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 =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als in Multicultural Society Perceived by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77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1학년 2학기에 교육학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이 교육에 대해 좀더 많은 고민과 생각 후에 갖는 생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기 후반부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생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 작성, 내용 명료화를 위한 추가적인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은 아홉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세계시민으로서 다문화를 이해하고 다문화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갖춘 교사, 둘째, 편견과 차별이 없는 교육을 하는 교사, 셋째, 모든 아이에게 지속적 관심과 애정을 가진 인간적이고 긍정적인 교사, 넷째, 문화적 갈등해소를 위해 다양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교사, 다섯째, 다문화 학생의 부족한 것을 파악, 이해하고 발달에 맞게 눈높이 교육을 하는 교사, 여섯째, 부모와 소통하면서 상담을 잘하는 교사, 일곱째, 한국어 학습을 잘 지원하는 교사, 여덟째, 학생 상호간의 다문화를 이해하고 조력하며, 타협하는 교사, 아홉째, 다문화 학생들이 소중한 존재라는 정체성을 갖게 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교사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급증하는 우리 사회에서 바람직한 교사상은 무엇이고, 다문화 교육을 담당할 교사를 어떤 교사로 길러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1학년 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1학년 2학기에 교육학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이 교육에 대해 좀더 많은 고민과 생각 후에 갖는 생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기 후반부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생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 작성, 내용 명료화를 위한 추가적인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은 아홉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세계시민으로서 다문화를 이해하고 다문화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갖춘 교사, 둘째, 편견과 차별이 없는 교육을 하는 교사, 셋째, 모든 아이에게 지속적 관심과 애정을 가진 인간적이고 긍정적인 교사, 넷째, 문화적 갈등해소를 위해 다양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교사, 다섯째, 다문화 학생의 부족한 것을 파악, 이해하고 발달에 맞게 눈높이 교육을 하는 교사, 여섯째, 부모와 소통하면서 상담을 잘하는 교사, 일곱째, 한국어 학습을 잘 지원하는 교사, 여덟째, 학생 상호간의 다문화를 이해하고 조력하며, 타협하는 교사, 아홉째, 다문화 학생들이 소중한 존재라는 정체성을 갖게 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교사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급증하는 우리 사회에서 바람직한 교사상은 무엇이고, 다문화 교육을 담당할 교사를 어떤 교사로 길러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als in multicultural scociety perceived by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Korea.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llected material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the analysis, the following nine characteristics a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for multicultural teachers. First, teachers who understand multiple cultures and prepare various ability need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eachers who show no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ird, teachers who carry continuous care and affection to every children. Fourth,teachers who practice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for multicutural students during class. Fidth,teachers who figure out and understand multicultural students' disadvantages. Sixth, teachers who conduct frequent consultation and counselling with multicultural parents. Seventh, teachers who provide Korean language assistace. Eighth, teachers who play the role of assistance and compromiser for multicultural students. Ninth, teachers who inculcate a sense in which multicultural students are cherished by teachers.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als in multicultural scociety perceived by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Korea.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is to infer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als in multicultural scociety perceived by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Korea.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40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llected material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s the analysis, the following nine characteristics are found to be very important for multicultural teachers. First, teachers who understand multiple cultures and prepare various ability need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eachers who show no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ird, teachers who carry continuous care and affection to every children. Fourth,teachers who practice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for multicutural students during class. Fidth,teachers who figure out and understand multicultural students' disadvantages. Sixth, teachers who conduct frequent consultation and counselling with multicultural parents. Seventh, teachers who provide Korean language assistace. Eighth, teachers who play the role of assistance and compromiser for multicultural students. Ninth, teachers who inculcate a sense in which multicultural students are cherished by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이선,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2 통일부, "통계자료"

      3 김종철, "최신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4

      4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32, 2007

      5 법무부, "체류 외국인 100만명 돌파"

      6 EBS, "인간의 두 얼굴-우리는 사람을 겉모습으로 판단한다"

      7 장지영,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사회" 후마티나스 2008

      9 최석민, "듀이의 성장개념에 입각한 교사상 탐색" 13 (13): 117-133, 2000

      10 박상준,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초등 사회과 전통문화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29-53, 2008

      1 김이선,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2 통일부, "통계자료"

      3 김종철, "최신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4

      4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32, 2007

      5 법무부, "체류 외국인 100만명 돌파"

      6 EBS, "인간의 두 얼굴-우리는 사람을 겉모습으로 판단한다"

      7 장지영,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박경태, "소수자와 한국사회" 후마티나스 2008

      9 최석민, "듀이의 성장개념에 입각한 교사상 탐색" 13 (13): 117-133, 2000

      10 박상준,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초등 사회과 전통문화 교육과정의 구성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29-53, 2008

      11 정윤경,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교육과학사 2010

      12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다문화사회를 향한 전망과 정책적 대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13 박천웅, "다문화사회 현실과 교육" 51-64, 2010

      14 한용택,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9

      15 이채식,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16 오은순,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9

      17 모경환,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제" 양서원 2009

      18 천호성, "다문화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전략- 인권교육을 중심으로 -" 교육종합연구소 7 (7): 26-44, 2009

      19 구정화, "다문화교육 이해" 동문사 2009

      20 천호성,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생활 들여다보기" 88-94, 2008

      21 오만석,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현실과 과제: 여섯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교육학회 4 (4): 43-77, 2011

      22 권순희, "다문화 시대를 대비한 다문화 교육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26) : 123-156, 2008

      23 양옥경, "다문화 사회" 나남 2009

      24 조영달, "다문화 가정의 자녀교육실태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006

      25 김용신,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실태, 문제점, 그리고 비전" 196 : 8-11, 2009

      26 이윤식, "교직과정 이수중인 대학생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교사상의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303-323, 2008

      27 김정환, "교육학 개론" 박영사 2005

      28 김재춘, "교육과정" 교육과학사 2012

      29 서정화, "교원임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18 : 123-140, 2001

      30 조동섭, "교원의 전문성 신장 방안" 18 (18): 64-70, 2005

      31 김병찬, "교사상 탐색을 위한 질적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57-90, 2005

      32 오욱환, "교사 전문성" 교육과학사 2006

      33 "공익광고 협의회"

      34 Spradley, J. P., "Particippant observation" Rinehart and Winston 1980

      35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Historical development, dimentsons, and practice, In Handbook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2nd ed.)" Wiley 3-29, 2004

      36 Banks, J. 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3rd ed.)" Allyn and Bacon 2002

      37 이돈희, "21세기의 교사상과 교직" 17 (17): 1-18, 2000

      38 황기우, "21세기 교사의 역할" 원미사 1998

      39 행정안전부, "2009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조사 결과" 행정안전부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4 1.74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4 1.857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