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병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형태별 메뉴의 노출빈도에 관한 연구 - 부산과 서울 지역의 병원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Exposure Frequency to Menus by types of Hospital websites - Focused on hospitals in Busan and Seou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87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대부분의 병원들이 과거와는 달리 의사나 병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의 병원을 추구하며, 사용자에게 좋은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병원에서의 정보서비스는 몸이 불편한 환자나 보호자, 일반 방문객 등 병원을 이용하는 모든 이용자들에게 주어진 정보를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접근하기 좋은 형태로 단순화시켜 정보의 핵심적인 내용을 보다 쉽게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경로가 병원 홈페이지며, 병원 홈페이지는 모든 이용자들에게 병원에 방문하기 이전에 제공되는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홈페이지에서 어떤 내용과 기능으로 구성된 메뉴들을 제공하는지 주메뉴, 빨리가기(바로가기, ICON)메뉴 등의 형태별 메뉴들의 노출빈도를 분석하였다. 그 빈도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위의 각 항목별 분석 결과에서 주메뉴와 바로가기메뉴, ICON메뉴의 세 가지 형태별 분류의 분석결과, 진료안내(진료예약․진료일정/시간표), 둘러보기(이용안내), 전문진료센터, 진료과, 의료진 등의 메뉴들의 노출빈도수가 높으며, 중복 횟수가 많은 항목들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메뉴의 노출빈도수와 중복 횟수에 따른 순위를 토대로 특정한 메뉴의 중요도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으며, 중요도가 높은 메뉴들은 병원 홈페이지 이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메뉴일 것이라고 추측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메뉴들을 바탕으로 작성된 설문을 통해 현재 제공되고 있는 메뉴와 사용자들의 필요에 의한 메뉴들을 비교분석하여, 차후에 병원 홈페이지에 사용자 중심의 메뉴로 제공하거나 오프라인 매뉴얼, 병원 키오스크 메뉴 제작에 기본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번역하기

      현재 대부분의 병원들이 과거와는 달리 의사나 병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의 병원을 추구하며, 사용자에게 좋은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병원에서의 정보서비스는 ...

      현재 대부분의 병원들이 과거와는 달리 의사나 병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의 병원을 추구하며, 사용자에게 좋은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병원에서의 정보서비스는 몸이 불편한 환자나 보호자, 일반 방문객 등 병원을 이용하는 모든 이용자들에게 주어진 정보를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접근하기 좋은 형태로 단순화시켜 정보의 핵심적인 내용을 보다 쉽게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경로가 병원 홈페이지며, 병원 홈페이지는 모든 이용자들에게 병원에 방문하기 이전에 제공되는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 홈페이지에서 어떤 내용과 기능으로 구성된 메뉴들을 제공하는지 주메뉴, 빨리가기(바로가기, ICON)메뉴 등의 형태별 메뉴들의 노출빈도를 분석하였다. 그 빈도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위의 각 항목별 분석 결과에서 주메뉴와 바로가기메뉴, ICON메뉴의 세 가지 형태별 분류의 분석결과, 진료안내(진료예약․진료일정/시간표), 둘러보기(이용안내), 전문진료센터, 진료과, 의료진 등의 메뉴들의 노출빈도수가 높으며, 중복 횟수가 많은 항목들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메뉴의 노출빈도수와 중복 횟수에 따른 순위를 토대로 특정한 메뉴의 중요도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으며, 중요도가 높은 메뉴들은 병원 홈페이지 이용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메뉴일 것이라고 추측된다.

      향후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메뉴들을 바탕으로 작성된 설문을 통해 현재 제공되고 있는 메뉴와 사용자들의 필요에 의한 메뉴들을 비교분석하여, 차후에 병원 홈페이지에 사용자 중심의 메뉴로 제공하거나 오프라인 매뉴얼, 병원 키오스크 메뉴 제작에 기본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성혜, "환자중심적 병원 계획에 관한 연구-종합병원의 병동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0

      2 김경환, "호텔기업의 인터넷 홈페이지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2

      3 "한양대학교병원"

      4 "한서병원"

      5 "침례병원"

      6 김빛나, "치과관련 인터넷 홈페이지의 특성 분석" 연세대학교 2006

      7 전호진, "초등학교 홈페이지 내용분석을 통한 내용구성 방안" 계명대학교 2002

      8 "중앙대학교병원"

      9 정해경, "중소병원의 의료서비스 접점관리와 서비스 성과에 관한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8 (8): 161-187, 2007

      10 "좋은강안병원"

      1 지성혜, "환자중심적 병원 계획에 관한 연구-종합병원의 병동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00

      2 김경환, "호텔기업의 인터넷 홈페이지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2002

      3 "한양대학교병원"

      4 "한서병원"

      5 "침례병원"

      6 김빛나, "치과관련 인터넷 홈페이지의 특성 분석" 연세대학교 2006

      7 전호진, "초등학교 홈페이지 내용분석을 통한 내용구성 방안" 계명대학교 2002

      8 "중앙대학교병원"

      9 정해경, "중소병원의 의료서비스 접점관리와 서비스 성과에 관한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8 (8): 161-187, 2007

      10 "좋은강안병원"

      11 "이화여대병원"

      12 김수배, "의료서비스에서 유형별 대기시간의 선행 및 결과변수" 한국병원경영학회 12 (12): 69-92, 2007

      13 "위생병원"

      14 민혜진, "외래환자의 병원선택기준에 관한 연구-서울시내 H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건양대 2005

      15 "영도병원"

      16 "아주대학교병원"

      17 "세브란스병원"

      18 "서울아산병원"

      19 "서울대학교병원"

      20 "삼성서울병원"

      21 "부산의료원"

      22 "부산성모병원"

      23 "부산백병원"

      24 "부산대학교병원"

      25 "부민병원"

      26 "봉생병원"

      27 김병익, "병원정보시스템 도입에 따른 조직변화와 의료의 질 향상 연구" 보건복지부 2000

      28 권은하, "병원정보시스템 관리상의 주요 이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6

      29 "메리놀병원"

      30 "동아대학교 의료원"

      31 나원정, "대학병원 홈페이지 디자인 연구" 계명대학교 2002

      32 "대동병원"

      33 "광혜병원"

      34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35 "고려대학교안암병원"

      36 "경희대학교병원"

      37 "건국대학교병원"

      38 "강남성모병원"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