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지만 교육의 구체적인 계획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64393
2018
Korean
디지털 리터러시 ; 평가 요소 ; 인지적 영역 ; 탐색 ; 해석과 통합 ; 평가 ; 설계 ; 제작 ; 공유 ; Digital literacy ; assessment factors ; cognitive domain ; explore ; interpret and integrate ; evaluate ; design ; produce ; share
KCI등재
학술저널
133-166(34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지만 교육의 구체적인 계획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확산되고 있지만 교육의 구체적인 계획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 요소를 제안하여 교육내용 설계와 평가를 위한 하나의 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평가 요소는 여섯 개의 요소(탐색, 해석과 통합, 평가, 설계, 제작, 공유)로 구성되며, 각 요소별로 다시 2∼4개의 하위요소를 설정하였다. 탐색은 접근하기, 검색하기, 훑어 읽기, 선택하기로, 해석과 통합은 내용 확인하기, 추론하기, 상호텍스트적 연결하기로, 평가는 출처 신뢰성 확인하기, 내용 타당성 비판하기, 정보의 유용성 판단하기로 구분된다. 또 설계는 수사적 맥락 파악하기, 배양하기와 창안하기, 조직하기로, 제작은 배치하기, 형상화하기, 편집하기로, 마지막으로 공유는 전파하기와 반응하기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 요소는 리터러시의 이해와 표현의 양면을 모두 포괄하였다는 점, 제작이나 공유와 같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속성을 최대한 반영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성취기준 개발, 성취기준 위계화 등 관련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assessment factors for cogni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which had 6 components. ‘Explore’ consisted of ‘access’, ‘search’, ‘scan’ and ‘select.’ ‘Interpret and integrate’ consisted of ‘iden...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assessment factors for cognitive domain of digital literacy, which had 6 components. ‘Explore’ consisted of ‘access’, ‘search’, ‘scan’ and ‘select.’ ‘Interpret and integrate’ consisted of ‘identify text contents’, ‘generate inferences’, and ‘make intertextual connections.’ ‘Evaluate’ consisted of ‘identify source reliability’, ‘examine content validity’, and ‘determine information usefulness.’ ‘Design’ consisted of ‘understand rhetorical contexts’, ‘incubate and invent’, and ‘organize.’ ‘Produce’ consisted of ‘arrange’, ‘materialize text’, and ‘edit.’ ‘Share’ consisted of ‘disseminate’ and ‘respond.’ The study was significant at the point that the assessment factors include bidirectional aspects of literacy and show a noticeable characteristic of digital literacy such as ‘produce’ and ‘share.’ Suggestion was discussed at the end.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은하, "탐색·통합적 읽기에서의 비판적 평가 요소 고찰" 한국독서학회 101-115, 2016
2 Jenkins, H., "컨버전스 컬처" 비즈앤비즈 2008
3 오은하, "초등학생의 디지털 문식 활동 양상 분석 - 동기 요인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60) : 31-64, 2016
4 기세령, "초등학생 독자의 인터넷 읽기 전략 연구" 한국독서학회 (31) : 221-266, 2014
5 옥현진,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9) : 45-68, 2015
6 이소라,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글 읽기와 눈동자 움직임 특성 분석" 국어교육학회 49 (49): 417-444, 2014
7 Evans, J., "읽기쓰기의 진화: 아이들은 미디어를 어떻게 읽고 쓰고 만드는가" 사회평론 2011
8 조동원, "인터넷의 이중적 플랫폼: 공개⋅공유⋅참여의 광장이자 추적⋅감시⋅통제의 시장" 한국언론정보학회 64 (64): 5-30, 2013
9 조병영, "인터넷 환경에서의 초인지적 독서 전략 -사고 구술 연구로부터의 증거들" 한국어교육학회 (124) : 281-316, 2007
10 조병영, "인터넷 환경에서의 읽기 부정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8) : 367-397, 2015
1 오은하, "탐색·통합적 읽기에서의 비판적 평가 요소 고찰" 한국독서학회 101-115, 2016
2 Jenkins, H., "컨버전스 컬처" 비즈앤비즈 2008
3 오은하, "초등학생의 디지털 문식 활동 양상 분석 - 동기 요인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학회 (60) : 31-64, 2016
4 기세령, "초등학생 독자의 인터넷 읽기 전략 연구" 한국독서학회 (31) : 221-266, 2014
5 옥현진,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디지털 문식 활동에 대한 가치 인식과 참여 양상의 관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9) : 45-68, 2015
6 이소라, "청소년 독자의 인터넷 글 읽기와 눈동자 움직임 특성 분석" 국어교육학회 49 (49): 417-444, 2014
7 Evans, J., "읽기쓰기의 진화: 아이들은 미디어를 어떻게 읽고 쓰고 만드는가" 사회평론 2011
8 조동원, "인터넷의 이중적 플랫폼: 공개⋅공유⋅참여의 광장이자 추적⋅감시⋅통제의 시장" 한국언론정보학회 64 (64): 5-30, 2013
9 조병영, "인터넷 환경에서의 초인지적 독서 전략 -사고 구술 연구로부터의 증거들" 한국어교육학회 (124) : 281-316, 2007
10 조병영, "인터넷 환경에서의 읽기 부정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8) : 367-397, 2015
11 서수현,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 양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1) : 153-188, 2016
12 구모니카, "셀프 퍼블리싱 플랫폼 현황 연구" 한국전자출판학회 (1) : 49-63, 2012
