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尚古仮字用格』と『増補正誤仮名遣』の関係について― 共通に見られる漢語に注目して ― = Relationship between Shokokanazukai and Zohoseigokanazukai: Focus on Common Sino-Japanese Vocabul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7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ino-Japanese vocabulary of Shokokanazukai and Zohoseigokanazukai containing words written in historical Kana orthography. The results showed that Zohoseigokanazukai was produc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 of Shokokanazukai.
      Even th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uthors was not confirmed, it is clear that most of the Sino-Japanese vocabulary in Shokokanazukai were also included in Zohoseigokanazukai. Since both materials aim to help learners by showing words written in historical Kana orthography, which the original authors considered to be correct, it is natural that some of the words in the works overlapped.
      However, some of the annotations written for the words were similar to each other. Also, both materials contain the word “kefuryo” which is not seen in other materials.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Zohoseigokanazukai was influenced by Shokokanazukai. “Kefuryo” appears to originate from Utsuho Monogatari, while the author of Shokokanazukai, who read Utsuho Monogotari, believed that he created the word himself.
      In addition, although Zohoseigokanazukai is a material that expands to Seigokanazukai, which was produced in 1788, some Sino-Japanese vocabulary are different from Seigokanazukai and similar to Shokokanazukai.
      번역하기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ino-Japanese vocabulary of Shokokanazukai and Zohoseigokanazukai containing words written in historical Kana orthography. The results showed that Zohoseigokanazukai was produc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 o...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ino-Japanese vocabulary of Shokokanazukai and Zohoseigokanazukai containing words written in historical Kana orthography. The results showed that Zohoseigokanazukai was produc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 of Shokokanazukai.
      Even th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uthors was not confirmed, it is clear that most of the Sino-Japanese vocabulary in Shokokanazukai were also included in Zohoseigokanazukai. Since both materials aim to help learners by showing words written in historical Kana orthography, which the original authors considered to be correct, it is natural that some of the words in the works overlapped.
      However, some of the annotations written for the words were similar to each other. Also, both materials contain the word “kefuryo” which is not seen in other materials.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Zohoseigokanazukai was influenced by Shokokanazukai. “Kefuryo” appears to originate from Utsuho Monogatari, while the author of Shokokanazukai, who read Utsuho Monogotari, believed that he created the word himself.
      In addition, although Zohoseigokanazukai is a material that expands to Seigokanazukai, which was produced in 1788, some Sino-Japanese vocabulary are different from Seigokanazukai and similar to Shokokanazuka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쓰인 단어들을 수록한 『尚古仮字用格』와 『増補正誤仮名遣』의 한자어들을 조사하여 『増補正誤仮名遣』가 『尚古仮字用格』의 내용을 참고하여 제작되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두 자료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을 국학자 사이에 정착시킨 『古言梯』 이후 간행되었으며 『古言梯』의 이념을 계승하고 있다.
      저자간의 교류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두 자료의 한자어를 조사한 결과, 『尚古仮字用格』의 한자어 대부분이 『増補正誤仮名遣』에도 수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두 자료 모두 (저자가 올바르다고 생각하는)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쓰인 단어들을 수록하여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그 대상이 되는 단어들이 우연히 겹칠 수도 있다.
      하지만 한자어에 쓰인 주석의 기술 방식이 유사하고, 다른 자료에서는 보이지 않는 「けふりよう(華浮綾)」라는 단어를 수록하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増補正誤仮名遣』는 제작 당시 『尚古仮字用格』를 참고했다고 할 수 있다. 「けふりよう(華浮綾)」는 우쓰호 모노가타리에서 유래한 단어로 보이며 우쓰호 모노가타리를 읽은 『尚古仮字用格』의 저자가 독자적으로 만들어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増補正誤仮名遣』는 1788년에 제작된 『正誤仮名遣』를 계승하는 자료이기도 하나 일부 한자어는 『正誤仮名遣』와 표기가 다르고 『尚古仮字用格』와 같았다.
      번역하기

      본고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쓰인 단어들을 수록한 『尚古仮字用格』와 『増補正誤仮名遣』의 한자어들을 조사하여 『増補正誤仮名遣』가 『尚古仮字用格』의 내용을 참고하여 제작...

