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가 현각의 공사상 고찰 -『證道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dea of Emptiness of Yong Jia Xuan Jue(永嘉玄覺) -Oriented with Cheng Tao Ko(證道家)-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eng tao ko(證道家) is a song written by Yong jia xuan jue(永嘉玄覺) that expressed the author’s stage of realization, which leads a practitioner to the invocation of reality of Middle Way[中道] by way of discerning non-duality of Dhar...

      The Cheng tao ko(證道家) is a song written by Yong jia xuan jue(永嘉玄覺) that expressed the author’s stage of realization, which leads a practitioner to the invocation of reality of Middle Way[中道] by way of discerning non-duality of Dharma. The author argues the denial of phenomenon but maintains the invocation of Self Nature[自性] as it comprises all activity and Six practices of Bodhisattva that put emphasis on practicing Middle Way of dependent rising of emptiness which defends her or himself from degenerating to the extreme of false view. The background of the idea of emptiness expressed by Cheng tao ko draws from accepting the conception of impermanence and no-self of early Buddhism that were expanded to the conception of no-self in Madhyamaka, which the idea is based on the idea of emptiness in Perfect Wisdom Sutra and resulted in the background of Three Insights in One Thought(一心三觀) in mo he zhi guan(摩訶止觀) that is composed of Emptiness[空], Virtual Reality[假] and Middle View[中]. It is Huineng(慧能) who is a master in the lineage of Josa Seon[祖師禪] to interpret the emptiness as a practice of Provisional Existence of True Emptiness[眞空妙有] that consists of Freedom from Thought[無念], Impermanence[無常], No-abiding[無住]. The point of emptiness thought in Cheng tao ko is presented likewise as it is said, “the void, phantom body is the Dharma-body”, that is to say, Dharma Body of Vairocana Buddha permanently stays in the state of emptiness regardless of showing Emanation Body, which the emptiness is expressed by Middle Way free from extremes of Existence and Non-Existence. Also the manifestation of the nature of mind comes by way of refraining from Discriminating Thought(揀擇心) and responding to an activation of Middle Way from moment to moment. The thought of emptiness in Cheng tao ko is based on the idea of Buddha Nature that every sentient beings possess the true nature of Buddha expressed by the life of Middle Way to realize the Immediate Emptiness[中道] free from the ignorance of false view and to do acts of charity for sentient being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證道歌』는 영가 현각이 마음을 깨달아 ‘證悟’ 의 경지를 노래한 내용이다. 오직 마음을 선관(禪觀)하는 一法으로 둘 아닌 中道實相을 發顯하도록 설하고 있다. 自性을 발현하면 거기에...

      『證道歌』는 영가 현각이 마음을 깨달아 ‘證悟’ 의 경지를 노래한 내용이다. 오직 마음을 선관(禪觀)하는 一法으로 둘 아닌 中道實相을 發顯하도록 설하고 있다. 自性을 발현하면 거기에 六度萬行이 갖추어져 있으니 根本만을 얻을 뿐 枝末을 취하지 말라고 한다. 이러한 가르침은 양변에 떨어지지 않는 緣起空인 中道의 실천을 강조한 것이다.
      『증도가』에 나타난 空사상의 배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불교에서의 無常과 無我라는 관념을 받아들인 개념이고, 『반야경』의 空사상을 기반으로, 『중론』에서 無我의 개념을 공으로 확장하고, 『마하지관』에서 空·假·中의 一心三觀의 사상이 배경이 된다. 조사선에서 혜능은 공사상을 무념과, 무상, 무주의 진공묘유를 실천한다고 볼 수 있다.
      『증도가』에 나타난 공사상의 핵심은 “환화공신이 즉 법신이로다.” 본 글에서 설명한 바처럼, 비로자나불의 법신은 몸이 바뀌어도 항상 ‘空’과 같은 상태로 영원불멸한 경지를 말하는 것이 같은 것이다. 또한 空을 兩邊에 치우치지 않은 中道로 표현하고 있다. 모든 것에 간택(揀擇 또는 분별) 하는 마음을 내지 않고, 中道 活用法으로 時時刻刻으로 마음을 내야 感應이 되어 마음의 根本이 發顯 된다는 것이다. 『증도가』의 공사상은 우리들이 본래 불성을 갖고 있다는 불성사상에 입각하여 우리들의 전도망상으로 얼룩졌던 번뇌로부터 깨우쳐(공, 돈오) 중생들을 위해 무한한 공덕을 펼쳐나가는 중도의 삶인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담마끼띠,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空사상에 관한연구" 동국대학교 2016

