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순천지역 기독교의 수용과 확산 윤 정 란 본고는 순천지역의 기독교 수용과 확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 지역에 기독교가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6132
윤정란 (숭실대학교)
2011
Korean
순천 ; 순천읍교회 ; 기독교 ; 매산학교 ; 안력산병원 ; 기독청년면려회 ; Suncheon ; Suncheon-eup Church ; Christianity ; Maesan School ; Alexander Hospital ; Gidok Cheongyeon Myeonyehoe
911
KCI등재
학술저널
75-105(31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남 순천지역 기독교의 수용과 확산 윤 정 란 본고는 순천지역의 기독교 수용과 확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 지역에 기독교가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1...
전남 순천지역 기독교의 수용과 확산 윤 정 란 본고는 순천지역의 기독교 수용과 확산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이 지역에 기독교가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19세기말 이후이다. 이 지역을 담당한 교파는 남장로회였다. 초기에 선교사들은 기독교를 전해주기 위해 잠시 다녀가는 정도였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는 이미 몇 개의 기독교 공동체가 자체적으로 만들어져 있었다. 순천읍교회는 조선 후기 새롭게 부상한 이 지역의 유지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그 후 선교사가 이 지역을 방문하여 기독교 공동체가 여러 군데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보고 선교기지 설치를 건의하였다. 선교본부는 선교사의 이 요구를 받아들여 1911년부터 선교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선교사들이 순천지역에 거주하기 시작하면서 기독교는 더욱 활발하게 확산되었다. 1913년부터 1916까지 기독교신자는 두 배로 늘어났다. 이로 인해 순천읍교회도 발전을 거듭하였다. 1910년대 교인 수가 계속 증가하였다. 한국인 목사들과 교인들의 활약도 컸다. 1920년대 매산학교의 설립도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학부모들과 관계, 지역민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근대화 중심지 역할을 하면서 기독교가 지역민들에게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도록 하는데 기여하였다. 안력산 병원의 설립과 운영은 큰 역할을 했다. 1915년에는 전국적으로 이름이 날 정도로 시설이 우수하여 많은 환자들이 몰려들었다. 이로 인해 담당 의료선교사는 휴양을 위해 귀국할 정도로 쇠약해졌다. 병원에서는 쪽 복음을 나누어주기도 하고 성경학교를 개설해서 위생을 강의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기독청년면려회 활동은 지역 사회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면려회 임원들은 순천지역의 청년단체에 가입해서 임원으로 활동하면서 지역 사회운동을 전개하는데 앞장섰다. 이들의 이러한 활동을 통해 1920년대 기독교는 순천지역에서 굳건하게 뿌리내릴 수 있었으며, 기독교는 이 지역에서 반드시 존재해야 할 종교가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Christianity in Suncheon, Jollanam do Yoon, Jeong Ran This study examined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Christianity in the Suncheo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the late 19th century th...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Christianity in Suncheon, Jollanam do Yoon, Jeong Ran This study examined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Christianity in the Suncheo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the late 19th century that Christianity was introduced in this area. The denomination in charge of this region was the Southern Presbyterian Church. At the beginning, missionaries made temporary visits to preach Christianity. However, there had already been a number of spontaneous Christian communities in the area. The Suncheon‐eup Church was founded by influential people in the area newly emerging in the late Chosun Dynasty. Visiting this area and finding that Christian communities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in several places, a missionary proposed installing a base of mission there. The mission center accepted the proposal and began to construct a base of mission from 1911. As missionaries began to reside in the Suncheon area, Christianity was spread more actively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Christians was doubled during the period from 1913 to 1916. In this situation, the Suncheon‐eup Church also grew steadily. The number of attendants increased continuously during the 1910s, and Korean pastors and believers also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growth. The opening of the Maesan School in the 1920s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pread of Christianity. Through its associations with parents and various activities for local residents, it functioned as a center of modernization and helped people receive Christianity without ill feeling. The foundation and operation of the Alexander Hospital played a great role. In 1915, it was so famous for its excellent facilities that the hospital attracted many pati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As a consequence, the medical missionary became so exhausted that he had to return to his country for recuperation. The hospital distributed pieces of the Bible, and lectured on hygiene at Bible classes. Lastly, the activities of Gidok Cheongyeon Myeonyeho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mmunity social movements. The leaders of Gidok Cheongyeon Myeonyehoe joined youth organizations in the Suncheon area, and led such organizations in social movements. Through their activities as such, Christianity in the 1920s was rooted firmly into Suncheon and became an indispensible religion in the are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애너벨 메이저 니스벳, "호남선교 초기 역사:1892~1919" 경건 1998
2 김수진, "호남선교 100년과 그 사역자들" 고려글방 1992
3 송현강, "한말ㆍ일제강점기 강경교회의 만동학교 설립과 운영"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1) : 95-122, 2009
4 조지 톰슨, "한국선교이야기" 동연 2010
5 김수진, "한국기독교회사:호남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79
6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의 역사 I" 기독교문사 1989
7 감리교청년회 1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한국감리교청년회 100년사" 밀알기획·신앙과 지성사 1997
8 박진철, "조선후기 순천 재지사족의 향촌지배 실태와 동향 - 향교 소장 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10 (10): 67-99, 2007
9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자료총서 제26집, 조선예수교장로회사기 상권" 2000
10 장규식,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의 정치경제사상: 안창호, 이승만 계열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1 애너벨 메이저 니스벳, "호남선교 초기 역사:1892~1919" 경건 1998
2 김수진, "호남선교 100년과 그 사역자들" 고려글방 1992
3 송현강, "한말ㆍ일제강점기 강경교회의 만동학교 설립과 운영" 한국기독교역사학회 (31) : 95-122, 2009
4 조지 톰슨, "한국선교이야기" 동연 2010
5 김수진, "한국기독교회사:호남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79
6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기독교의 역사 I" 기독교문사 1989
7 감리교청년회 10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한국감리교청년회 100년사" 밀알기획·신앙과 지성사 1997
8 박진철, "조선후기 순천 재지사족의 향촌지배 실태와 동향 - 향교 소장 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10 (10): 67-99, 2007
9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자료총서 제26집, 조선예수교장로회사기 상권" 2000
10 장규식, "일제하 기독교 민족운동의 정치경제사상: 안창호, 이승만 계열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11 김승태, "일제강점기 종교정책사 자료집: 기독교편, 1910~1945"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6
12 이사례, "이기풍: 순교로 삶을 마감한 한국교회 최초의 선교사" 기독교문사 2008
13 이균영, "신간회연구" 역사비평사 1993
14 평신도회지육부, "순천중앙교회약사" 1971
15 순천시, "순천시사: 정치, 사회편" 1997
16 매산 100년사 편찬위원회, "매산백년사:1910~2010" 2010
17 "동아일보"
18 "기독신보"
숭실사학 회칙/편집위원회 규정/숭실사학 투고 규정/숭실사학회 연구윤리 규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7-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Historial Association of Soong-sil -> The Historical Association for Soong-Sil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 | 1.34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