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도형, "한말 경북지역의 近代敎育과 儒敎" (10) : 1999
2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99인 1" 돌베개 1993
3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7" 2009
4 조지훈, "지조론-변절자를 위하여" 나남출판 1996
5 한긍희, "조선총독부의 조선인 도지사 임용정책과 양상" 역사문제연구소 13 (13): 109-143, 2009
6 동선희, "조선총독부 통치구조 하에서의 道 및 道知事의 기능과 역할"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7
7 박은경, "일제하 조선인관료 연구" 학민사 1999
8 김원도, "일제강점기 조선인 도지사 연구" 경성대학교 2018
9 정연태, "식민권력과 한국농업"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10 송지연, "러일전쟁이후 일제의 軍用地 收用과 한국민의 저항 : 서울(용산), 평양, 의주를 중심으로" (30) : 1997
1 김도형, "한말 경북지역의 近代敎育과 儒敎" (10) : 1999
2 반민족문제연구소, "친일파99인 1" 돌베개 1993
3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7" 2009
4 조지훈, "지조론-변절자를 위하여" 나남출판 1996
5 한긍희, "조선총독부의 조선인 도지사 임용정책과 양상" 역사문제연구소 13 (13): 109-143, 2009
6 동선희, "조선총독부 통치구조 하에서의 道 및 道知事의 기능과 역할"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7
7 박은경, "일제하 조선인관료 연구" 학민사 1999
8 김원도, "일제강점기 조선인 도지사 연구" 경성대학교 2018
9 정연태, "식민권력과 한국농업"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4
10 송지연, "러일전쟁이후 일제의 軍用地 收用과 한국민의 저항 : 서울(용산), 평양, 의주를 중심으로" (30) : 1997
11 김윤희, "러일전쟁기 일본군 협력 한인 연구-일본정부의 훈포상자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35) : 295-328, 2009
12 대구상공회의소, "대구상공회의소 70년사 상권" 대구상공회의소 1977
13 박중양, "述懷" 자가출판
14 森山茂德, "近代日韓關係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87
15 岡本眞希子, "總督政治と政党政治-二大政党期の總督人事と總督府官制·予算" 38 : 2000
16 稲葉継雄, "李軫鎬研究-朝鮮総督府初の朝鮮人学務局長の軌跡" (6) : 2006
17 藤本修三, "朴重陽について" (4) : 2002
18 古庄逸夫, "朝鮮統治回想錄" 자가출판 1962
19 佐々木隆爾, "朝鮮における日本帝国主義の養蚕業政策-第1次大戦期を中心に-" (114) : 1976
20 松田利彦, "日本の朝鮮植民地支配と警察 一九〇五~一九四五年" 校倉書房 2009
21 淺井良純, "日帝侵略初期における朝鮮人官吏の形成について-大韓帝国官吏出身者を中心に" (155) : 1995
22 伊藤之雄, "伊藤博文をめぐる日韓關係 : 韓國統治の夢と挫折, 1905~1921" ミネルヴァ書房 2011
23 山口盛, "わが七十七年の歩み" 自家版 1971
24 김일수, "‘한일병합’ 이전 대구의 일본인거류민단과 식민도시화" 한국학연구원 (59) : 253-283, 2015
25 이형식, "‘조선의 전기왕’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와 조선사회" 동양사학회 (145) : 171-211, 2018
26 이양희, "3·1운동기 일제의 한국인 자위단체 조직과 운용" 한국근현대사학회 (83) : 173-204, 2017
27 윤주한, "3·1운동기 自制團의 등장과 활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28 김일수, "3·1운동 전후 독립에 대한 인식과 독립운동 – 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학사학회 (38) : 67-100, 2018
29 이영학,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농업정책" 한국학연구소 (36) : 549-58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