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871년 영해동학혁명의 사료와 자취 = Historical Records and Traces about Younghae-Donghak Revolution in 187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8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humanity is the best value in the pursuit of human free will to live, to receive equal treatment, to protect human dignity, trying to make the quality of life will improve. In this respect the history of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find the truth, and the descendants of those who took part in the revolution was honors will want.
      Jewoo-Choe the founder of a new religious Donghak on his last birthday October 28, 1863 in the village of Jikcheon in Youngduk korea. in front of so many disciples "by respecting human freedom as God and equality to the advent of the new world, the world will know that," he preached. He is saying, and then right to the moon on November 20 Government of the Joseon Dynasty sent a secret civil servant to arrest the following year on March 10 (lunar) was executed.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is the founder of Donghak Jewoo-Choe 7th anniversary of the execution of the March 10, 1871 (lunar), it happened. 600 people took part in the revolution that was at the Rock Screens in Gyeongsang Younghaebu Sumyeon Woojungdong camped gathered in the valley. They are wearing a lampshade on the head and wore a blue coating. They caught two cows up the Mt. Hyeongjebong Sky-god memorial ceremony. After this, the Younghaebu about 10km away and then entered the authorities. Authorities towards the door of the cannon to shoot the crowd four people died. Participants are responsible for capturing the Mayor, seize the sin of asking and after killed, shot a cannon after authorities received police chief were also killed. Participants arsenal to destroy the armed revolution was. They noon the next day, while civil rule handed the money to the poor people.
      The Military officers caught 96 people during the revolution, standing participants executed or died of engagement. But Sihyeong-Choe the Second Donghak religious reader, Pilje-Lee general, Sawean-Kang instructor staff, Nakgyun-Kim warriors, Seongmun- Jeon, five leaders at Mt. Ilwolsan escape from such a survived.
      Looking at historical records, during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the participants stated information being captured and tortured in Kyonamkongjuk, the journal of military operations in the Younghaebu Jukbyunmunchuk, punishing the content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like. The record of civilians leaving the Dowungisea, the Sinmiabyeonsiilgi, the Naamsulok, and so on. During the revolution, university participants 6, Confucian intellectuals in 23 patients, one person on local government officer, a commissioned officer, industrial, commercial, bobusang such as walks, etc. They gathered to see the article of DuBung-Nam’s. letters of the "Righteous Army to prevent the national crisis, this became" The Younghae- Donghak Revolution is to achieve freedom and equality, modern civil revolution. Compared with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when the revolution of human dignity, freedom and equality is similar in that you want to recover.
      번역하기

      Today, humanity is the best value in the pursuit of human free will to live, to receive equal treatment, to protect human dignity, trying to make the quality of life will improve. In this respect the history of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find the...

