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경제의)글로벌 국가경쟁력 : 1993-1996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297425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한국경제연구원, 1997

      • 발행연도

        199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22.11 판사항(4)

      • DDC

        338.9519 판사항(19)

      • ISBN

        8980311117 93320: ₩20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한국경제의)글로벌 국가경쟁력: 1993-1996 / 한국경제연구원 [편]

      • 형태사항

        843p.; 27cm

      • 일반주기명

        연구자 : 정진호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공회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수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지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원대학교 인당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발간사 = 3
      • 핵심 경쟁력요소(KFC)로 본 글로벌 국가경쟁력의 개념과 전략 = 9
      • 제1장 한국경제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강화 = 11
      • 한국경제의 21세기 준비 액션 프로그램 : 글로벌 국가경쟁력 강화 = 13
      • 목차
      • 발간사 = 3
      • 핵심 경쟁력요소(KFC)로 본 글로벌 국가경쟁력의 개념과 전략 = 9
      • 제1장 한국경제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강화 = 11
      • 한국경제의 21세기 준비 액션 프로그램 : 글로벌 국가경쟁력 강화 = 13
      • 1. 21세기 준비 = 13
      • 2.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액션 = 13
      • 3. 글로벌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행동 프로그램 개발 = 14
      • 제1단계 : 현위치 파악 = 14
      • 제2단계 : 원인분석과 핵심요소 발굴 = 14
      • 제3단계 : 비전설정과 목표선택 = 15
      • 제4단계 : 걸림돌 발굴과 발상의 전환 = 15
      • 제5단계 : 대안제시와 액션 프로그램 = 16
      • 제2장 한국경제의 국가경쟁력 현주소 = 17
      • 제1단계 : 현위치 파악
      • 문민정부 출범 이후의 국가경쟁력 변화추이 = 19
      • I. 문민정부 출범 이후 두드러진 새로운 변화의 메가트랜드 = 19
      • II. 신한국 4년 동안의「변화와 개혁」 = 20
      • III. 문민정부 출범 이후 국가경쟁력 변화추이 = 22
      • 국제경영개발원(IMD)의 세계경쟁력 평가 = 24
      • 세계경제포럼(WEF)의 글로벌 경쟁력 평가 = 28
      • 한국경제연구원(KERI)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분석 = 32
      • 제3장 구조분석과 핵심 경쟁력요소 발굴 = 35
      • 제2단계 : 원인분석
      • 경쟁력 분포 변화 = 37
      • I. 경쟁력 개념과 경쟁력지표 = 37
      • II. 경쟁력 분포 = 39
      • 글로벌 국가경쟁력의 구조분석 : KFC 가중치에 의한 분포결합법 = 40
      • I. 경쟁력 계측에 관한 베이지안적 해석 = 40
      • II. KFC 가중치에 의한 분포결합법 = 40
      • III. KFC 분포결합법의 계산기법 = 41
      • IV. 인용문헌 = 42
      • 제2단계 : 핵심요소 발굴
      • 핵심 경쟁력요소로 본 글로벌 국가경쟁력 = 43
      • I. 핵심 경쟁력요소 = 43
      • II. KFC로 본 글로벌 국가경쟁력의 구조 = 43
      • III. 쉬운 말로 표현한 글로벌 국가경쟁력 = 44
      • IV. 핵심 글로벌 국가경쟁력 요소의 경쟁력 기여도 = 46
      • V. 글로벌 국가경쟁력 구성요소의 경쟁력 기여도 변화추이 = 48
      • 1996년도 글로벌 국가경쟁력 기여도가 높은 핵심 경쟁력요소(KFC) = 50
      • 1995년도 글러벌 국가경쟁력 기여도가 높은 핵심 경쟁력요소(KFC) = 55
      • 1994년도 글러벌 국가경쟁력 기여도가 높은 핵심 경쟁력요소(KFC) = 61
      • 1993년도 글러벌 국가경쟁력 기여도가 높은 핵심 경쟁력요소(KFC) = 67
      • 제4장 비전설정과 목표선택 = 73
      • 제3단계 : 비전설정과 목표선택
      • 21세기 준비 어떻게 해야 하나? : 한국경제의 전략적 개혁경로 = 75
      • I. 분명한 지향성격 선택을 통한 비전설정 = 75
      • II. 리스트럭처링을 통한 치밀한 국가전략 목표선택 = 76
      • 제5장 걸림돌 발굴과 발상의 전환 = 79
      • 제4단계 : 걸림돌 발굴
      • 한국경제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평가 1993-1996 = 81
      • I. 경제운영성과 = 81
