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성옥, "주제격 ‘ᄋᆞᆫ/은/ᄂᆞᆫ/는’과 목적격 ‘ᄋᆞᆯ/을/ᄅᆞᆯ/를’의 단일화에 대한 일고찰 -16∼19세기 한글간찰에서의 표기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83) : 1-31, 2018
2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9 광산김씨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3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8 대전 안동권씨 유회당가 한글간찰 외" 태학사 2009
4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6 의성김씨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 태학사 2009
5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5 은진송씨 송규렴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6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4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7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3" 태학사 2005
8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2" 태학사 2005
9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1" 태학사 2005
10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3" 역락 2013
1 김성옥, "주제격 ‘ᄋᆞᆫ/은/ᄂᆞᆫ/는’과 목적격 ‘ᄋᆞᆯ/을/ᄅᆞᆯ/를’의 단일화에 대한 일고찰 -16∼19세기 한글간찰에서의 표기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83) : 1-31, 2018
2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9 광산김씨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3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8 대전 안동권씨 유회당가 한글간찰 외" 태학사 2009
4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6 의성김씨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 태학사 2009
5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5 은진송씨 송규렴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6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4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간찰" 태학사 2009
7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3" 태학사 2005
8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2" 태학사 2005
9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후기 한글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1" 태학사 2005
10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3" 역락 2013
11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2" 역락 2013
12 황문환, "조선시대 한글편지 판독자료집 1" 역락 2013
13 황문환,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현황과 특성" 국어사학회 (10) : 73-131, 2010
14 한영균, "모음조화의 붕괴 유인에 대한 재검토"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11 : 115-142, 1996
15 김성옥,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어문연구학회 84 : 5-30, 2015
16 이기문, "난정 남광우 박사 화갑기념논총" 일조각 255-266, 1980
17 홍윤표, "근대국어의 국어사적 성격" 국어사학회 (9) : 153-172, 2009
18 홍윤표, "근대국어 연구(Ⅰ)" 태학사 1994
19 전광현, "근대 국어 음운" 2 : 7-54, 1997
20 손석락, "국어의 주제격·주격 부여자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21 김억수, "개화기의 국어교과서 고찰" 중앙어문학회 14 : 7-22, 1979
22 남미영, "개화기의 교과서" 한국교육개발원 48-51, 1994
23 김형철, "개화기 국어연구" 경남대 출판부 1997
24 김남돈, "개화기 국어교과서의 국어교육사적 의의" 한국국어교육학회 (82) : 5-24, 2009
25 장상호, "개화기 국어교과서 연구" 조선대 교육대학원 국어교육학회 1 : 103-162, 1981
26 송미영, "개화기 국어과 교과서의 표기와 음운 연구" 충남대학교 2017
27 정승철, "개화기 국어 음운" 국립국어연구원 4 : 7-59, 1999
28 이준환, "개화기 교과서의 표기와 음운의 연구 성과 및 전망" 국어사학회 (26) : 7-57, 2018
29 정길남, "개화기 교과서의 우리말 연구(수정 증보판)" 박이정 1999
30 韓榮均, "母音調和의 붕괴와 母音體系 再定立의 상관성에 관한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33-55, 2002
31 學部編纂,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Ⅰ" 亞細亞文化史 1977
32 學部編纂,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Ⅰ" 亞細亞文化史 1977
33 學部編纂,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Ⅰ" 亞細亞文化史 1977
34 張志淵,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 Ⅷ" 亞細亞文化史 1977
35 姜華錫,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 Ⅷ" 亞細亞文化史 1977
36 玄 采,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 Ⅶ" 亞細亞文化史 1977
37 學部編纂,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 Ⅵ" 亞細亞文化史 1977
38 俞吉濬,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 Ⅱ" 亞細亞文化史 1977
39 李源競,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 Ⅱ" 亞細亞文化史 1977
40 玄 采, "國語開化期敎科書叢書 Ⅱ" 亞細亞文化史 1977
41 김성옥, "19~20세기 전반 한글간찰에서의 주제격과 목적격에 대한 표기 분석" 영주어문학회 39 : 5-30, 2018
42 김성옥, "18~19세기 한글간찰의 표기법적 고찰 - 동춘당 송준길가(家)의 미주해 한글간찰을 중심으로" 어문연구학회 91 : 27-55,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