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신학, 구약 역사서 연구 -이경숙의 신학을 중심으로 = Womanist Theology, Study of the Old Testament History Books: Lee Kyoung Sook’s The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00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purpose to study the feminine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History books. First I investigate the womanist theology, feminism, feminist criticism,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culture and Women. Lee Kyoung Sook’s Theology is not the theology of Old Testament History Books (Deuteronomistic History and Chronicle History Study) but the womanist theology in the liberation of women.
      Therefore I try to research Lee Kyoung Sook’s approach to the Old Testament, by knowing that the woman’s value and God’s creation purpose, the reason of a new Being in the New Testament, the order of the church. Also I find out that the feminist theology can integrate all areas of theology, especially eco-theology.
      Moreover, I intend to succeed to the woman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such as Sarah, Hagar, Deborah, Esther, Ruth, Rahab, Huldah and last Maria of NT. etc. The meaning of Old Testament Theology in the perspective of Womanist theology needs to be studied. It is a possibility that the womanist theology could be the core of the life theology from woman liberation theology to eco-theology, Tong-Il theology. Now it is freshly produced that womanist theology contributes to develop the order of the church and creation in the perspective of liberation.
      번역하기

      I purpose to study the feminine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History books. First I investigate the womanist theology, feminism, feminist criticism,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culture and Women. Lee Kyoung Sook’s Theology is not the theology of...

      I purpose to study the feminine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History books. First I investigate the womanist theology, feminism, feminist criticism,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culture and Women. Lee Kyoung Sook’s Theology is not the theology of Old Testament History Books (Deuteronomistic History and Chronicle History Study) but the womanist theology in the liberation of women.
      Therefore I try to research Lee Kyoung Sook’s approach to the Old Testament, by knowing that the woman’s value and God’s creation purpose, the reason of a new Being in the New Testament, the order of the church. Also I find out that the feminist theology can integrate all areas of theology, especially eco-theology.
      Moreover, I intend to succeed to the woman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such as Sarah, Hagar, Deborah, Esther, Ruth, Rahab, Huldah and last Maria of NT. etc. The meaning of Old Testament Theology in the perspective of Womanist theology needs to be studied. It is a possibility that the womanist theology could be the core of the life theology from woman liberation theology to eco-theology, Tong-Il theology. Now it is freshly produced that womanist theology contributes to develop the order of the church and creation in the perspective of lib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이경숙의 여성신학, 구약역사서 연구를 중심으로 여성신학을 다룬다. 이경숙 교수는 여성해방이라는 차원에서 여성신학과 여성비평적 방법론으로 연구한다. 이러한 논지에 대해 창조질서의 관점에서 다시 여성신학의 논의를 문제 삼는다. 이경숙의 여성신학을 소개하며 하나님이 여성을 창조한 목적과 이유, 그리고 신약 성경에서 보여준 여성의 가치와 위치, 교회의 질서 안에서 여성의 존재이유를 찾고자 하는 시도를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이경숙의 여성신학, 구약역사서 연구를 중심으로 여성신학을 다룬다. 이경숙 교수는 여성해방이라는 차원에서 여성신학과 여성비평적 방법론으로 연구한다. 이러한 논지에 대해 ...

      이 논문은 이경숙의 여성신학, 구약역사서 연구를 중심으로 여성신학을 다룬다. 이경숙 교수는 여성해방이라는 차원에서 여성신학과 여성비평적 방법론으로 연구한다. 이러한 논지에 대해 창조질서의 관점에서 다시 여성신학의 논의를 문제 삼는다. 이경숙의 여성신학을 소개하며 하나님이 여성을 창조한 목적과 이유, 그리고 신약 성경에서 보여준 여성의 가치와 위치, 교회의 질서 안에서 여성의 존재이유를 찾고자 하는 시도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숙, "희년을 향한 한국 여성신학의 과제" 371 : 77-88, 1989

      2 박신배, "환원신학의 세계:초대교회로의 행진" 더북 2013

      3 최영실, "한의 질곡에서 생명으로 피어나는 한국 여성신학" (100) : 122-124, 1998

      4 이경숙, "한나의 슬픔과 기쁨 그리고 신학" 426 : 141-143, 1994

      5 이경숙, "한국여성신학의 발자취와 미래-주제별 고찰과 내일의 과제-" 한국기독교학회 (50) : 175-214, 2007

      6 최만자, "한국여성신학-그 신학 새로 하기의 어제와 내일, In 여성의 삶, 그리고 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39-141, 2005

      7 서현선, "한국 여성의 경험에 대한 여성신학적 고찰, In 한국 여성의 경험" 대한기독교서회 17-18, 1994

      8 이은선, "한국 여성그리스도의 도래를 감지하며, In 발로 쓴 생명의 역사, 기독여민회 20년" 대한기독교서회 2007

      9 양명수, "폴 리쾨르의 해석학과 여성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49) : 163-208, 2010

      10 박신배, "태극 신학과 한국 문화" 동연 2009

      1 이경숙, "희년을 향한 한국 여성신학의 과제" 371 : 77-88, 1989

      2 박신배, "환원신학의 세계:초대교회로의 행진" 더북 2013

      3 최영실, "한의 질곡에서 생명으로 피어나는 한국 여성신학" (100) : 122-124, 1998

      4 이경숙, "한나의 슬픔과 기쁨 그리고 신학" 426 : 141-143, 1994

      5 이경숙, "한국여성신학의 발자취와 미래-주제별 고찰과 내일의 과제-" 한국기독교학회 (50) : 175-214, 2007

      6 최만자, "한국여성신학-그 신학 새로 하기의 어제와 내일, In 여성의 삶, 그리고 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39-141, 2005