      • II. 프로세스 효율성 = 81
      • III. 투자역량 = 82
      • IV. 학습역량 = 82
      • V. 사회역량 = 82
      • AT : 내부친밀성 = 83
      • AG : 외향공격성 = 83
      • KERI가 평가한 1993-1996년도 한국경제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분석 = 84
      • 제4단계 : 발상의 전환
      • 세계 최우수 핵심경쟁력 수준에 비교한 우리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 86
      • 제6장 대안제시 및 액션 프로그램 = 91
      • 제5단계 : 대안제시
      • 21세기 준비(I) : 한국경제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강화전략 : 리오리엔테이션 능력배양 = 93
      • 제5단계 : 액션프로그램
      • 21세기 준비(II) : 한국 정부와 기업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강화전략 : 리엔지니어링 능력과 리스트럭처링 능력배양 = 95
      • 21세기 준비(III) : 한국인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강화전략 : 리스트럭처링 능력배양 = 98
      • 제7장 경쟁력 분석 = 101
      • A. 1993-1996 글로벌 국가경쟁력 평가 종합지표 변화추이 = 103
      • A-1. 글로벌 국가경쟁력 = 104
      • A-2. 내부친밀성 및 외향공격성 = 105
      • A-3. 리오리엔테이션, 리엔지니어링, 리스트럭처링 = 107
      • A-4. 5대 핵심 경쟁력요소 = 110
      • A-5. 10대 경쟁력 결정요소 = 115
      • B. 연도별 글로벌 국가경쟁력 평가 종합지표 = 125
      • B-1. 성격과 전략으로 분석한 국가경쟁력 = 126
      • B-2. 5대 핵심 경쟁력요소로 분석한 국가경쟁력 = 130
      • B-3. 10대 경쟁력 결정요소로 분석한 국가경쟁력(순위, 점수) = 134
      • C. 핵심 경쟁력요소간 상호연계 매트릭스 = 143
      • C-1. 경쟁력 기여비중에의한 경쟁력 분포결합 = 145
      • C-2. 핵심 경쟁력 결정요소의 경쟁력기여도 변화추이 = 160
      • C-3. 내부친밀성 5요소의 경쟁력기여도 변화추이 = 163
      • C-4. 외향공격성 5요소의 경쟁력기여도 변화추이 = 164
      • C-5. 핵심 경쟁력요소의 경쟁력기여도 변화추이 = 165
      • C-6. 핵심 경쟁력요소간 상호연계 매트릭스 : 경쟁력기여도 추계치 = 170
      • C-7. 핵심 경쟁력요소간 상호연계 매트릭스 : 각 항목당 사용 지표수 = 172
      • D. 1993-1996 전략적 측면으로 분석한 글로벌 국가경쟁력 = 175
      • D-1. 지향성격으로 분석한 국가경쟁력 = 176
      • D-2. 전략측면으로 분석한 국가경쟁력 = 178
      • D-3. 종합 국가경쟁력과 경제운영성과 = 184
      • D-4. 종합 국가경쟁력과 프로세스 효율성 = 192
      • D-5. 종합 국가경쟁력과 투자역량 = 200
      • D-6. 종합 국가경쟁력과 학습역량 = 208
      • D-7. 종합 국가경쟁력과 사회역량 = 216
      • E. 나라별 1993-1996 글로벌 국가경쟁력 평가 종합분석표 = 225
      • E-1. 경제규모가 큰 OECD 회원국 -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캐나다, 한국 - = 226
      • E-2. 체제전환국 - 중국, 러시아, 폴란드, 헝가리, 체코공화국 - = 242
      • E-3. 기타 영어권 국가 - 싱가폴, 홍콩, 호주, 뉴질랜드, 남아공, 필리핀, 인도 - = 252
      • E-4. 기타 유럽연합국가 - 스페인, 네델란드, 스위스, 벨지움(베네룩스), 오스트리아,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핀랜드, 그리스, 폴투갈, 아일랜드, 룩셈불그, 아이슬란드 - = 266
      • E-5. 기타 아시아 국가 - 대만,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 = 294
      • E-6. 중남미국가 -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콜롬비아, 베네주엘라, 칠레, 페루 - = 304
      • E-7. 중동국가 - 터키, 이스라엘, 이집트, 요르단 - = 318
      • F. 1993-1996 글로벌 국가경쟁력 평가 종합지표 분포그림 = 327
      • F-1. 글로벌 국가경쟁력 = 328
      • F-2. 내부친밀성 및 외향공격성 = 332
      • F-3. 리오리엔테이션, 리엔지니어링, 리스트럭처링 = 340
      • F-4. 5대 핵심 경쟁력요소 = 352
      • F-5. 10대 경쟁력 결정요소 = 372
      • G. 1993-1996 글로벌 국가경쟁력 평가 분석지표 = 613
      • G-1. 1996년도 10개항목 381개 경쟁력지표 = 614
      • G-2. 1995년도 10개항목 373개 경쟁력지표 = 670
      • G-3. 1994년도 10개항목 354개 경쟁력지표 = 726
      • G-4. 1993년도 10개항목 333개 경쟁력지표 = 768
      • 부록 KERI 라운드 테이블 한국경제의 글로벌 국가경쟁력 = 8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