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IE SCOPUS KCI등재

      만성 기능성 변비 환자에서 락툴로오스 제제가 대장 통과시간 및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Lactulose on the Colon Transit and the Various Symptoms of Constipatio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만성 기능성 변비 환자에서 락툴로오스 제제가 대장 통과시간 및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기능성 변비환자를 대상으로 락툴로오스 제제의 대장 운동능 개선효과 및 변비증상 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로마진단기준 II에 의한 만성 기능성 변비 환자 15명에서 대장통과 신티그래피를 시행한 후 7일간 락툴로오스 45-60 ㎖를 투여하고 다시 신티그래피 검사를 하여 약물 투여 전과 비교하였다. 환자는 매일 배변일기를 작성하였고, 순위척도 및 변형된 사각상사척도로 평가한 각 변바 증상의 정도 및 빈도 변화를 약물 투여 전후를 비교 검토하였다. 최종 치료 후 전반적인 변비 개선도에 대한 환자 자신의 평가를 시각상사척도로 시행하였다. 결과: 신티그래피에서 근위부 결장의 절반 배출시간은 40.5±22.0시간에서 약물 투여 중 32.2±14.5시간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외 다른 지표에서 차이는 없었다. 대장통과지연형 변비환자 5명에서는 GC48 (2.61±0.61 vs. 3.43±1.04)가 약물투여로 유의한 증가를, 근위부 결장의 절반 배출 시간(63.5±23.2 vs. 38.9±20.1)과 상행 결장의 절반 배출시간(24.3±11.6 vs. 15.5±6.7)은 약물투여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배변 횟수(3.8±l.3/w vs. 6.9±3.3/w), 대변 형태(변형된 Bristol 분류 2.5±0.6 vs. 4.5±1.1), 배변 과정 시 난이도(3.3±0.5 vs. 4.1±0.9)는 약물투여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05). 배변시 과도한 힘주기, 배변시 항문이 막힌 느낌, 단단한 대변 횟수에 대한 증상의 빈도와 정도는 모두 약물 투여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0.05). 환자가 직접 주관적 판단에 의해 VAS로 평가한 변비증상의 전반개선률은 58±23%이였다. 결론: 락툴로오스는 가능성 변비환자의 대부분의 증상을 호전시키므로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물로 생각한다. 특히 대장통과 지연형 환자에 있어서 이와 같은 증상의 호전은 대장 통과시간의 개선에 따른 것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목적: 기능성 변비환자를 대상으로 락툴로오스 제제의 대장 운동능 개선효과 및 변비증상 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로마진단기준 II에 의한 만성 기능성 변비 환자 15명...

      목적: 기능성 변비환자를 대상으로 락툴로오스 제제의 대장 운동능 개선효과 및 변비증상 개선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로마진단기준 II에 의한 만성 기능성 변비 환자 15명에서 대장통과 신티그래피를 시행한 후 7일간 락툴로오스 45-60 ㎖를 투여하고 다시 신티그래피 검사를 하여 약물 투여 전과 비교하였다. 환자는 매일 배변일기를 작성하였고, 순위척도 및 변형된 사각상사척도로 평가한 각 변바 증상의 정도 및 빈도 변화를 약물 투여 전후를 비교 검토하였다. 최종 치료 후 전반적인 변비 개선도에 대한 환자 자신의 평가를 시각상사척도로 시행하였다. 결과: 신티그래피에서 근위부 결장의 절반 배출시간은 40.5±22.0시간에서 약물 투여 중 32.2±14.5시간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외 다른 지표에서 차이는 없었다. 대장통과지연형 변비환자 5명에서는 GC48 (2.61±0.61 vs. 3.43±1.04)가 약물투여로 유의한 증가를, 근위부 결장의 절반 배출 시간(63.5±23.2 vs. 38.9±20.1)과 상행 결장의 절반 배출시간(24.3±11.6 vs. 15.5±6.7)은 약물투여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배변 횟수(3.8±l.3/w vs. 6.9±3.3/w), 대변 형태(변형된 Bristol 분류 2.5±0.6 vs. 4.5±1.1), 배변 과정 시 난이도(3.3±0.5 vs. 4.1±0.9)는 약물투여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0.05). 배변시 과도한 힘주기, 배변시 항문이 막힌 느낌, 단단한 대변 횟수에 대한 증상의 빈도와 정도는 모두 약물 투여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0.05). 환자가 직접 주관적 판단에 의해 VAS로 평가한 변비증상의 전반개선률은 58±23%이였다. 결론: 락툴로오스는 가능성 변비환자의 대부분의 증상을 호전시키므로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물로 생각한다. 특히 대장통과 지연형 환자에 있어서 이와 같은 증상의 호전은 대장 통과시간의 개선에 따른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We wan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actulose on the various symptoms of constipation and colon transit in patients suffering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Methods: Colon transit was measured by scintigraphy before and 1 week after lactulose treatment (45-60 ㎖/day) in 15 female pati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constipation symptoms were measured by using an ordinary scale and daily diarie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ometric centers before and after treatment. Only the t1/2 of the proximal colon tended to be shortened after treatment. In 5 patients with slow transit constipation, lactulose accelerated colonic transit at 48 hours (GC48: 2.6±0.6 vs. 3.4±1.0, p<0.05) and there was reduction of the t1/2 for proximal colonic emptying (63.5±23.2 h vs. 38.9±20.1 h, p<0.05). Lactulose increased stool frequency (3.8±1.3/wk vs. 6.9±3.3/wk, p<0.05), changed the form of the stool (p<0.05), facilitated passage of stool (p<0.01), and improve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straining, the sensation of anorectal obstruction and the sensation of incomplete evacuation in 15 constipated patients (p<0.05). Conclusions: Lactulose improved most of the constipation symptoms in the patients suffering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In the patients with slow transit constipation, these improvements of symptoms may be due to acceleration of the proximal colonic transit via lactulose.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27-135)
      번역하기

      Background/Aims: We wan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actulose on the various symptoms of constipation and colon transit in patients suffering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Methods: Colon transit was measured by scintigraphy before and 1 week after la...

