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분산 디버거 유니뷰 시스템의 개발 =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Debugger UniVIE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00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기종 환경에서 개발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응용프로그램의 디버깅은 개발환경의 이질성과 분산디버깅에 내재하는 복잡성으로 인하여 개발의 주요한 장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의 분산처리 디버거인 유니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유니뷰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이기종 호스트의 각 디버거들에 대한 단일화된 디버깅 개념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유니뷰 시스템 서버는 동일 호스트에 존재하는 한 개 이상의 디버거 프로세스와 연동함으로써 디버깅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방성과 확장성을 갖는다. 본 시스템의 개발에서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단일화를 위해 디버깅 객체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디버깅 객체는 이질적인 디버거들의 디버깅 정보와 기능을 추상화하여 모델링한 것으로 본 시스템의 설계 기반을 제공하였다.
      번역하기

      이기종 환경에서 개발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응용프로그램의 디버깅은 개발환경의 이질성과 분산디버깅에 내재하는 복잡성으로 인하여 개발의 주요한 장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

      이기종 환경에서 개발되는 클라이언트 서버 응용프로그램의 디버깅은 개발환경의 이질성과 분산디버깅에 내재하는 복잡성으로 인하여 개발의 주요한 장벽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의 분산처리 디버거인 유니뷰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유니뷰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이기종 호스트의 각 디버거들에 대한 단일화된 디버깅 개념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유니뷰 시스템 서버는 동일 호스트에 존재하는 한 개 이상의 디버거 프로세스와 연동함으로써 디버깅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방성과 확장성을 갖는다. 본 시스템의 개발에서는 다양한 인터페이스의 단일화를 위해 디버깅 객체의 개념을 소개하였다. 디버깅 객체는 이질적인 디버거들의 디버깅 정보와 기능을 추상화하여 모델링한 것으로 본 시스템의 설계 기반을 제공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bugging client/server applications under heterogeneous development environment is a major bottleneck in the development process due to the heterogeneity and the complexity inherent to the distributed debugging nature. To solve these problems, a distributed debugger of client/server model named UniVIEW has been developed in this project.
      The UniVIEW client provides unified debugging concept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over various debuggers running on heterogeneous platforms. The UniVIEW server has open architecture which allows extensibility and scalability as well as debugging services by connecting more than one debugger processes residing on the same host. In the design of UniVIEW, a concept of debugging objects has been introduced to unify user interfaces and debugging contexts of various debuggers. As a result of an abstraction process of debugging information and debugging functions of heterogeneous debuggers, debugging object model provides basis of development of UniVIEW.
      번역하기

      Debugging client/server applications under heterogeneous development environment is a major bottleneck in the development process due to the heterogeneity and the complexity inherent to the distributed debugging nature. To solve these problems, a dist...

      Debugging client/server applications under heterogeneous development environment is a major bottleneck in the development process due to the heterogeneity and the complexity inherent to the distributed debugging nature. To solve these problems, a distributed debugger of client/server model named UniVIEW has been developed in this project.
      The UniVIEW client provides unified debugging concept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over various debuggers running on heterogeneous platforms. The UniVIEW server has open architecture which allows extensibility and scalability as well as debugging services by connecting more than one debugger processes residing on the same host. In the design of UniVIEW, a concept of debugging objects has been introduced to unify user interfaces and debugging contexts of various debuggers. As a result of an abstraction process of debugging information and debugging functions of heterogeneous debuggers, debugging object model provides basis of development of Uni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분산 디버깅의 문제점
      • 3. 유니뷰 시스템의 설계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분산 디버깅의 문제점
      • 3. 유니뷰 시스템의 설계
      • 4. 구현
      • 5. 결론
      • 참고문헌
      • 저자소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