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활용을 통해 농어촌지역 중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와 태도 및 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481407
군산 : 群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학위논문(석사) -- 群山大學校 敎育大學院 , 敎育學科 英語敎育專攻 , 2005. 8
2005
한국어
740.7 판사항(4)
420.7 판사항(21)
전북특별자치도
iii, 72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52-5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활용을 통해 농어촌지역 중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와 태도 및 영...
본 연구는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활용을 통해 농어촌지역 중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와 태도 및 영어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서천군 소재 S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49명으로 학급별로 1주일에 두 시간씩 인터넷 전용선이 설치된 어학실과 컴퓨터실에서 실힘 수업을 실시하였다.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활용과 온라인 학습방을 활용한 영어학습 활동에 대한 내용을 설문조사와 관찰, 면담, 학습자의 자기평가, 학습 결과물, 및 다양한 체험학습 활동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태도 및 참여도, EBS 교육방송 인터넷 VOD 활용의 효과와 시사점들을 분석하였다.
실험 연구는 기초단계의 학습자들에게 인터넷 VOD 활용을 통한 실제적인 영어 학습 활동이 되도록 학습의 안내, 조력 역할을 할 온라인 학습방을 구축하고 인터넷 VOD 활용 교수-학습 모형으로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교사에 의해 제시된 학습 목표와 동기유발 자료, 참고 자료를 활용하고 소집단으로 협력적 학습 활동을 하며 pre-viewing, while-viewing, post-viewing 의 단계별 학습활동을 수행하였다 정리 부분에서는 학습 결과물을 발표하고 교사의 피드백을 받으며 학습활동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활동 제시가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첫째, EBS 교육방송 「중학2학년 영어」 와「English Cafe」 프로그램의 교재를 재구성하였고, 둘째, 학생들의 영어학습 능력 신장을 위해 「중학2학년 영어」와 「English Cafe」의 인터넷 VOD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영어수업 절차 모형을 구안하었다. 셋째, 모듬별 역할극, 게임, 온라인-학습방 등 다양한 체험 학습 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인터넷 VOD프로그램 활용이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설문지, 면담, 관찰, 학생들의 자기평가, 학습 결과물, 4가지 영어학습 능력 평가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반응과 의견을 분석하여 알아보고 영어교육에의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은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에게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항상시키고 영어 사용에 대한 두려움도 점차 줄여 학습 의욕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교육방송 「중학2학년 영어」 와 「English Cafe」 프로그램 교재를 재구성하고 VOD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단계적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학생들의 영어학습능력 신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셋째, VOD를 통해서 윈어민과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고 영어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켰다. 넷째,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프로그램 활용은 교사 중심의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문제 해결력과 발견적 사고를 증진시길 수 있는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변화시키는데 좋은 방법이 되었다. 다섯째, EBS 교육방승 인터넷 VOD 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은 효과적인 인터넷 사용에 관한 인식을 증진시켰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여섯째, 모듬별 역할극, 게임, 온라인-학습방 등 다양한 체험 학습 활동과 결과물 발표 등의 활동을 통해 학습자 개인이 학습과정에서 보인 노력의 결과를 함께 관찰함으로써 과정중심의 교수-학습으로 이끌어갈 수 있었다.
이러한 EBS 교육방송 인터넷 VOD 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이 학교현장에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자료 개발과 평가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적극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과 활동참여가 절실히 요구된다.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중요하며 학생용 컴퓨터와 인터넷 전용선을 갖춘 교과전담 교실과 지속적인 관리 및 업그레이드가 되어야 학습의 실효를 거둘 수 있다 또한 EBS 교육방송 인터넷 VOD 프로그램 활용에관심이 있는 교사들의 협의회가 활성화되고 인터넷 활용 영어 교수-학습에 유용한 정보의 공유가 필요하며 함께 협력하여 발전적 영어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English learning ability via webcast, which is suit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using the EBS Internet VOD with 「Middle School second-grade English」 and 「English Cafe」 on student's 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English learning ability via webcast, which is suit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using the EBS Internet VOD with 「Middle School second-grade English」 and 「English Cafe」 on student's English learning abilities and attitudes were examined.
The study re-organized the program textbooks, develope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students' level and suggested various kinds of activities, such as role-play, game, online learning community, e-mail, chat, and so 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9 second-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Chungnam. They pre-studied basic contents through webcast for the next class. They learned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ith various kinds of task worksheets and activities while viewing the Internet VOD. Out of class, tasks and contents of the instruction were presented at online learning community.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face-to-face interview, teacher's observation, students' self-assessment and a listening abilit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ise in students' affective domains( interest, participation, confidence, self-directedness, and motivation ) after having used the Internet VOD for English learning ability.
Second, the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English learning abilities while developing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pre-viewing, while-viewing, post-viewing ).
Third, the vvebcast activity turned out to be an appropriate means to change the focus of the classroom from teacher dominated to student-centered; thus it could increas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Fourth, through the actual experience with a native speaker on VOD, the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than before and could be good at speaking English.
Fifth, process-oriented instruction was possible while students have role-play, game, e-mail, chat and upload their products to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It also could get teacher's feedback.
In conclusion, using the EBS Internet VOD for English learning ability will be able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and it will be effective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Also the Internet VOD will help to giv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and it can be used for supplementary or enriched classes according to students' level and motivation.
So in order to generalize the use of webcast for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teachers and webcast developers will have to make special studies of good contents for webcast and research the ways to lead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Also, more resources are needed for evaluation. To implement webcast activities, execu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effective instruction using internet and computers to take place, systematic management of computer labs and regular system upgrades are necessary. In addition, English teachers should share useful information and research products through collaborative stud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