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analyzed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s cases from 2005 to 2019 and the court’s ruling on the press report. Among the findings, the number of damage claims increased, while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gradually decreased. Second,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70035
202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7-104(3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s cases from 2005 to 2019 and the court’s ruling on the press report. Among the findings, the number of damage claims increased, while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gradually decreased. Second, ...
This study analyzed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s cases from 2005 to 2019 and the court’s ruling on the press report.
Among the findings, the number of damage claims increased, while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gradually decreased.
Second, after the Act on Press Arbitration and Remedies, etc., for Damage Caused by Press Reports was implemented, changes in the legal system were reported before and after revising the Act on Press Arbitration in 2009 and the Supreme Court’s ruling on the right to delete articles in 2013.
As a result, increases in the number of claims for damages and decreases in compensations were more pronounced over time.
Third and last, in terms of changes in the media industry, there was a notably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media outlets, and their influence also extended. Analyses showed that changes in the legal system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is trans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ntextual approach to changes in the legal system and the media industry about damage compensation is required.
국문 초록 (Abstract)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허위정보의 생산, 전파, 확산이 용이해지면서 언론보도로 인한 피해구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언론보도로 인한 손해를 금전적으로 ...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허위정보의 생산, 전파, 확산이 용이해지면서 언론보도로 인한 피해구제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언론보도로 인한 손해를 금전적으로 보상하는 손해배상청구와 관련하여 실질적인 피해를 회복할 수 있는 손해배상액 산정 방안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2005년부터 2019년까지의 언론중재위원회 조정 사건 및 법원의 언론 관련 판결을 분석하여 언론중재법 제정 이후 손해배상 사건의 흐름을 주요 시기별로 구분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나타난 변화와 차이를 법제도와 미디어 환경 변화의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언론중재법 시행 이후 연도별 손해배상 청구건수 및 청구액, 인용액의 증감추이에서 특징적 변화가 나타난 시기를 살펴본 결과, 2009년 언론중재법 개정 및 2013년 대법원의 기사삭제청구 인정 판결 전후 손해배상청구건수 증감 및 손해배상액 인용액에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2005년 언론중재법 제정 이후 법제도의 주요 변화 시점을 2009년 언론중재법 개정 및 2013년 대법원의 기사삭제청구권 판결 전후로 보고 시기별 손해배상 청구건수 및 인용액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기에 따라 손해배상 청구건수의 증가와 손해배상액수의 하락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시기별 손해배상 청구건수 증가 및 인용액의 하락 원인을 미디어 환경 및 법제도적 변화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미디어 산업 지형 변화의 측면에서는 매체수의 폭발적인 증가 및 포털 중심의 뉴스 소비로 인한 개별 언론사들의 영향력 약화가 원인으로 분석되었으며, 법제도적 측면에서는 기사삭제청구권이라는 새로운 피해구제방법 도입과의 관련성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손해배상청구가 언론피해 구제방법으로서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언론피해구제 관련 법제도 및 언론 생태계 변화에 대한 맥락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위근, "한국 언론과 포털 뉴스서비스"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2 양재규, "지정토론문. <언론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도입에 따른 법적・실무적 쟁점> 토론회 종합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20
3 김민정, "제21대 국회 언론개혁법의 쟁점 –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4 이재진, "인터넷상의 지속적 기사 유통으로 인한 피해의 법적 쟁점:'잊혀질 권리' 인정의 필요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2 (22): 172-212, 2008
5 권태상, "인격권 침해로 인한 비재산적 손해의 배상 - 언론 보도에 의한 인격권 침해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78 : 182-211, 2020
6 김동하, "인격권 보호의 효과적인 수단으로서의 손해배상제도 – 언론에 의한 인격권 침해에 한하여" 5-38, 2007
7 "유럽사법재판소 C-131/12 ‘Google Spain and Google’"
8 김남영, "연예인 이어 일반인도 노린다…‘악플민국’의 민낯, 사이버 명예훼손 5년새 2배 급증" 한국경제
9 양경승, "언론중재제도의 법제사적 의미" 6-16, 2001
