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탐라문화의 성격과 발전 방향 = The Character of 『Tamna-munhwa』 and Direction for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050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 has mainly focused on four main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amna Institute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Jeju Culture and
      Tamna Culture from a present point of view of Jeju. It is called Tamna
      Culture before the Goryeo Dynasty and Jeju culture after i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thing much between the two other than the change
      of their name for the sake of the ruling adminstration. The Jeju Culture
      has inherited the Tamna Culture.
      Secondly, The cultures of Tamna might be unproved. However, the
      Tamna Cultur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owing the peculiar
      characters of various cultures in Jeju. This is the main reason we, Jeju
      people, have to explore, and preserve the lives and the customs in Jeju
      which could be traced back to the Tamna Culture.
      Thirdly, it is strongly expected that the Tamna Institute focus on
      two things: to research the traditional Jeju cultures and to train
      researchers for these cultures. Research centering around dialect,
      traditional literacy and folk customs has been extended into the other
      areas.
      Finally, different research methods have been adopted for the new
      directions. The Tamna Institute should be the place in which the
      results of individual researchs have been talked and debated. Various
      discussions can lead researchers,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to the innovative conclusions. This is the way to show what
      a genuine Jeju culture is about. Furthermore, it should be mentioned
      that new efforts should be made to retrieve the ancient culture of Jeju
      through the comparison of that of neighboring countries.
      번역하기

      The author has mainly focused on four main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amna Institute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Jeju Culture and Tamna Culture from a present point of view of Jeju. It is ...

      The author has mainly focused on four main things for the
      development of the Tamna Institute of Cheju National University.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Jeju Culture and
      Tamna Culture from a present point of view of Jeju. It is called Tamna
      Culture before the Goryeo Dynasty and Jeju culture after i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nothing much between the two other than the change
      of their name for the sake of the ruling adminstration. The Jeju Culture
      has inherited the Tamna Culture.
      Secondly, The cultures of Tamna might be unproved. However, the
      Tamna Cultur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owing the peculiar
      characters of various cultures in Jeju. This is the main reason we, Jeju
      people, have to explore, and preserve the lives and the customs in Jeju
      which could be traced back to the Tamna Culture.
      Thirdly, it is strongly expected that the Tamna Institute focus on
      two things: to research the traditional Jeju cultures and to train
      researchers for these cultures. Research centering around dialect,
      traditional literacy and folk customs has been extended into the other
      areas.
      Finally, different research methods have been adopted for the new
      directions. The Tamna Institute should be the place in which the
      results of individual researchs have been talked and debated. Various
      discussions can lead researchers,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t
      opinions, to the innovative conclusions. This is the way to show what
      a genuine Jeju culture is about. Furthermore, it should be mentioned
      that new efforts should be made to retrieve the ancient culture of Jeju
      through the comparison of that of neighboring coun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의 발전을 위한 논의를 4가지로 제시하
      였다.
      첫째, 오늘의 제주도에 관해 접근할 때, 제주문화와 탐라문화를 구별하여야
      한다. 고려시대 이전에는 탐라시대의 문화요, 그 이후는 제주문화이다. 행정구
      역 명칭만 제주로 바뀌었을 뿐, 거주자나 그들의 문화는 그대로 이어져 온 것
      이 사실이다.
      둘째, 탐라 시대의 문화는 추론에 불과할 수 있다. 하지만 제주도 문화의 특
      수성을 드러내는 데는 탐라시대 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
      재의 제주도민의 삶 속에 숨어 있는 탐라시대의 문화 요소를 찾아내어 기록하
      고 보존해야 한다.
      셋째, 탐라문화연구소는 제주도의 전통문화를 조사하고 연구할 뿐만 아니라
      여기에 종사할 수 있는 연구자를 양성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방언, 구비문학,
      민속에 한정한 연구가 중심을 이루었지만 앞으로는 그 폭을 넓혀야 한다.
      넷째, 문화 연구의 방법은 다양하다. 따라서 개인별로 다양한 연구성과를 한
      데 모아 연구소에서 토론의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연구자들이 토론을 통해 새로운 결론을 도출할 때, 제주도 문화의 특성은 드러
      날 것이다. 특히 주변국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사라져버린 고대문화를 복원하
      는 작업도 시도되어야 한다.
      번역하기

      필자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의 발전을 위한 논의를 4가지로 제시하 였다. 첫째, 오늘의 제주도에 관해 접근할 때, 제주문화와 탐라문화를 구별하여야 한다. 고려시대 이전에는 탐라시...

      필자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의 발전을 위한 논의를 4가지로 제시하
      였다.
      첫째, 오늘의 제주도에 관해 접근할 때, 제주문화와 탐라문화를 구별하여야
      한다. 고려시대 이전에는 탐라시대의 문화요, 그 이후는 제주문화이다. 행정구
      역 명칭만 제주로 바뀌었을 뿐, 거주자나 그들의 문화는 그대로 이어져 온 것
      이 사실이다.
      둘째, 탐라 시대의 문화는 추론에 불과할 수 있다. 하지만 제주도 문화의 특
      수성을 드러내는 데는 탐라시대 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현
      재의 제주도민의 삶 속에 숨어 있는 탐라시대의 문화 요소를 찾아내어 기록하
      고 보존해야 한다.
      셋째, 탐라문화연구소는 제주도의 전통문화를 조사하고 연구할 뿐만 아니라
      여기에 종사할 수 있는 연구자를 양성해야 한다. 지금까지는 방언, 구비문학,
      민속에 한정한 연구가 중심을 이루었지만 앞으로는 그 폭을 넓혀야 한다.
      넷째, 문화 연구의 방법은 다양하다. 따라서 개인별로 다양한 연구성과를 한
      데 모아 연구소에서 토론의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연구자들이 토론을 통해 새로운 결론을 도출할 때, 제주도 문화의 특성은 드러
      날 것이다. 특히 주변국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사라져버린 고대문화를 복원하
      는 작업도 시도되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창간) : 1989

      2 "탐라사 연구자료집 1, 제주도사정립사업추진협의회 외"

      3 "탐라기년(耽羅紀年)"

      4 제주특별자치도여성능력개발본부, "제주여성사료집Ⅰ" 제주특별자치도여성능력 개발본부 2007

      5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 50년사" 제주대학교 2002

      6 "정조실록"

      7 "인조실록"

      8 "세종실록"

      9 고병익, "성종조 최부의 표류와 표해록 in 이상백박사 회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64

      10 담수계편, "增補耽羅誌"

      1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창간) : 1989

      2 "탐라사 연구자료집 1, 제주도사정립사업추진협의회 외"

      3 "탐라기년(耽羅紀年)"

      4 제주특별자치도여성능력개발본부, "제주여성사료집Ⅰ" 제주특별자치도여성능력 개발본부 2007

      5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 50년사" 제주대학교 2002

      6 "정조실록"

      7 "인조실록"

      8 "세종실록"

      9 고병익, "성종조 최부의 표류와 표해록 in 이상백박사 회갑기념논총" 간행위원회 1964

      10 담수계편, "增補耽羅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5-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KCI등재
      2017-06-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0.91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