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비극의 탄생 = Birth of Tragedy - ‘Toji’ and motherhood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37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박경리의 『토지』를 대상으로 비극적 현실을 극복하는 모성의 서사적 원리를 분석하였다. 『토지』는 1897년부터 1945년까지를 시간적 배경으로 근대의 야만적 풍경 속에서 왜곡되고 변형된 인간상을 조망하면서, 이 속에서 있어야 할 질서를 귀환과 회복의 서사로 재현하고 있다. 일단, 『토지』는 ‘서희의 오딧세이’로 시작한다. 이 여행이 도달해야 할 곳은 평사리 최씨 가문이며 이는 소설 2부까지 지속된다. 그러나 가문을 되찾은 시점에도 서사는 완료되지 않으며, 오히려 길상을 매개로 식민지 현실을 탐색하는 과정으로 확대된다. 이를 기점으로 『토지』의 서사는 개인적 원한에서 민족적 비극으로 나아가게 되며 ‘토지’의 의미를 민족적 터전으로 심화시키게 된다. 이 속에서 많은 인물들은 자기 터전을 잃은 채 살아가는 무수한 고아로 재현되지만 이를 극복하는 감정적, 윤리적 태도로 ‘모성’이 제시되면서 고아들의 파편화된 현실은 민족의 현실로 봉합되고 극복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박경리의 『토지』를 대상으로 비극적 현실을 극복하는 모성의 서사적 원리를 분석하였다. 『토지』는 1897년부터 1945년까지를 시간적 배경으로 근대의 야만적 풍경 속에서 ...

      이 연구에서는 박경리의 『토지』를 대상으로 비극적 현실을 극복하는 모성의 서사적 원리를 분석하였다. 『토지』는 1897년부터 1945년까지를 시간적 배경으로 근대의 야만적 풍경 속에서 왜곡되고 변형된 인간상을 조망하면서, 이 속에서 있어야 할 질서를 귀환과 회복의 서사로 재현하고 있다. 일단, 『토지』는 ‘서희의 오딧세이’로 시작한다. 이 여행이 도달해야 할 곳은 평사리 최씨 가문이며 이는 소설 2부까지 지속된다. 그러나 가문을 되찾은 시점에도 서사는 완료되지 않으며, 오히려 길상을 매개로 식민지 현실을 탐색하는 과정으로 확대된다. 이를 기점으로 『토지』의 서사는 개인적 원한에서 민족적 비극으로 나아가게 되며 ‘토지’의 의미를 민족적 터전으로 심화시키게 된다. 이 속에서 많은 인물들은 자기 터전을 잃은 채 살아가는 무수한 고아로 재현되지만 이를 극복하는 감정적, 윤리적 태도로 ‘모성’이 제시되면서 고아들의 파편화된 현실은 민족의 현실로 봉합되고 극복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is study, the narration principle of motherhood that overcomes from the tragic reality with the subject of ‘Toji(土地)’ of Park Kyung-ri has been analyzed. Toji(土地) displays the human images distorted and deformed under the barbaric scenery of modern times under the background of time from 1897 to 1945 and materialize the order that should be available within the foregoing with the narration in returning and restoration. First of all, ‘Toji(土地)’ begins from the description of Odyssey of Seohee and Gilsang. Odyssey of Seohee is focused on the matters to recover the Choi clan and it is continued to the second part of the novel. However, even at the time to complete this matter, the narration ‘Toji(土地)’ deepens the implication of ‘land’ as it progresses from the personal resentment to the national is yet to be completed, and rather, it is expanded to the process to search the tragic colonial reality with Gilsang as a medium. Based on the foregoing, the narration of tragedy. ‘Toji(土地)’ is restructured with the narration to keep the human life to keep under the reality of absence of motherhood that is painted as ‘searching for mother’. Under this process, numerous orphans without their foundation of living as well as their fragmented reality would march toward the generalized human and world in healing through the point of view for life caring found in motherhood.
      번역하기

      Under this study, the narration principle of motherhood that overcomes from the tragic reality with the subject of ‘Toji(土地)’ of Park Kyung-ri has been analyzed. Toji(土地) displays the human images distorted and deformed under the barbaric ...