      Today, humanity is the best value in the pursuit of human free will to live, to receive equal treatment, to protect human dignity, trying to make the quality of life will improve. In this respect the history of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find the truth, and the descendants of those who took part in the revolution was honors will want.
      Jewoo-Choe the founder of a new religious Donghak on his last birthday October 28, 1863 in the village of Jikcheon in Youngduk korea. in front of so many disciples "by respecting human freedom as God and equality to the advent of the new world, the world will know that," he preached. He is saying, and then right to the moon on November 20 Government of the Joseon Dynasty sent a secret civil servant to arrest the following year on March 10 (lunar) was executed.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is the founder of Donghak Jewoo-Choe 7th anniversary of the execution of the March 10, 1871 (lunar), it happened. 600 people took part in the revolution that was at the Rock Screens in Gyeongsang Younghaebu Sumyeon Woojungdong camped gathered in the valley. They are wearing a lampshade on the head and wore a blue coating. They caught two cows up the Mt. Hyeongjebong Sky-god memorial ceremony. After this, the Younghaebu about 10km away and then entered the authorities. Authorities towards the door of the cannon to shoot the crowd four people died. Participants are responsible for capturing the Mayor, seize the sin of asking and after killed, shot a cannon after authorities received police chief were also killed. Participants arsenal to destroy the armed revolution was. They noon the next day, while civil rule handed the money to the poor people.
      The Military officers caught 96 people during the revolution, standing participants executed or died of engagement. But Sihyeong-Choe the Second Donghak religious reader, Pilje-Lee general, Sawean-Kang instructor staff, Nakgyun-Kim warriors, Seongmun- Jeon, five leaders at Mt. Ilwolsan escape from such a survived.
      Looking at historical records, during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the participants stated information being captured and tortured in Kyonamkongjuk, the journal of military operations in the Younghaebu Jukbyunmunchuk, punishing the content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like. The record of civilians leaving the Dowungisea, the Sinmiabyeonsiilgi, the Naamsulok, and so on. During the revolution, university participants 6, Confucian intellectuals in 23 patients, one person on local government officer, a commissioned officer, industrial, commercial, bobusang such as walks, etc. They gathered to see the article of DuBung-Nam’s. letters of the "Righteous Army to prevent the national crisis, this became" The Younghae- Donghak Revolution is to achieve freedom and equality, modern civil revolution. Compared with the Younghae-Donghak Revolution of the French Revolution when the revolution of human dignity, freedom and equality is similar in that you want to recov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인류사회에서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는 자유로운 의지로 살며, 평등한 대우를 받으며,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키고,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영해동학혁명에 대한 역사의 진실을 밝혀, 당시 혁명에 참가한 사람들과 후손들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데 있다.
      새로운 종교인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는 그의 마지막 생일날인 1863년10월28일 영덕 직천마을에서 수많은 제자들 앞에서 "인간존엄성을 신과 같이 함으로서 자유(자존)와 평등(무극대도)의 새로운 세상이 도래한다(후천개벽)는 것을 세상에 알리라"고 설교했다. 그는 이 말을 한 후, 한 달도 못되는 11월20일 정부가 비밀로 파견한 공무원(암행어사)에게 체포되어 다음 해 3월10일(음력) 처형되었다.
      영해동학혁명은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의 처형 7주년이 되는 음력 1871년 3월10일(양력 4월29일)에 일어났다. 혁명에 참가한 600여명은 당시 경상도 영해부 서면 우정동 병풍바위 아래 집결하여 산골짜기에 야영을 했다. 이들은 머리에 갓을 쓰고 푸른색 도포를 입었다. 이들은 소를 두 마리 잡아서 형제봉 산에 올라가 하늘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그 후 10km 가량 떨어진 영해부 관청에 진입하였다. 관청문 앞에서 군중들을 향해 대포를 쏘아 4명이 죽었다. 혁명참가자들은 책임자인 부사(시장급)를 붙잡아서 포박하여 죄를 묻고 난 뒤 죽이고, 대포를 쏜 수석포교(경찰서장급)도 죽인 후에 관청을 접수하였다. 무기 창고를 파괴하여 혁명참가자들이 무장하였다. 그들은 다음 날 정오까지 민권통치를 하면서 가난한 두민(시의 동장급)들에게 돈을 나누어 주었다.
      이들 혁명참가자 중에 96명이 관군에 붙잡혀서 처형되거나 교전으로 죽었다. 그러나 제2대 동학교주 최시형, 이필제 장군, 강사원 참모, 김낙균 무사, 전성문 등 5명의 지도자는 일월산 울연전에서 탈출하여 살아났다.
      영해동학혁명을 기록한 사료로는, 혁명 참가자 중에 붙잡혀서 고문을 받고 진술한 내용인 교남공적, 관군의 군사작전일지인 영해부적변문축, 처벌 내용이 적힌 조선왕조실록 등이 있다. 그 밖에 민간인이 남겨둔 기록으로 도원기서, 신미아변시 일기, 나암수록, 등이 있다. 혁명참가자 중에는 대학생 6명, 지식층인 유학자 23명, 현역장교 1명, 공무원인 이방 1명, 공업, 상업, 보부상, 등이다. 그들은 “나라의 위기를 막기 위해서 의병이 되자”는 남두병의 글을 보고 모여들었다. 영해동학혁명은 프랑스혁명과 비교될 정도로 자유와 평등을 실현한 근대 시민혁명이었다.
      번역하기

      오늘날 인류사회에서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는 자유로운 의지로 살며, 평등한 대우를 받으며,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키고,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

