 솔 1996

      17 이현희, "동학혁명과 민중" 대광서림 1985

      18 표영삼, "동학창도과정" 천도교중앙총부출판부 1989

      19 한자경, "동학의 종교성 - 유학에서 서학, 무교, 불교를 거쳐 동학으로 -" 한국동학학회 16 (16): 157-185, 2004

      20 오문환, "동학의 정치철학" 모시는사람들 2004

      21 임형진, "동학의 정치사상-천도교청우당을 중심으로" 모시는사람들 2004

      22 윤석산, "동학의 인본사상" 지평 (4/4) : 1990

      23 김인환, "동학의 이해" 고려대출판부 1994

      24 이원희, "동학의 시천주 사상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 2003

      25 김용덕, "동학사의 연구" 1971

      26 황선희, "동학사상의 인본주의적 요소" 한국동학학회 3 : 1998

      27 신일철, "동학사상의 이해" 사회비평사 1995

      28 신일철, "동학사상의 이해" 사회비평사 1995

      29 최동희, "동학사상의 고유성과 다양성" 중앙대 한국학연구소 3 : 1974

      30 신복룡, "동학사상과 한국민족주의" 평민사 1978

      31 이현희, "동학사상과 동학혁명" 청아출판사 1985

      32 황선희, "동학사상 연구" 1985

      33 동학농민혁명기념사업회, "동학농민혁명과 사회운동" 하늘 1993

      34 윤석산, "동학교조 수운 최제우" 모시는 사람들 2004

      35 최기성,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운동 연구" 서경문화사 2002

      36 정혜정, "동학․천도교의 교육사상과 실천" 혜안 2001

      37 정혜정, "동학·천도교의 교육사상과 실천의 역사적 의의" 동국대 2001

      38 강재언, "갑오농민전쟁과 동학사상" 1982

      39 윤석산, "道源記書" 문덕사 1991

      40 김용천, "海月神師의 生涯와 思想" 천도교중앙총부 1969

      41 "海月神師法說"

      42 "海月文集"

      43 박맹수, "海月 崔時亨의 初期 行績과 思想" 3 : 1986

      44 최동희, "水雲의 人間觀" 1/2 : 1957

      45 표영삼, "水雲大神師의 生涯" (20) : 1985

      46 윤석산, "東經大全 註解" 동학사 1996

      47 "東經大全"

      48 최동희, "東學의 思想과 運動"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0

      49 黃善嬉, "東學의 思想變遷과 民族運動 硏究" 단국대 1990

      50 김용준, "東學의 人間觀" (21) : 1989

      51 신복룡, "東學思想과 甲午農民革命" 평민사 1985

      52 朴孟洙, "崔時亨硏究 : 主要活動과 思想을 中心으로" 한국정신문화원 1996

      53 "崔先生文集道源記書"

      54 김월해, "天道敎思想" 천도교중앙총부 1982

      55 李敦化, "天道敎創建史" 京仁文化社 1970

      56 "天道敎創建史"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