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唐 후반기 祈雨 제사와 龍神 숭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2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류에게 물은 생명을 의미한다. 그 간절함은 비를 바라는 의례에 집약되어 있고 그 의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농경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전통시기 중국에서 기우와 관련하여 가장 쉽게 떠올리는 숭배 대상은 상상의 동물인 용이다. 용은 구름을 수반하여 비를 내리게 할 수 있기에 오래전부터 기우 의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8세기 당 개원시기 용 숭배를 공식 제사의 하나로 편입시킨 조치에 주목하였다. 그 이전 기우에 용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어도 직접 숭배 대상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우선 당대 기우 제사의 종류와 체계를 검토한 후 오룡단 제사의 제정과 국가의 예제 목록에 편입된 계기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각지에 용신을 모신 용당의 건립 실태, 확산을 확인하여 9세기까지 용신 신앙에 대한 역사적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당대 기우 제사는 󰡔대당개원례󰡕에 「황제가 맹하에 환구에서 우사를 드림」 이하 10여종을 거론할 수 있다. 기우의 대상은 당조가 가장 존귀하게 여긴 호천상제부터 지방의 여러 신까지 다양하였고 큰 산, 바다 등과 같은 자연물은 구름과 비를 낼 수 있다는 믿음에서 숭배의 대상이었다. 기우 제사의 시기는 우사(雩祀)가 상시 제사인 것을 제외하면 모두 ‘오래 동안 비가 내리지 않을 경우’에 거행한다고 하였듯이 임시 제사였다. 제사의 등급은 환구에서의 우사는 큰 제사이고 나머지는 작은 제사였다. 당대 기우 제사의 종류와 절차, 특징 등의 내용에 대해 환구에서 거행한 우사의 경우, 기우 대상은 당조가 가장 존숭했던 호천상제로 예전의 죽은 황제를 배사하고 특별히 푸른 송아지 2마리를 희생으로 바쳤다. 그 절차는 ①복일 ②재계 ③진설 ④희생 그릇 살피는 것 ⑤황제 수레 출궁 ⑥옥백 드리기 ⑦음식 올리기 ⑧황제 수레 환궁으로 이루어졌다. 다른 기우 제사도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단지 절차의 간소여부, 산재․치제 기일, 축문의 내용, 좨주의 지위, 희생, 그릇의 종류나 수 등에서 차이가 있다. 기우 제사의 운용은 악진-해독-사직-종묘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거행되었고 주현에서도 사직과 산천에 차례로 제사지냈다.
      현종 개원 시기 흥경궁 오룡단 제사가 정식으로 국가 제사에 편입되었다. 민간에서 숭배되던 수많은 신들은 단지 여러 신에 대한 제사에 막연하게 포함되었지만 용은 독립된 제사 항목으로 숭배되었다. 그만큼 용이 널리 숭배되었던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 물론 정식 제사로 편입하는 과정에 사인들의 반발도 없지 않았는데 무엇보다 유가 경전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백거이 등 사인들이 용에 대한 제사를 지냈어도 그 어조가 다소 불손하여 초기 용신 숭배에 대한 불만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당말로 갈수록 용신은 사인들에게도 자연스럽게 수용되었다. 많은 지방관들이 오룡당 제사를 받들면서 용의 은택을 강조하였고 皮日休는 용을 神이라고 선언하였듯이 용신 제사에 대한 거부감은 대체로 해소되었다.
      오룡단 제사에 토룡를 제작하여 기우하거나 화룡기우법이 이용된 것을 볼 때, 민간에서 이용된 기우 방법이 정식 제사에도 수용되었다. 결국 오룡단 제사로 용을 독립적 숭배 대상으로 국가제사에 편입한 조치는 사회 저변에서 폭넓게 숭배된 용 신앙을 적극 수용하여 반영한 것이다.
      용신 숭배가 공인
      번역하기

      인류에게 물은 생명을 의미한다. 그 간절함은 비를 바라는 의례에 집약되어 있고 그 의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농경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전통시기 중국에서 기우와 관련...

