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ant의 "자유"개념이 주는 수학 교육적 의의에 관한 연구 =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Education about Kant`s "freed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94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산업사회에서의 수학교육은 실용성을 추구하면서 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강조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보여주듯이 이념을 바탕으로 한 수학교육은 표면적으로 ...

      정보산업사회에서의 수학교육은 실용성을 추구하면서 생활 속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강조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보여주듯이 이념을 바탕으로 한 수학교육은 표면적으로 외재적 목적과 수학교육의 실용주의적 입장을 중시하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그 이면에 전통적으로 추구되어 온 수학교육의 이념이 가지는 가치를 중시하고 있다. Kant의 자유라는 개념 역시 이념을 바탕으로 한 수학교육의 인성 교육적 가치에 대한 가능한 하나의 설명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Kant의 ‘자유’개념은 도덕법칙과의 관계를 통해 확립된 도덕성의 선험적 근거이며 형식으로서 도덕적 실천을 위한 이념으로서 이해된다. Kant의 자유개념이 주는 수학 교육적 의의는 수학교육이 인간의 성장을 추구하는 한 수학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은 이념으로서 자유와 관련되며, 이념으로서 자유는 인간 마음의 심층적 기준이며 도덕성의 형식으로서 수학교육의 도덕적 의미를 가능케 하는 수학교육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industrial information society emphasis on the practical and problem-solving skills. But Even though the current global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seem to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extrinsic purpose and a pra...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industrial information society emphasis on the practical and problem-solving skills. But Even though the current global trends in mathematics education seem to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extrinsic purpose and a pragmatic position, mathematics education which based a the ideals presented in Korea curriculum can not be neglected with The value of the ideals of mathematics education. Kant`s freedom suggests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humanity value of mathematics education. Kant`s freedom can be understood as a priori of moral and a ideals for the practice of moral.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Education about Kant`s ‘freedom’ is the core of the human mind, and it may be the ideal type that makes moral education. If Mathematics education pursue to the growth of a human, it have associated with the freedo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문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 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9 (9): 111-135, 2005

      2 임재훈, "플라톤의 수학교육 철학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Kant, I., "판단력비판" 박영사 1974

      4 최재희,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연구" 박영사 1983

      5 임태평, "칸트의 교육 철학" 학문사 1983

      6 한자경, "칸트와 초월철학 : 인간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1992

      7 김용정, "칸트哲學硏究 : 自然과 自由의 統一" 유림사 1996

      8 Kant, I.,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3

      9 Kant, I.,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1972

      10 임재훈, "수학교육의 내재적 목적" 225-242, 2003

      1 임문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목표에 관한 고찰 - 20세기 말 개정된 교육과정 및 해설서를 중심으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9 (9): 111-135, 2005

      2 임재훈, "플라톤의 수학교육 철학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Kant, I., "판단력비판" 박영사 1974

      4 최재희,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연구" 박영사 1983

      5 임태평, "칸트의 교육 철학" 학문사 1983

      6 한자경, "칸트와 초월철학 : 인간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1992

      7 김용정, "칸트哲學硏究 : 自然과 自由의 統一" 유림사 1996

      8 Kant, I.,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3

      9 Kant, I.,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1972

      10 임재훈, "수학교육의 내재적 목적" 225-242, 2003

      11 교육과학기술부,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2

      12 이홍우, "성리학의 교육이론" 성경재 / 교육과학사 배포 2000

      13 신춘호, "교육이론으로서의 칸트 철학 : 판단력 비판 해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4 장성모, "교과교육과 심성함양" 25 : 1-13, 2004

      15 金應泰, "數學 敎育學 槪論" 서울大學校出版部 1984

      16 朴榮培, "數學 敎授·學習의 構成主義的 展開에 關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17 이홍우, "敎科와 實在" 13 (13): 1-25, 2001

      18 Paton, H. J, "The Categorical Imperative: A Study in Kant’s Moral Philosophy" Hutchinson of London 1970

      19 Carson, E., "Locke and Kant on mathematical knowledge, In Intuition and the axiomatic method" Springer 21-46, 2006

      20 Carl J. Posy, "Kants philosophy of mathematics : modern essay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2

      21 Copleston, F., "History of Philosophy, vol 6" Newman Press 1961

      22 Cantor, G., "Grundlagen einer allgemeinen, In The Search for Mathematical Roots 1870-1940"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83

      23 Campbell, S. R., "Constructivism and the limits of reason : revisiting the Kantian problematic" 21 : 421-445, 2002

      24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7 1.7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