13 김지연, "블로그 필자들의 인터넷 작문 양상" 한국작문학회 (19) : 69-100, 2013
14 방상호, "문식성 변화와 디지털 읽기ㆍ쓰기 수업의 방향"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3) : 5-32, 2017
15 이동후,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철학적 고찰"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
16 이수영, "마이크로 블로그 이용자의 능동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트위터와 미투데이 이용자의 생산적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73) : 171-200, 2011
17 주민재,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93) : 279-308, 2012
18 김지연, "디지털 텍스트 평가 기준에 대한 독자의 인식 연구" 국어교육학회 49 (49): 279-303, 2014
19 김희동,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 문자의 공감각화와 국어교육적 의미" 한국국어교육학회 (104) : 65-91, 2015
20 정현선, "디지털 시대 글쓰기에 있어 ‘표현 도구’와 ‘매체 특성’ 이해의 필요성 -초등학교 어린이의 사진과 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106) : 99-130, 2009
21 이은미, "디지털 수용자"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22 김종윤, "디지털 리터러시의 인지적 영역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62) : 7-39, 2017
23 옥현진,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의 인지적 특성 탐색" 한국작문학회 (33) : 31-63, 2017
24 장은섭, "대학생 필자의 디지털 문식활동 사례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195-224, 2018
25 Shirky, C., "끌리고 쏠리고 들끓다: 새로운 사회와 대중의 탄생" 갤리온 2008
26 조동원, "개인정보 해킹⋅유출의 정보문화" 한국문화연구학회 1 (1): 84-116, 2012
27 Knobel, M., "“I'm not a pencil man”: How one student challenges our notions of literacy “failure” in school" 44 (44): 404-414, 2001
28 O’Reilly, T., "What Is Web 2.0 - Design Patterns and Business Models for the Next Generation of Software"
29 Hölscher, C., "Web search behavior of Internet experts and newbies" 33 : 337-346, 2000
30 Rose, G., "Visual methodologies" Routledge 2011
31 Pressley, M., "Verbal protocols of reading: The nature of constructively responsive read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95
32 Lawless, K. A., "Understanding hypertext navig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14 (14): 385-399, 1996
33 Leu, D. J.,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004
34 Rouet, J. F., "The skills of document use: From text comprehension to Web-based learning" Psychology Press 2006
35 Keller, E., "The role of advertising in word of mouth" 49 (49): 154-158, 2009
36 Van den Broek, P., "The effects of readers’ goals on inference generation and memory for texts" 29 (29): 1081-1087, 2001
37 Perfetti, C. A., "The construction of mental representations during reading" 88-108, 1999
38 Gorman, T., "The IEA Study of Written Composition Ⅰ: The International Writing Tasks and Scoring Scales" IEA 1988
39 Albers, P., "The Arts, New Literacies, and Multimodality" 40 (40): 6-20, 2007
40 Rouet, J. F., "Text relevance and learning from text" 19-52, 2011
41 Jewitt, C., "Technology, Literacy and Learning: A Multimodal Approach" Psychology Press 2006
42 Anstey, M., "Teaching and Learning Multiliteracies" IRA 2006
43 Van Dijk, T., "Strategies of discourse comprehension" Academic Press 1983
44 Zhang, S., "Strategies for Internet reading with different reading purposes : A descriptive study of twelve good Internet readers" 40 (40): 128-162, 2008
45 정현선, "SNS의 언어 현상과 소통 공간에 관한 국어교육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2) : 79-114, 2013
46 Wolfe, M.,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text processing and reasoning" 23 (23): 467-502, 2005
47 Salmerón, L., "Reading skills and children’s navigation strategies in hypertext" 27 (27): 1143-1151, 2011
48 Cho, B., "Reading on the Internet" 58 (58): 504-517, 2015
49 Mangen, A., "Reading linear texts on paper versus computer screen :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58 : 61-68, 2013
50 Kress, G. R., "Reading images: The grammar of visual design" Psychology Press 1996
51 Oborne, D. J., "Reading from screen versus paper : There is no difference" 28 (28): 1-9, 1988
52 Liu, Z., "Reading behavior in the digital environment : Changes in reading behavior over the past ten years" 61 (61): 700-712, 2005
53 Lankshear, C., "New literacies: Changing Knowledge and Classroom Learning" Open University Press 2003