      7 서현선, "한국 여성의 경험에 대한 여성신학적 고찰, In 한국 여성의 경험" 대한기독교서회 17-18, 1994

      8 이은선, "한국 여성그리스도의 도래를 감지하며, In 발로 쓴 생명의 역사, 기독여민회 20년" 대한기독교서회 2007

      9 양명수, "폴 리쾨르의 해석학과 여성신학" 한국신학연구소 (149) : 163-208, 2010

      10 박신배, "태극 신학과 한국 문화" 동연 2009

      11 이윤경, "쿰란공동체의 안식일 이해: 안식일 법, 정결례, 예식" 한국신학연구소 (149) : 41-64, 2010

      12 이경숙, "출애굽의 여성 지도자 미리암" 412 : 179-185, 1993

      13 서현선, "초기 기독교의 여성다움(Feminity)이해, In 여성과 초대 기독교"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2

      14 이경숙, "창세기 2-3장에 들어있는 신화적 요소와 그 신학적 메시지: 여성신학적 관점에서" 한국신학연구소 27-28, 2005

      15 이경숙, "창세기 2-3장에 들어있는 신화적 요소와 그 신학적 메시지: 여성신학적 관점에서" 한국신학연구소 52-54, 2005

      16 이경숙, "이스라엘의 조상 사라와 베두인의 조상 하갈 이야기: 창세기 16장과 21장을 중심으로" 410 : 164-165, 1993

      17 이경숙, "이스라엘 집을 세운 라헬과 레아(창 29:31-30:24; 35:16-20)" 411 : 209-210, 1993

      18 이은선, "유교와 그리스도교, In 포스트모던 시대의 한국 여성신학" 분도출판사 33-35, 1997

      19 이경숙, "요시야 종교 개혁의 동반자, 여예언자 훌다" 419 : 192-198, 1993

      20 박경미, "오소서, 창조자의 영이여!-한국교회와 여성주의적 성서해석" 대한기독교서회 470 : 27-28, 1998

      21 정미현, "예수인가 바리데기인가" 95 (95): 95-122, 2005

      22 하비콕스, "영성·음악·여성: 21세기 종교와 성령운동" 동연 1998

      23 김애영, "여성해방적 예배의 추구와 전망" 한국신학연구소 (146) : 131-166, 2009

      24 이경숙, "여성해방과 성서해석, In 신학하며 사랑하며" 문학과 지성사 67-81, 1996

      25 이경숙, "여성의 올바른 위치 정립" 334 : 184-188, 1986

      26 이경숙, "여성의 연대성을 강조하는 입다의 딸 설화(삿 11:1-40)" 422 : 194-195, 1994

      27 이경숙, "여성신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읽는 창녀 라합 이야기(수2:1-24, 6:22-26)" 한국신학연구소 (134) : 47-70, 2006

      28 장상, "여성신학과 창조신앙의 의의, In 한국여성신학의 과제" 한국여신학자협의회 44-62, 1983

      29 이경숙, "아탈랴의 정치적 운명(왕하 11:1-21)" 423 : 181-183, 1994

      30 강남순, "아시아와 한국이 여성신학, In 페미니즘과 기독교" 대한기독교서회 1998

      31 이경숙, "아시아 여성신학 정립을 위한 제언" 456 : 69-87, 1996

      32 이경숙, "시형제 결혼을 쟁취하여 구원사를 엮어 낸 이방여성 다말과 룻, In 다문화와 여성신학" 대한기독교서회 2008

      33 이경숙, "성서기자의 눈으로 본 여성의 유형, In 여성신학과 한국교회" 한국 신학연구소 1997

      34 이경숙, "사울이 방문했던 엔돌의 무당: 삼상 28:3-25" 420 : 202-205, 1993

      35 김엘리, "민족과 여성신학" 한들출판사 39-41, 2006

      36 김엘리, "민족과 여성신학" 한들출판사 89-104, 2006

      37 구미정, "무덤에서 모태로 - 한국교회의 환골탈태를 위한 대안적 상상력" 한국신학연구소 (145) : 245-270, 2009

      38 이경숙, "동족과 복수에 희생된 삼손의 부인-딤나의 여인" 421 : 187-189, 1994

      39 피오렌자 E. S., "돌이 아니라 빵을" 대한기독교서회 1994

      40 김선희, "도로테 죌레 좌담회(죌레, 이경숙, 채수일)" 대한기독교서회 475 : 76-77, 1998

      41 이경숙, "다윗 왕조에 관한 신명기 역사가들의 기대와 비판" 341 : 129-130, 1987

      42 장상, "기독교 여성관의 재발견" 한국여성학회 (창간) : 93-121, 1985

      43 이경숙, "구약성서의 하나님·역사·여성" 대한기독교서회 2000

      44 이경숙, "구약성서의 하나님·역사·여성" 대한기독교서회 2000

      45 이경숙, "공동체 의식으로 서로 신실한 룻, 나오미, 보아스" 424 : 168-177, 1994

      46 유연희,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창 16:8): 페미니스트 비평과 하갈과 사라 이야기(창16장과 21장)" 23 : 102-105, 2007

      47 Gebara, Ivone, "Ecofeminism, In Dictionary of Feminist Theologie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6

      48 Laffey, Alice L., "An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 A Feminist Perspective" Fortress Press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4-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Old Testament Society -> Korean Journal of Old Testament Studies KCI등재
      2017-03-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Old Testament Society -> Korean Society of Old Testament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58 0.78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