      Background/Aims: We wan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actulose on the various symptoms of constipation and colon transit in patients suffering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Methods: Colon transit was measured by scintigraphy before and 1 week after lactulose treatment (45-60 ㎖/day) in 15 female pati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constipation symptoms were measured by using an ordinary scale and daily diarie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ometric centers before and after treatment. Only the t1/2 of the proximal colon tended to be shortened after treatment. In 5 patients with slow transit constipation, lactulose accelerated colonic transit at 48 hours (GC48: 2.6±0.6 vs. 3.4±1.0, p<0.05) and there was reduction of the t1/2 for proximal colonic emptying (63.5±23.2 h vs. 38.9±20.1 h, p<0.05). Lactulose increased stool frequency (3.8±1.3/wk vs. 6.9±3.3/wk, p<0.05), changed the form of the stool (p<0.05), facilitated passage of stool (p<0.01), and improved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straining, the sensation of anorectal obstruction and the sensation of incomplete evacuation in 15 constipated patients (p<0.05). Conclusions: Lactulose improved most of the constipation symptoms in the patients suffering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In the patients with slow transit constipation, these improvements of symptoms may be due to acceleration of the proximal colonic transit via lactulose.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127-13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ouseholder survey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1569-1580, digdissci1993

      2 "Treatment of constipation in the elderly" 83 : 339-349, 1988

      3 "Treatment of chronic constipation with lactulose syrup:results of a double-blind study" 9 : 84-86, 1968

      4 "Transit of a meal through the stomach,small intestine,and colon in normal subjects and its role in the pathogenesis of diarrhea" 79 : 1276-1282, 1980

      5 "The laxative effects of lactulose in normal and constipated subjects" 3 (3): 23-28, 1981

      6 "The laxative effect of lactulose in normal and constipated subjects" 3 (3): 23-28, 1981

      7 "The effect of unabsorbed sucrose and mannitol on the small intestinal flow rate and mean transit time" 39 : 665-671, 1968

      8 "Scintigraphy of the whole gut:Clinical evaluation of transit disorders" 70 : 113-118, 1995

      9 "Scintigraphic demonstration of lactulose-induced accelerated proximal colon transit" 103 : 1167-1173, 1992

      10 "Rapid gastric emptying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iarrhea" 72 : 323-328, 1997

      1 "householder survey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1569-1580, digdissci1993

      2 "Treatment of constipation in the elderly" 83 : 339-349, 1988

      3 "Treatment of chronic constipation with lactulose syrup:results of a double-blind study" 9 : 84-86, 1968

      4 "Transit of a meal through the stomach,small intestine,and colon in normal subjects and its role in the pathogenesis of diarrhea" 79 : 1276-1282, 1980

      5 "The laxative effects of lactulose in normal and constipated subjects" 3 (3): 23-28, 1981

      6 "The laxative effect of lactulose in normal and constipated subjects" 3 (3): 23-28, 1981

      7 "The effect of unabsorbed sucrose and mannitol on the small intestinal flow rate and mean transit time" 39 : 665-671, 1968

      8 "Scintigraphy of the whole gut:Clinical evaluation of transit disorders" 70 : 113-118, 1995

      9 "Scintigraphic demonstration of lactulose-induced accelerated proximal colon transit" 103 : 1167-1173, 1992

      10 "Rapid gastric emptying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iarrhea" 72 : 323-328, 1997

      11 "Moderation- induced diarrhea by psyllium:effects on motility and fermentation" 67 : 317-321, 1998

      12 "Laxative use in constipation" 80 : 303-309, 1985

      13 "Lactulose syrup assessed in a double-blind study of elderly constipated patients" 26 : 236-239, 1978

      14 "Lactulose in the management of constipation;a current review" 26 : 1277-1282, 1992

      15 "Influence of chronic lactulose ingestion on the colonic metabolism of lactulose in man(an in vivo study)" 75 : 608-613, 1985

      16 "Functional bowel disorders and functional abdominal pain" 45 : 43-47, 1999

      17 "Effect of the fermentation of lactulose on colonic phasic and tonic activity in healthy volunteers" 22 : 1998

      18 "Diagnostic approach of constipation" 5 : 189-197, 1999

      19 "Defecation frequency and timing,and stool form in the general population:a prospective study" 33 : 818-824, 1992

      20 "Comparison of the effect of lactulose and polyethylene glycol on isotopic colonic transit" 23 : 1999

      21 "Colonic transit times and the effect of lactulose or lactitol in hospitalized patients" 7 : 441-446, 1995

      22 "Chronic constipation" 349 : 1360-1368, 2003

      23 "A longitudinal survey of self-reported bowel habits in the United States" 34 : 1153-1162,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5-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관 운동학회지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KCI등재
      2010-05-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관운동학회 -> 대한소화기 기능성질환∙운동학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Gastrointestinal Motility -> The Korean Society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6 0.65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03 0.459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