      오늘날 인류사회에서 인간이 추구하는 최고의 가치는 자유로운 의지로 살며, 평등한 대우를 받으며,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키고, 삶의 질이 향상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영해동학혁명에 대한 역사의 진실을 밝혀, 당시 혁명에 참가한 사람들과 후손들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데 있다.
      새로운 종교인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는 그의 마지막 생일날인 1863년10월28일 영덕 직천마을에서 수많은 제자들 앞에서 "인간존엄성을 신과 같이 함으로서 자유(자존)와 평등(무극대도)의 새로운 세상이 도래한다(후천개벽)는 것을 세상에 알리라"고 설교했다. 그는 이 말을 한 후, 한 달도 못되는 11월20일 정부가 비밀로 파견한 공무원(암행어사)에게 체포되어 다음 해 3월10일(음력) 처형되었다.
      영해동학혁명은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의 처형 7주년이 되는 음력 1871년 3월10일(양력 4월29일)에 일어났다. 혁명에 참가한 600여명은 당시 경상도 영해부 서면 우정동 병풍바위 아래 집결하여 산골짜기에 야영을 했다. 이들은 머리에 갓을 쓰고 푸른색 도포를 입었다. 이들은 소를 두 마리 잡아서 형제봉 산에 올라가 하늘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그 후 10km 가량 떨어진 영해부 관청에 진입하였다. 관청문 앞에서 군중들을 향해 대포를 쏘아 4명이 죽었다. 혁명참가자들은 책임자인 부사(시장급)를 붙잡아서 포박하여 죄를 묻고 난 뒤 죽이고, 대포를 쏜 수석포교(경찰서장급)도 죽인 후에 관청을 접수하였다. 무기 창고를 파괴하여 혁명참가자들이 무장하였다. 그들은 다음 날 정오까지 민권통치를 하면서 가난한 두민(시의 동장급)들에게 돈을 나누어 주었다.
      이들 혁명참가자 중에 96명이 관군에 붙잡혀서 처형되거나 교전으로 죽었다. 그러나 제2대 동학교주 최시형, 이필제 장군, 강사원 참모, 김낙균 무사, 전성문 등 5명의 지도자는 일월산 울연전에서 탈출하여 살아났다.
      영해동학혁명을 기록한 사료로는, 혁명 참가자 중에 붙잡혀서 고문을 받고 진술한 내용인 교남공적, 관군의 군사작전일지인 영해부적변문축, 처벌 내용이 적힌 조선왕조실록 등이 있다. 그 밖에 민간인이 남겨둔 기록으로 도원기서, 신미아변시 일기, 나암수록, 등이 있다. 혁명참가자 중에는 대학생 6명, 지식층인 유학자 23명, 현역장교 1명, 공무원인 이방 1명, 공업, 상업, 보부상, 등이다. 그들은 “나라의 위기를 막기 위해서 의병이 되자”는 남두병의 글을 보고 모여들었다. 영해동학혁명은 프랑스혁명과 비교될 정도로 자유와 평등을 실현한 근대 시민혁명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현, "후천개벽의 횃불" 현우사 2008

      2 조극훈, "헤겔의 정신철학과 동학" 동학학회 (19) : 37-67, 2010

      3 "한국학자료총서 제9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4 "한국학자료총서 제9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5 김기현, "최초의 동학혁명" 황금알 2002

      6 윤석산, "초기동학의 역사 도원기서" 신서원 2000

      7 이돈화, "천도교창건사" 천도교중앙종리원 1933

      8 "영해부적변문축"

      9 박맹수, "사료로 보는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모시는 사람들 2011

      10 노태구, "동학혁명의 연구" 백산서당 1982

      1 김기현, "후천개벽의 횃불" 현우사 2008

      2 조극훈, "헤겔의 정신철학과 동학" 동학학회 (19) : 37-67, 2010

      3 "한국학자료총서 제9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4 "한국학자료총서 제9집"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5 김기현, "최초의 동학혁명" 황금알 2002

      6 윤석산, "초기동학의 역사 도원기서" 신서원 2000

      7 이돈화, "천도교창건사" 천도교중앙종리원 1933

      8 "영해부적변문축"

      9 박맹수, "사료로 보는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모시는 사람들 2011

      10 노태구, "동학혁명의 연구" 백산서당 1982

      11 조기주, "동학의 원류" 천도교중앙총부출판부 1982

      12 배항섭,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한울 5 : 1994

      13 채길순, "동학기행" 신인간사 2008

      14 성주현, "동학과 동학혁명의 재인식" 국학자료원 2010

      15 신용하, "동학과 갑오농민전쟁" 일조각 1993

      16 유병덕, "동학·천도교" ㈜교문사 1993

      17 "나암수록" 국사편찬위원회 27 : 1980

      18 "교남공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0 : 1989

      19 채길순, "경상북도 지역의 동학 활동 연구- 사적지를 중심으로" 동학학회 (27) : 93-134,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Donghak Studies -> The Korea Journal of Donghak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5 0.797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