      Under this study, the narration principle of motherhood that overcomes from the tragic reality with the subject of ‘Toji(土地)’ of Park Kyung-ri has been analyzed. Toji(土地) displays the human images distorted and deformed under the barbaric scenery of modern times under the background of time from 1897 to 1945 and materialize the order that should be available within the foregoing with the narration in returning and restoration. First of all, ‘Toji(土地)’ begins from the description of Odyssey of Seohee and Gilsang. Odyssey of Seohee is focused on the matters to recover the Choi clan and it is continued to the second part of the novel. However, even at the time to complete this matter, the narration ‘Toji(土地)’ deepens the implication of ‘land’ as it progresses from the personal resentment to the national is yet to be completed, and rather, it is expanded to the process to search the tragic colonial reality with Gilsang as a medium. Based on the foregoing, the narration of tragedy. ‘Toji(土地)’ is restructured with the narration to keep the human life to keep under the reality of absence of motherhood that is painted as ‘searching for mother’. Under this process, numerous orphans without their foundation of living as well as their fragmented reality would march toward the generalized human and world in healing through the point of view for life caring found in motherhoo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1. 한국적인 것과 모성
      • 2. 오딧세이의 서사와 모성적 원리
      • 3. 한국적 비극과 모성
      • 참고문헌
      • 국문 요약
      • 1. 한국적인 것과 모성
      • 2. 오딧세이의 서사와 모성적 원리
      • 3. 한국적 비극과 모성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리, "토지1부-5부 20권" 마로니에북스 2012

      2 우찬제, "지모신(地母神)의 상상력과 생명의 미학 : 박경리의 『토지』론" 문학과지성사 7 (7): 1712-1734, 1994

      3 이덕화, "여성문학과 생명주의" 한국여성문학학회 175-198, 2000

      4 최유찬, "빅뱅이론과 생명사상으로 읽은 박경리의 토지" 126 : 206-211, 1996

      5 이미화, "박경리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연구 -『토지』의 여성인물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361-386, 2008

      6 임지연, "박경리의 시 인식과 생명적 능동성의 시학" 한국문학연구소 (48) : 349-384, 2015

      7 백지연, "박경리의 『토지』" 역사비평사 43 : 335-352, 1998

      8 김은경,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모성성의 탈신화화 양상과 가부장제에 대한 대응 방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0) : 155-169, 2010

      9 박상민, "박경리 『토지』 연구의 통시적 고찰" 한국근대문학회 (31) : 271-319, 2015

      10 이상진, "『 토지 』 에 나타난 가족문제와 모성성" 한국여성문학학회 3 : 147-173, 2000

      1 박경리, "토지1부-5부 20권" 마로니에북스 2012

      2 우찬제, "지모신(地母神)의 상상력과 생명의 미학 : 박경리의 『토지』론" 문학과지성사 7 (7): 1712-1734, 1994

      3 이덕화, "여성문학과 생명주의" 한국여성문학학회 175-198, 2000

      4 최유찬, "빅뱅이론과 생명사상으로 읽은 박경리의 토지" 126 : 206-211, 1996

      5 이미화, "박경리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연구 -『토지』의 여성인물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2 (12): 361-386, 2008

      6 임지연, "박경리의 시 인식과 생명적 능동성의 시학" 한국문학연구소 (48) : 349-384, 2015

      7 백지연, "박경리의 『토지』" 역사비평사 43 : 335-352, 1998

      8 김은경,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모성성의 탈신화화 양상과 가부장제에 대한 대응 방식"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0) : 155-169, 2010

      9 박상민, "박경리 『토지』 연구의 통시적 고찰" 한국근대문학회 (31) : 271-319, 2015

      10 이상진, "『 토지 』 에 나타난 가족문제와 모성성" 한국여성문학학회 3 : 147-173, 2000

      11 류보선, "<김약국의 딸들>에서 <토지>까지 문학적연대기:비극성에서 한으로, 운명에서 역사로" 작가세계 6 (6): 18-45,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1.4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