54 Jewitt, C., "Multimodality and literacy in school classrooms" 32 (32): 241-267, 2008
55 Kress, G. R., "Multimodal Discourse: The Modes and Media of Contemporary Communication" Edward Arnold 2001
56 Mayer, R. E., "Multimedia learning : Are we asking the right questions?" 32 (32): 1-19, 1997
57 Diederich, P. B., "Measuring Growth in English" NCTE 1974
58 Guthrie, J. T., "Locating information in documents : Examination of a cognitive model" 23 : 178-199, 1988
59 Kress, G., "Literacy in the new media age" Psychology Press 2003
60 Rieh, S. Y., "Judgment of information quality and cognitive authority in the Web" 53 (53): 145-161, 2002
61 Belkin, N., "Intelligent information retrieval: whose intelligence?" 96 : 25-31, 1996
62 Purves, A. C., "In search of an internationally valid scheme for scoring compositions" 35 (35): 426-438, 1984
63 Pan, B., "In google we trust : Users’ decisions on rank, position, and relevance" 12 (12): 801-823, 2007
64 McLean, C. A., "Imagining Writing Futures : Photography, Writing, and Technology" 31 (31): 102-118, 2015
65 Dyson, M., "How physical text layout affects reading from screen" 23 (23): 377-393, 2004
66 Wineburg, S. S., "Historical problem solving : A study of the cognitive processes used in the evaluation of documentary and pictorial evidence" 83 (83): 73-87, 1991
67 Afflerbach, P., "Handbook of reading comprehension research" LEA 69-90, 2009
68 UNESCO, "Glob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MIL) assessment framework:Country Readiness and Competencies" UNESCO 2013
69 Luke, A., "Getting Over Method : Literacy Teaching as Work in New Times" 75 (75): 305-313, 1998
70 Benkler, Y., "From consumers to users: Shifting the deeper structures of regulation toward sustainable commons and user access" 52 (52): 561-579, 2000
71 Coiro, J., "Exploring the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used by sixth‐grade skilled readers to search for and locate information on the Internet" 42 (42): 214-257, 2007
72 Cooper, C. R., "Evaluating writing: Describing, measuring, judging" NCTE 1977
73 Oliver, K. M., "Evaluating the Quality of Internet Information Sources" 1997
74 Hartman, D. K., "Eight readers reading: The intertextual links of proficient readers reading multiple passages" 520-561, 1995
75 Clark, J., "Dual coding theory and education" 3 (3): 149-210, 1991
76 Eidman-Aadahl, E., "Digital writing assessment &evaluation" Utah State University Press 2013
77 Spandel, V., "Creating writers: Linking assessment and writing instruction" Longman 1994
78 Söderberg, J., "Copyleft vs. copyright: A Marxist Critique" 7 (7): 2002
79 Graesser, A., "Constructing inferences during narrative text comprehension" 101 : 371-395, 1994
80 Goldman, Susan R., "Comprehending and learning from Internet sources" 47 (47): 356-381, 2012
81 Dreher, M., "Cognitive processes in textbook chapter search tasks" 25 : 323-339, 1990
82 Flower, L. S., "Cognitive process in writing" LEA 1980
83 Cain, K., "Children'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 Concurrent prediction by working memory, verbal ability, and component skills" 96 (96): 31-42, 2004
84 Lankshear, C., "Changing Literacies" Open University Press 2002
85 Bruns, A., "Blogs, Wikipedia, Second Life, and beyond" Peter Lang 2008
86 Guinee, K., "Adolescents' Internet search strategies : Drawing upon familiar cognitive paradigms when accessing electronic information sources" 29 (29): 363-374, 2003
87 Murray, D., "A writer teaches writing" Houghton Mifflin 1985
8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7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 요약보고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18
소리 내어 읽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초등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10-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ln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 |
2017-05-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Association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1.04 | 1.728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