      2 한보광, "중국역대 불교 인명사전" 이화 2011

      3 김호귀, "육조대사법보단경" 한국학술정보 2005

      4 나카무라 하지메, "용수의 중관사상" 여래 2010

      5 성철, "신심명·증도가 강설" 장경각 1993

      6 혜원, "신심명·증도가" 동국역경원 2006

      7 성철, "백일법문 上" 장경각 1993

      8 현장법사, "반야심경" 일빛 2015

      9 한경혜, "동양회화에 나타난 물 표정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10 김창언, "대행의 관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8

      1 담마끼띠,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空사상에 관한연구" 동국대학교 2016

      2 한보광, "중국역대 불교 인명사전" 이화 2011

      3 김호귀, "육조대사법보단경" 한국학술정보 2005

      4 나카무라 하지메, "용수의 중관사상" 여래 2010

      5 성철, "신심명·증도가 강설" 장경각 1993

      6 혜원, "신심명·증도가" 동국역경원 2006

      7 성철, "백일법문 上" 장경각 1993

      8 현장법사, "반야심경" 일빛 2015

      9 한경혜, "동양회화에 나타난 물 표정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10 김창언, "대행의 관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8

      11 이기영, "깨달음의 노래 증도가" 한국불교연구원 1987

      12 한경혜, "경혜의 인연이야기" 작가의 집 2006

      13 이지관, "가산불교대사림 1권" 가산물교문화원 1998

      14 박규리, "馬祖 平常心의 이중적 考察" 불교문화연구원 (58) : 77-100, 2011

      15 제월 통광 현토, "證道歌彦琪註" 불광출판사 2008

      16 이승남, "天台智顗의 中觀思想 硏究" 동국대학교 2008

      17 신현숙, "大乘佛敎와 空사상의 展開" 불교문화연구원 27 : 1990

      18 성엄, "『지혜의 검 증도가 반야심경』 강해" 탐구사 2009

      19 이창안, "『증도가(證道歌)』의 선사상(禪思想) 고찰" 원불교사상연구원 (70) : 209-238, 2016

      20 법륜, "『금강경 이야기』 상, 하" 정토출판 1995

      21 "『雜阿含經』 卷13 『大正藏』 2卷"

      22 "『雜阿含經』 卷12 『大正藏』 2卷"

      23 "『金剛般若波羅蜜經』 卷1 『大正藏』 8"

      24 "『起信論疏記』 卷5 『卍續藏』 45"

      25 "『般若波羅蜜多心經』 『大正藏』 8"

      26 "『永嘉證道歌』 卷1 『大正藏』 48"

      27 "『景德傳燈錄』 卷28 「馬祖章」『大正藏』 51"

      28 "『摩訶止觀』 卷2 『大正藏』 46"

      29 "『大乘起信論』 卷1 『大正藏』 32"

      30 "『大乘義章』 卷10 『大正藏』 44"

      31 "『南宗頓教最上大乘摩訶般若波羅蜜經六祖惠能大師於韶州大梵寺施法壇經』 卷1 『大正藏』 48"

      32 "『六祖大師法寶壇經』 卷1 『大正藏』 48"

      33 "『中阿含經』 卷21 『大正藏』 卷1"

      34 "『中論』 卷4 「24 觀四諦品」 『大正藏』 30"

      35 김성수, "「남명송증도가」의 간행 배경에 관한 분석" 한국서지학회 (47) : 169-198,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3-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3 0.86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