      본고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쓰인 단어들을 수록한 『尚古仮字用格』와 『増補正誤仮名遣』의 한자어들을 조사하여 『増補正誤仮名遣』가 『尚古仮字用格』의 내용을 참고하여 제작되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두 자료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을 국학자 사이에 정착시킨 『古言梯』 이후 간행되었으며 『古言梯』의 이념을 계승하고 있다.
      저자간의 교류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두 자료의 한자어를 조사한 결과, 『尚古仮字用格』의 한자어 대부분이 『増補正誤仮名遣』에도 수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두 자료 모두 (저자가 올바르다고 생각하는)역사적 가나 표기법으로 쓰인 단어들을 수록하여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그 대상이 되는 단어들이 우연히 겹칠 수도 있다.
      하지만 한자어에 쓰인 주석의 기술 방식이 유사하고, 다른 자료에서는 보이지 않는 「けふりよう(華浮綾)」라는 단어를 수록하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増補正誤仮名遣』는 제작 당시 『尚古仮字用格』를 참고했다고 할 수 있다. 「けふりよう(華浮綾)」는 우쓰호 모노가타리에서 유래한 단어로 보이며 우쓰호 모노가타리를 읽은 『尚古仮字用格』의 저자가 독자적으로 만들어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増補正誤仮名遣』는 1788년에 제작된 『正誤仮名遣』를 계승하는 자료이기도 하나 일부 한자어는 『正誤仮名遣』와 표기가 다르고 『尚古仮字用格』와 같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盛田帝子, "近世雅文壇の研究―光格天皇と賀茂季鷹を中心に―" 汲古書院 134-165, 2013

      2 屋名池誠, "近世語研究のパースペクティブ:言語文化をどう捉えるか" 笠間書院 153-181, 2011

      3 沖森卓也, "日本辞書辞典" おうふう 1996

      4 柏谷嘉弘, "日本古典漢語語彙集成, 第一冊 索引篇・第二冊 研究篇 上" 勉誠出版 2015

      5 原田芳起, "平安時代文学語彙の研究 続編" 風間書房 493-506, 1973

      6 安藤菊二, "宇津保物語新論" 古典文庫 409-434, 1958

      7 木枝増一, "仮名遣研究史" 賛精社 177-207, 1933

      8 今野信二, "仮名遣書論攷" 和泉書院 215-275, 2016

      9 佐伯梅友, "仮名遣書目抄" 大東文化大学 31 : 159-187, 1993

      10 河野多麻, "けもんれう(花文綾)カ はなふれうカ―うつほ物語を主として―" 武蔵野女子大学紀要編集委員会野 (14) : 15-22, 1979

      1 盛田帝子, "近世雅文壇の研究―光格天皇と賀茂季鷹を中心に―" 汲古書院 134-165, 2013

      2 屋名池誠, "近世語研究のパースペクティブ:言語文化をどう捉えるか" 笠間書院 153-181, 2011

      3 沖森卓也, "日本辞書辞典" おうふう 1996

      4 柏谷嘉弘, "日本古典漢語語彙集成, 第一冊 索引篇・第二冊 研究篇 上" 勉誠出版 2015

      5 原田芳起, "平安時代文学語彙の研究 続編" 風間書房 493-506, 1973

      6 安藤菊二, "宇津保物語新論" 古典文庫 409-434, 1958

      7 木枝増一, "仮名遣研究史" 賛精社 177-207, 1933

      8 今野信二, "仮名遣書論攷" 和泉書院 215-275, 2016

      9 佐伯梅友, "仮名遣書目抄" 大東文化大学 31 : 159-187, 1993

      10 河野多麻, "けもんれう(花文綾)カ はなふれうカ―うつほ物語を主として―" 武蔵野女子大学紀要編集委員会野 (14) : 15-22,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4 0.72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