10 김상우, "언론중재위원회 손해배상 제도의 기능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사)한국언론법학회 14 (14): 173-211, 2015
1 김위근, "한국 언론과 포털 뉴스서비스" 한국언론진흥재단 2020
2 양재규, "지정토론문. <언론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도입에 따른 법적・실무적 쟁점> 토론회 종합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20
3 김민정, "제21대 국회 언론개혁법의 쟁점 –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4 이재진, "인터넷상의 지속적 기사 유통으로 인한 피해의 법적 쟁점:'잊혀질 권리' 인정의 필요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22 (22): 172-212, 2008
5 권태상, "인격권 침해로 인한 비재산적 손해의 배상 - 언론 보도에 의한 인격권 침해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78 : 182-211, 2020
6 김동하, "인격권 보호의 효과적인 수단으로서의 손해배상제도 – 언론에 의한 인격권 침해에 한하여" 5-38, 2007
7 "유럽사법재판소 C-131/12 ‘Google Spain and Google’"
8 김남영, "연예인 이어 일반인도 노린다…‘악플민국’의 민낯, 사이버 명예훼손 5년새 2배 급증" 한국경제
9 양경승, "언론중재제도의 법제사적 의미" 6-16, 2001
10 김상우, "언론중재위원회 손해배상 제도의 기능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사)한국언론법학회 14 (14): 173-211, 2015
11 윤경, "언론중재법상 손해배상청구에 대한 법적 검토" 30-41, 2005
12 허만, "언론보도에 대한 구제수단으로서의 위자료" 1 : 107-130, 1999
13 노만경, "언론보도관련 판결의 위자료 산정 현황 및 특징" 7-33, 2011
14 이재진, "언론법제 연구의 어제와 오늘: 〈언론중재〉지 30년의 분석을 심으로" 한국언론학회 11 (11): 213-260, 2015
15 함석천, "손해배상청구권의 도입과 언론중재" 42-53, 2005
16 박종순, "손해배상조정의 활성화가 언론소송에 미치는 영향" 30-45, 2011
17 장현우, "손해배상액산정기준표(안) 및 구성요소 검토" 53-63, 2011
18 양재규, "소송 남발’은 기우... 언론 승소율은 늘고 손배액은 줄고" 28-29, 2020
19 "서울중앙지법 2019. 11. 7. 선고 2018나47501 판결"
20 "서울중앙지법 2018. 7. 10.선고 2017가단5147460 판결"
21 "서울중앙지법 2018. 6. 20.선고 2017가합541309 판결"
22 "서울고등법원 2019. 9. 20.선고 2018나2037343 판결"
23 이봉수, "명예훼손 소송에서의 위자료 산정" 64-81, 2005
24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10다60950 판결"
25 황용석, "뉴스 이용 집중 vs. 이용자 접점 확대… 빛과 그림자 모두 낳은 포털" 8-13, 2021
26 이창현, "慰藉料의 現實化 方案" 한국법학원 158 (158): 59-89, 2017
27 김겨레, "[리얼미터] ‘언론에 징벌적 손해배상’ 찬성 61.8%" 이데일리
28 정철운, "2020년 언론중재위 ‘조정신청’ 3924건, 매해 증가세" 미디어오늘
29 언론중재위원회, "2019년도 언론조정중재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20
30 언론중재위원회, "2019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20
31 언론중재위원회, "2018년도 언론조정중재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9
32 언론중재위원회, "2018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9
33 언론중재위원회, "2017년도 언론조정중재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8
34 언론중재위원회, "2017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8
35 언론중재위원회, "2016년도 조정・중재 시정권고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7
36 언론중재위원회, "2016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7
37 언론중재위원회, "2015년도 언론조정중재・시정권고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6
38 언론중재위원회, "2015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6
39 언론중재위원회, "2014년도 언론조정중재・시정권고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5
40 언론중재위원회, "2014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5
41 언론중재위원회, "2013년도 언론조정중재・시정권고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4
42 언론중재위원회, "2013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4
43 언론중재위원회, "2012년도 언론조정중재・시정권고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3
44 언론중재위원회, "2012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3
45 언론중재위원회, "2011년도 언론조정중재・시정권고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2
46 언론중재위원회, "2011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2
47 언론중재위원회, "2010년도 언론조정중재・시정권고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1
48 언론중재위원회, "2010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1
49 언론중재위원회, "2009년도 조정・중재 시정권고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10
50 언론중재위원회, "2008년도 조정・중재 시정권고 사례집" 언론중재위원회 2009
51 언론중재위원회, "2008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09
52 언론중재위원회, "2008년도 언론관련판결 분석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10
53 언론중재위원회, "2007년도 연차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08
54 언론중재위원회, "2006년도 연차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07
55 언론중재위원회, "2005년도 연차보고서" 언론중재위원회 2006
56 언론중재위원회, "2005-2007년도 언론소송 판결분석" 언론중재위원회 2008
57 조준원, "1990년대 언론관련 손해배상판결의 사회과학적 분석" 33-53, 2000
디지털 시대 피해구제수단으로서 기사삭제 및 열람차단에 관한 연구
한국 언론중재제도 40년의 도전과 성과(국회 법률안을 중심으로)
코로나19 감염병 전파에 대한 재난보도에서 개인정보 공개의 적정 범주에 대한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