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사례연구는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자의 내재가치를 충족시키는 사회적·교육적 환경 요소들을 이해하고자기결정성 이론에서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14438
2014
Korean
토요스포츠데이 ; 자기결정이론 ; 사례연구 ; 유능성 ; 자율성 ; 관계성 ; 교사의 자율성 지지 ; Saturday Sports Day ; self-determination theory ; case study ; competence ; autonomy ; relatedness ; teacher’s autonomy support
KCI등재
학술저널
145-159(15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사례연구는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자의 내재가치를 충족시키는 사회적·교육적 환경 요소들을 이해하고자기결정성 이론에서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본 사례연구는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 참여자의 내재가치를 충족시키는 사회적·교육적 환경 요소들을 이해하고자기결정성 이론에서 내재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의 관점에서 재해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지역에 소재하는 중학교 중 토요스포츠데이를 운영하고 있는 2개 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였으며 이중 각 학교에서 축구에 참가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표집하여 총 74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참여관찰, 포커스 그룹, 교사 면담, 현장조사지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Huberman and Miles(1983) 가 제시한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은 유능성 측면에서 학생들의 운동수행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었으며 신체적 자아를 표출하는 장이 되었다. 또, 자유로운 수업분위기와 학생들이 직접 종목과 참여를 선택하였다는 측면이 자율성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토요스포츠데이는 기존의 학교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공식적인 어울림의 장을 제공하여 대인적 여가제약의 해소에 도움이 되고 새로운 인간관계 형성에도 기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토요스포츠데이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참여하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심리욕구를 만족시키고 내적동기를 촉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외적인 압력 없이 자유롭게 활동을 선택하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유능성과 관계성 또한 더욱 촉진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cas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meeting the intrinsic value of the “Saturday Sports Day” program participants. Self-determination theory(SDT) provided theoretical framework to reinterpret ...
This cas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lements of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meeting the intrinsic value of the “Saturday Sports Day” program participants. Self-determination theory(SDT) provided theoretical framework to reinterpret the influence on intrinsic motiv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Seventy-four participants were sampled from two schools in A region and both schools operated soccer program as the Saturday Sports Day.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participant observations, focus group, teacher interviews, and field survey and analyzed using pattern analysis proposed by Huberman and Miles(1983).
Findings revealed that the Saturday Sports Day program was supportive in terms of improved physical performance and physical self from the competence perspective. Also free atmosphere of the program and students’ choice of event and participation supported autonomy. Finally, the Saturday Sports Day provided a new type official interacting place that was helpful to solve interpersonal constraints as well as to build a new relationship.
In conclusion, teachers’ autonomy supportive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was meeting the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and promoting intrinsic motivation further accelerating the competence and relatednes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권, "학습동기의 심리적요인 분석" 350 : 46-49, 1998
2 김수민, "토요 스포츠데이 참여자들의 인식에 대한 탐구" 한국초등체육학회 19 (19): 1-15, 2013
3 주창민, "초등학생의 토요스포츠클럽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최헌혁, "체육수업 상황에서 행동활성화와 억제 척도의 재검증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1 (51): 229-241, 2012
5 박병훈, "체육교육에서 자율성 지지, 심리적 욕구, 자기조절 동기 및 결과변인간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27-149, 2013
6 허정훈, "청소년 토요 스포츠 데이: 참여동기, 참여제약,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33-44, 2013
7 최웅철, "중학생의 토요스포츠데이 참여경험이 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51-166, 2013
8 김신희, "중학생의 토요 스포츠데이 참여가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김나영, "주5일수업제 실시에 따른 초등학생의 토요 Sports Day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47-174, 2013
10 천승현,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심리적 욕구 및 정서참여 간의 관계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4 (14): 35-49, 2012
1 김은권, "학습동기의 심리적요인 분석" 350 : 46-49, 1998
2 김수민, "토요 스포츠데이 참여자들의 인식에 대한 탐구" 한국초등체육학회 19 (19): 1-15, 2013
3 주창민, "초등학생의 토요스포츠클럽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최헌혁, "체육수업 상황에서 행동활성화와 억제 척도의 재검증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1 (51): 229-241, 2012
5 박병훈, "체육교육에서 자율성 지지, 심리적 욕구, 자기조절 동기 및 결과변인간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27-149, 2013
6 허정훈, "청소년 토요 스포츠 데이: 참여동기, 참여제약,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내용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7 (7): 33-44, 2013
7 최웅철, "중학생의 토요스포츠데이 참여경험이 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51-166, 2013
8 김신희, "중학생의 토요 스포츠데이 참여가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9 김나영, "주5일수업제 실시에 따른 초등학생의 토요 Sports Day 참여와 학교생활 만족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47-174, 2013
10 천승현,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심리적 욕구 및 정서참여 간의 관계 검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4 (14): 35-49, 2012
11 김아영, "자기결정성이론과 현장 적용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583-609, 2010
12 최병연, "자기 결정성 학습동기 이론의 교육적 적용" 교육문제연구소 16 (16): 7-184, 2002
13 권민혁, "아동의 운동능력과 또래지위의 관계" 14 (14): 103-122, 2001
14 이혁기, "「토요스포츠데이」의 지각된 놀이성과 행동의도 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2 (52): 369-377, 2013
15 Chase, M. A., "The role of sports as a social status determinant for children" Michigan State University 1991
16 Chandler, T. J. L., "The academic all-American as vaunted adolescent role-identity" 7 (7): 287-293, 1990
17 Deci, E. L., "The 'what'and 'why' of goal pursuits :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11): 227-268, 2000
18 Edmunds, J., "Testing a self-determination theory-based teaching style intervention in the exercise domain" 38 : 375-388, 2008
19 Standage, M., "Students' motivational processes and their relationship to teacher rating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77 : 100-110, 2006
20 Guay, F., "Social context, student’s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toward a process model" 1 : 211-233, 1997
21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55 (55): 68-78, 2000
22 Maxwell, J.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An interactive approach" Sage Publications 2005
23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Sage Publications 2002
24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1998
25 Reynolds, P. L., "Motivational variables and children’s text search" 93 : 14-22, 2001
26 Cordova, D. I.,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process of learnin. Beneficial effects of contetualization, personalization, and choice" 88 : 715-730, 1996
27 Gillet, N., "Influence of coaches' autonomy support on athletes' motivation and sport performance : A test of the 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11 : 155-161, 2010
28 Reeve, J.,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83-203, 2002
29 Krueger, R. A., "Focus groups" Stagepublication 2000
30 Huberman, A. M., "Drawing valid meaning from qualitative data : Some techniques of data reduction and display" 17 (17): 281-339, 1983
31 Miserandino, M., "Children who do well in school :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ived competence and autonomy in aboveaverage children" 88 : 203-214, 1996
32 Yin, R. K., "Case study research:Design and methods" Sage Publications 1989
33 Reeve, J., "Big theories revisited" Information Age Press 31-60, 2004
34 Glesne, C.,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Pearson/Allyn & Bacon 2006
35 Ntoumanis, N., "A prospective study of participation in optional school physical education using a self-determination theory framework" 97 : 444-453, 2005
Exploring the Causes of Burnout for America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인문학적 접근에 의한 체육지도안 개발에서 학습성취에 미치는 요소
창의적 체험활동으로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의 참여만족 및 교육적 효과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8 | 1.78 | 1.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1 | 1.8 | 1.668 | 0.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