      인류에게 물은 생명을 의미한다. 그 간절함은 비를 바라는 의례에 집약되어 있고 그 의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농경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전통시기 중국에서 기우와 관련하여 가장 쉽게 떠올리는 숭배 대상은 상상의 동물인 용이다. 용은 구름을 수반하여 비를 내리게 할 수 있기에 오래전부터 기우 의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8세기 당 개원시기 용 숭배를 공식 제사의 하나로 편입시킨 조치에 주목하였다. 그 이전 기우에 용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어도 직접 숭배 대상은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우선 당대 기우 제사의 종류와 체계를 검토한 후 오룡단 제사의 제정과 국가의 예제 목록에 편입된 계기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각지에 용신을 모신 용당의 건립 실태, 확산을 확인하여 9세기까지 용신 신앙에 대한 역사적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당대 기우 제사는 󰡔대당개원례󰡕에 「황제가 맹하에 환구에서 우사를 드림」 이하 10여종을 거론할 수 있다. 기우의 대상은 당조가 가장 존귀하게 여긴 호천상제부터 지방의 여러 신까지 다양하였고 큰 산, 바다 등과 같은 자연물은 구름과 비를 낼 수 있다는 믿음에서 숭배의 대상이었다. 기우 제사의 시기는 우사(雩祀)가 상시 제사인 것을 제외하면 모두 ‘오래 동안 비가 내리지 않을 경우’에 거행한다고 하였듯이 임시 제사였다. 제사의 등급은 환구에서의 우사는 큰 제사이고 나머지는 작은 제사였다. 당대 기우 제사의 종류와 절차, 특징 등의 내용에 대해 환구에서 거행한 우사의 경우, 기우 대상은 당조가 가장 존숭했던 호천상제로 예전의 죽은 황제를 배사하고 특별히 푸른 송아지 2마리를 희생으로 바쳤다. 그 절차는 ①복일 ②재계 ③진설 ④희생 그릇 살피는 것 ⑤황제 수레 출궁 ⑥옥백 드리기 ⑦음식 올리기 ⑧황제 수레 환궁으로 이루어졌다. 다른 기우 제사도 대체로 동일한 방식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단지 절차의 간소여부, 산재․치제 기일, 축문의 내용, 좨주의 지위, 희생, 그릇의 종류나 수 등에서 차이가 있다. 기우 제사의 운용은 악진-해독-사직-종묘의 순서로 단계적으로 거행되었고 주현에서도 사직과 산천에 차례로 제사지냈다.
      현종 개원 시기 흥경궁 오룡단 제사가 정식으로 국가 제사에 편입되었다. 민간에서 숭배되던 수많은 신들은 단지 여러 신에 대한 제사에 막연하게 포함되었지만 용은 독립된 제사 항목으로 숭배되었다. 그만큼 용이 널리 숭배되었던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 물론 정식 제사로 편입하는 과정에 사인들의 반발도 없지 않았는데 무엇보다 유가 경전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백거이 등 사인들이 용에 대한 제사를 지냈어도 그 어조가 다소 불손하여 초기 용신 숭배에 대한 불만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당말로 갈수록 용신은 사인들에게도 자연스럽게 수용되었다. 많은 지방관들이 오룡당 제사를 받들면서 용의 은택을 강조하였고 皮日休는 용을 神이라고 선언하였듯이 용신 제사에 대한 거부감은 대체로 해소되었다.
      오룡단 제사에 토룡를 제작하여 기우하거나 화룡기우법이 이용된 것을 볼 때, 민간에서 이용된 기우 방법이 정식 제사에도 수용되었다. 결국 오룡단 제사로 용을 독립적 숭배 대상으로 국가제사에 편입한 조치는 사회 저변에서 폭넓게 숭배된 용 신앙을 적극 수용하여 반영한 것이다.
      용신 숭배가 공인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in means life in the Chinese agriculture society. So rainmaking was the most important collective action of Tang dynasty. Since making and employing dragon was a universal method of rainmaking throughout recorded Chinese history. To evoke rain by creating the image of a dragon was an ancient practice. It is well documented in Shang oracle-bone inscription. The tradition was greatly elaborated during the Han, and continued into the Tang. In this paper, I showed the dragon sacrifice of Tang dynasty, expansion of the dragon cul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ultivation of the Chang Jiang region, increasing of the dragon temple.
      번역하기

      Rain means life in the Chinese agriculture society. So rainmaking was the most important collective action of Tang dynasty. Since making and employing dragon was a universal method of rainmaking throughout recorded Chinese history. To evoke rain by cr...

      Rain means life in the Chinese agriculture society. So rainmaking was the most important collective action of Tang dynasty. Since making and employing dragon was a universal method of rainmaking throughout recorded Chinese history. To evoke rain by creating the image of a dragon was an ancient practice. It is well documented in Shang oracle-bone inscription. The tradition was greatly elaborated during the Han, and continued into the Tang. In this paper, I showed the dragon sacrifice of Tang dynasty, expansion of the dragon cul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ultivation of the Chang Jiang region, increasing of the dragon templ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