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교수․학습 모형 제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Korean Filial Piety Culture Education Plan Using Korean Pop Songs- Focusing on the Proposal of a Collaborative Inquiry󰠀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Educ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7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ultivate foreign Korean learners’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nd effe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education, targeting advanced foreign Korean learners, a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ype based on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popular songs. It aims to propose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and the necessity of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n efficient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plan, the usefulness of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ongs and popular songs was evaluated. I looked at it. And based on this, a collaborative inquiry-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popular songs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education was propos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nd its application, learners can go beyond understand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vely solving problems with self-awareness of problems. By inducing them, you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ultivating your communication skill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ultivate foreign Korean learners’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nd effe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education, targeting advanced foreign Korean learners, a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ype based on integrated langua...

      This study aims to cultivate foreign Korean learners’ Korea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nd effectively promote Korean culture education, targeting advanced foreign Korean learners, a collaborative inquiry learning type based on integrated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popular songs. It aims to propose a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ial piety and the necessity of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and to prepare an efficient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plan, the usefulness of Korean filial value culture educ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ongs and popular songs was evaluated. I looked at it. And based on this, a collaborative inquiry-learn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using popular songs based on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ed education was proposed.
      Through the teaching-learn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nd its application, learners can go beyond understanding ‘Korean filial value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cooperatively solving problems with self-awareness of problems. By inducing them, you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cultivating your communication skil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및 한국문화교육의 효율적 방안으로서,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중가요를 활용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 ․ 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효 사상의 특징과 효 가치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중가요의 특징과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의 유용성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대중가요를 활용한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모형과 이의 적용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한국의 효 가치문화’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자기 성찰, 내면화, 생활화까지 가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및 한국문화교육의 효율적 방안으로서,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중가요를 활용한 언어․...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 및 한국문화교육의 효율적 방안으로서, 고급 수준의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중가요를 활용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 ․ 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효 사상의 특징과 효 가치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중가요의 특징과 대중가요를 활용한 한국 효 가치문화 교육의 유용성을 살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언어․문화 통합 교육 기반 대중가요를 활용한 협력적 탐구학습형 ‘한국의 효 가치문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모형과 이의 적용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문제를 협력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한국의 효 가치문화’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자기 성찰, 내면화, 생활화까지 가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영석, "효사상(孝思想)과 문학(⽂學)(Ⅰ)" 26 (26): 50-66, 1998

      2 정영길, "효 사상과 한국문학의 상관성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27) : 127-151, 2013

      3 한관일, "효 사상(孝思想)과 효 문화(孝⽂化): 조선시대(朝鮮時代) 『소학(⼩學)』의 효사상(孝思想)" 15 : 87-126, 2010

      4 김익수, "홍익인간사상을 바탕으로 한 단군왕검 인간 366사와 겨레의 효사상" 31 : 13-38, 2018

      5 윤영, "한국어교육에서 고전설화를 활용한 ‘효’의 가치 교육 방안 연구: 『삼국유사』「孝善」編의 효행 설화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769-792, 2019

      6 최인락,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7 김덕경,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노래 활용 수업지도방안 연구" 남서울대학교 2017

      8 이영미, "한국 대중가요사" 민속원 2006

      9 김해옥, "한국 대중가요 분석과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활용"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55-78, 2019

      10 장유정,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 연구 : 유성기 음반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 오영석, "효사상(孝思想)과 문학(⽂學)(Ⅰ)" 26 (26): 50-66, 1998

      2 정영길, "효 사상과 한국문학의 상관성 연구" 국제언어문학회 (27) : 127-151, 2013

      3 한관일, "효 사상(孝思想)과 효 문화(孝⽂化): 조선시대(朝鮮時代) 『소학(⼩學)』의 효사상(孝思想)" 15 : 87-126, 2010

      4 김익수, "홍익인간사상을 바탕으로 한 단군왕검 인간 366사와 겨레의 효사상" 31 : 13-38, 2018

      5 윤영, "한국어교육에서 고전설화를 활용한 ‘효’의 가치 교육 방안 연구: 『삼국유사』「孝善」編의 효행 설화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769-792, 2019

      6 최인락,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7 김덕경,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노래 활용 수업지도방안 연구" 남서울대학교 2017

      8 이영미, "한국 대중가요사" 민속원 2006

      9 김해옥, "한국 대중가요 분석과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활용"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55-78, 2019

      10 장유정, "일제강점기 한국 대중가요 연구 : 유성기 음반 자료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1 김용주, "양자 효행 설화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3

      12 김덕균, "삼국유사를 통해 본 삼국시대의 효문화" 3 : 67-88, 2006

      13 김제호, "문화변동과 한국 민속학의 대응과 역할" 민속원 2011

      14 Fiske, J., "대중문화의 이해" 경문사 2002

      15 이순덕, "대중가요 속 효 가사에 나타난 세대 간 소통"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8

      16 임수진, "대중가요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시 쓰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 국어교육연구소 (42) : 133-200, 2018

      17 변혜원,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모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8 김중섭,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교육과정 적용 연구" 국립국어원 2017

      19 김은아, "고전 소설의 현대적 변용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 : <심청전>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0 한설옥,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대중가요와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0 (30): 241-264,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