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는 의미상 매우 비슷하지만 둘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의 의미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979325
2013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55-190(3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는 의미상 매우 비슷하지만 둘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의 의미 대...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는 의미상 매우 비슷하지만 둘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점이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의 의미 대조를 통해서 양자 간의 단어 대립관계의 대칭성 및 비대칭성을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어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上/下'에 대한 대조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 방법으로는 한국어 사전인『표준국어대사전』,『우리말 큰사전』,『국어대사전』과 중국어 사전인『现代汉语词典』,『中韩大辞典』,『古代汉语词典』에 제시된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를 조사해, 각각 빈도가 높은 순서대로 의미를 수집하여 기본 의미와 확장 의미로 분류하고, 한ㆍ중 양어에서 의미항목과 의미적 대칭성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어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上/下'의 의미 대조를 통한 연구 결과 동사 '오르다'와 동사 '上'의 의미 대조에서는 중국어 '上'이 한국어 '오르다'에 비해 더 다양하게 쓰이고 있었고, 한국어 동사 '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下'의 의미대조 결과에서는 중국어 '下'가 한국어 ‘내리다’에 비해 더 다양하게 쓰이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동사 '上/下'의 의미 대립관계에 대한 대조에서는 동사 '上/下'가 동사 '오르다/내리다'보다 대립관계를 이루는 경우가 조금 더 빈번하게 나오는 것이 차이점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은 한국어 동사 '오르다/내리다'와 중국어 동사 '上/下'의 의미 대조 분석을 통해 양국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연구한 것으로서 한국어나 중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이 두 언어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하고 한국어와 중국어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경화, "현대중국어 '下'의 의미변천과 어법특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2 고재설, "합성어의 내부 구성과 의미 대립 관계: 형태론의 입장에서 본 의미 대립" 국어학회 28 : 187-218, 1996
3 김경신, "합성동사의 대립 관계 연구 : 방향성 동사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문과대학원 2000
4 위혜진, "한일 양언어 이동동사 연구: 상하이동을 「上がる」/[오르다]와 「下りる」/[내리다]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최란희, "중국어 '조' 와 한국어 '잡다' 의 의미대조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정민, "일본어 방향성 이동동사의 의미고찰 : 한국어와의 대조를 통하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1999
7 임지룡,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1997
8 염철, "이동 동사 ‘오르다’와 ‘上’의 의미 기능과 대응관계"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5) : 71-92, 2012
9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10 최혜경, "동사의 의미 확장"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 최경화, "현대중국어 '下'의 의미변천과 어법특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2 고재설, "합성어의 내부 구성과 의미 대립 관계: 형태론의 입장에서 본 의미 대립" 국어학회 28 : 187-218, 1996
3 김경신, "합성동사의 대립 관계 연구 : 방향성 동사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문과대학원 2000
4 위혜진, "한일 양언어 이동동사 연구: 상하이동을 「上がる」/[오르다]와 「下りる」/[내리다]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5 최란희, "중국어 '조' 와 한국어 '잡다' 의 의미대조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6 이정민, "일본어 방향성 이동동사의 의미고찰 : 한국어와의 대조를 통하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1999
7 임지룡, "인지의미론" 탑출판사 1997
8 염철, "이동 동사 ‘오르다’와 ‘上’의 의미 기능과 대응관계" 한국중국어교육학회 (15) : 71-92, 2012
9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10 최혜경, "동사의 의미 확장"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11 劉榮榮, "동사 '오르다', 올리다', 내리다'의 의미와 용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12 임지룡, "국어의미론" 탑출판사 2007
13 이희승,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91
14 이건환, "국어 이동동사의 의미 분석 : ‘가다/오다/오가다’와 ‘오르다/내리다/오르내리다’를 중심으로"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6
15 임지룡, "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체계" 형설출판사 1989
16 이진태, "국어 대립어에 대한 연구" 조선대학교 1991
17 许慎, "说文解字" 上海古籍出版社 2007
18 萧佩宜, "论汉语趋向动词'上' 和'下' 的语法化和语义不对称性" (1) : 51-58, 2009
19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 "现代汉语词典" 商务印书馆 1996
20 孙志雯, "汉英上下运动趋势表达的对比" 화중과기대학교 2007
21 李双梅, "多义动词'上/下' 的范畴化分析" 广西师范大学 2010
22 陈复华, "古代汉语词典 : 大字本" 商务印书馆 2003
23 王祥荣, "动性语素'上', '下'使用的不对称性及制约因素" 3 (3): 84-86, 2001
24 徐英平, "俄汉语'上、下' 空间隐喻对称性考证" (1) : 17-19, 2006
25 高大民族文化研究所中国语大辞典编篡室, "中韩大辞典(辽宁)" 辽宁民族出版社 1995
26 이관식, "中國人 留學生의 特性과 韓國語 學習實態 調査"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39) : 319-343, 2008
27 변영수, "‘오르다’의 의미 확장 연구" 겨레어문학회 39 : 5-40, 2007
28 국립국어연구원, "[단행본]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29 노금송, "'오르다'의 인지의미 분석"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177 : 26-29, 2012
30 蒋宁, "'上/下' 动宾结构对称与不对称现象的考察" 广西师范大学 2007
31 王任瑜, "'上' 字浅析" (11) : 41-, 2010
서사텍스트의 가능세계에 대한 서사공학적 연구 - 소설 서사와 디지털 게임 서사의 수용 과정 비교를 통하여 -
이공계 학습자 글쓰기 개선 방안 - WAC강좌의 기초실험 보고서를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 목적에 따른 비원어민 한국어교사에 대한 인식 비교 -학문 목적 학습자와 이주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6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Soceity of Poetics & Linguistics -> The Society of Poetics & Linguistics | ![]() |
2007-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Poetics & Linguistics -> The Soceity of Poetics & Linguistics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