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급 한국어 교재 가운데 초급부터 고급까지 체계 적으로 교재를 발간하고 있는 4종의 교재를 선정하여, 본문 제재의 특성, 단원 구성 및 연습 활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99143
김정우 (이화여자대학교)
2012
Korean
한국어교육 ; 고급 교재 ; 본문 제재 ; 단원 구성 ; 어휘 학습 ; 한국어능력 평가 ; KFL ; textbooks for advanced learners ; body text ; unit organization ; vocabulary learning ; TOPIK
KCI등재
학술저널
151-181(3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급 한국어 교재 가운데 초급부터 고급까지 체계 적으로 교재를 발간하고 있는 4종의 교재를 선정하여, 본문 제재의 특성, 단원 구성 및 연습 활동...
이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급 한국어 교재 가운데 초급부터 고급까지 체계 적으로 교재를 발간하고 있는 4종의 교재를 선정하여, 본문 제재의 특성, 단원 구성 및 연습 활동의 형태, 어휘의 수준에 중점을 두어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본문의 제재로 선택된 글은 4종의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한국 현대 소설이나 수필의 비중이 높았다. 비문학 제재에는 현대 과학기술 문명이나 쟁점이 되는 사안들, 그리고 한국어 와 한국인의 언어문화에 대한 글이 많았다. 교재에 따라 시대별, 성별 작가 분포의 다양성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단원의 구성 체재에서는 본문 읽기 전 활동이 없어 동기 유발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 다. 연습 활동에서는 4지선다형 문항 출제 방식과 짧은 서답형 형태가 공존하는데, 학습 목적 에 따라 두 유형을 적절히 배치하여 함께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어휘 학습에서는 고급 단계에 맞는 수준의 어휘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으나, 분량이 과다하거나 수준이 지나치게 높은 단어들이 있고, 책 뒤에 어휘 색인이 없어 사용하는 데 불 편함을 느끼게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분석을 토대로 하여, 문학 갈래의 다양화, 다양한 분야의 읽기 제재 제공, 중국 관련 내 용을 담은 한국어 제재 수록, 연습 활동의 한국어능력 평가와의 연계와 학습자의 실질적인 언 어 능력 강화 방안 등을 향후 고급 교재 개발의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extbooks for the advanced learners in China. Through this analysis, we could grasp current status of teaching KFL in China and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KFL(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extbooks for the advanced learners in China. Through this analysis, we could grasp current status of teaching KFL in China and explore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KFL textbook in future. I analyzed four kinds of KFL textbooks, which have systems from beginners to advanced, published in China. This paper focused on the internal aspects of textbook, which included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body text, unit organization, exercise activity, and vocabulary learning. In analyzing the textbooks, we could notice some meaningful points that we should consider the diversification of genres, provision of Korean texts to have contents about China, and intensification of learners’ activity for TOPIK(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왕규,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2 서종학, "한국어교재론" 태학사 2007
3 한재영, "한국어 어휘 교육" 태학사 2010
4 진대연, "한국어 교재 분석의 기준 : 연구와 적용" 국어교육학회 9 : 407-434, 1999
5 김영선, "한국어 교육 교재의 평가 기준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1-20, 2006
6 李先漢, "한국어 교과서 개발의 과거와 현재 및 개선 방안"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7-15, 2009
7 엄녀, "평가 기준을 통한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29-256, 2007
8 이주화,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원리" 중국어문학연구회 (63) : 311-330, 2010
9 남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재 편찬 연구" 13 : 187-233, 2009
10 김정우, "중국의 한국어 초급 교재 비교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113-146, 2008
1 김왕규,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2 서종학, "한국어교재론" 태학사 2007
3 한재영, "한국어 어휘 교육" 태학사 2010
4 진대연, "한국어 교재 분석의 기준 : 연구와 적용" 국어교육학회 9 : 407-434, 1999
5 김영선, "한국어 교육 교재의 평가 기준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1-20, 2006
6 李先漢, "한국어 교과서 개발의 과거와 현재 및 개선 방안"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7-15, 2009
7 엄녀, "평가 기준을 통한 중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8 (18): 229-256, 2007
8 이주화,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원리" 중국어문학연구회 (63) : 311-330, 2010
9 남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 교재 편찬 연구" 13 : 187-233, 2009
10 김정우, "중국의 한국어 초급 교재 비교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9 (19): 113-146, 2008
11 김성란, "중국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 외솔회 119 : 66-99, 2010
12 王丹,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전망" 12 : 33-71, 2009
13 김의수, "중국어권 학문 목적 학습자 구어 문장의 통사적 특징과 한계 -한국인 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어문학회 (36) : 243-291, 2010
14 "중국 한국어교육 현장을 가다(1)" 흑룡강신문
15 구민지, "읽기 텍스트 난이도 측정법 연구 -학문목적 한국어 고급 읽기 교재 수록 텍스트를 대상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2 (22): 27-48, 2011
16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17 주옥파,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165-188, 2004
18 김정우,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재 개발 방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6 (6): 1-31, 2009
19 박선희, "時事를 활용한 小冊子 제작 프로젝트 授業 模型 硏究:韓國語 高級班을 대상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447-476, 2006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1 | 0.80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