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가스포츠 노인참여자의 생활양식과 건강증진행동 및 웰니스의 관계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Lifestyl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Wellness of Elderly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58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promoting elderly welfare,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lifestyl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wellness of elderly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in order to improv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of elderly people as well as to help provide them with mental and emotional stability. With 397 people of elderly participants,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using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wellnes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wellnes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wellnes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 there are significantly causal relationships among lifestyl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wellness. Consequently, for the sake of elevating the level of wellness of elderly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a positive lifestyle need to be established, and instructors in leisure sports should make constant efforts to boost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promoting elderly welfare,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lifestyl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wellness of elderly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in order to improve health and phy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promoting elderly welfare,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lifestyl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wellness of elderly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in order to improv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of elderly people as well as to help provide them with mental and emotional stability. With 397 people of elderly participants,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using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wellnes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wellnes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wellnes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 there are significantly causal relationships among lifestyl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wellness. Consequently, for the sake of elevating the level of wellness of elderly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a positive lifestyle need to be established, and instructors in leisure sports should make constant efforts to boost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국, "한국인의 웰니스에 대한 생활양식 측정도구개발" 9 (9): 963-982, 2000

      2 이동호, "한국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옥태, "청주시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16) : 1-14, 2002

      4 송은주, "중년여성의 여가활동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83-100, 2001

      5 서연옥,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4

      6 김선희,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7 유선정, "일부 병원 간호사들의 건강증진행위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8 김영미, "운동프로그램 참가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동,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33-46, 2008

      9 오진숙, "요가참가와 영성능력 및 웰니스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6 (46): 269-281, 2007

      10 최혜진, "여자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체력에 관한 종단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 김상국, "한국인의 웰니스에 대한 생활양식 측정도구개발" 9 (9): 963-982, 2000

      2 이동호, "한국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옥태, "청주시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16) : 1-14, 2002

      4 송은주, "중년여성의 여가활동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83-100, 2001

      5 서연옥,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에 관한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4

      6 김선희,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7 유선정, "일부 병원 간호사들의 건강증진행위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8 김영미, "운동프로그램 참가자의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동, 우울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33-46, 2008

      9 오진숙, "요가참가와 영성능력 및 웰니스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6 (46): 269-281, 2007

      10 최혜진, "여자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체력에 관한 종단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1 박영숙, "여자 대학생의 여가활동, 여가태도 및 여가만족간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25) : 635-644, 2005

      12 박유진, "여가경험과 여가정체성 현출성이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3 이광욱, "생활체육참가정도와 Wellness지수 및 생활만족의 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4

      14 이승희, "생활체육 참가자의 체중조절행동과 웰니스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9 (19): 41-54, 2010

      15 이강우, "생활체육 노인참가자의 참가동기와 건강지각, 여가유능감 및 삶의 질에 대한 인과모형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19 (19): 211-224, 2010

      16 정은경, "병원근로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0

      17 김명주, "무용전공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12) : 199-209, 2005

      18 김홍록, "대학생의 여가활동 참여유형과 웰니스 지수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3 (33): 85-94, 2009

      19 나항진, "노인학교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여가생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20 김경식,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과 무력감,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 17 (17): 17-31, 2004

      21 한혜원, "노인의 여가 스포츠 참여유형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44 (44): 713-725, 2005

      22 조은주, "노인여가활동과 라이프스타일 및 삶의 질의 관계"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2009

      23 김종표, "고령자의 여가스포츠 참가유형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38 (38): 887-903, 1999

      24 정영미,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행위, 지각된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 14 (14): 327-336, 2002

      25 Walker, S. N.,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36 (36): 76-81, 1987

      26 Iso-Ahola, S. E., "The Social Psychology of and Recreation"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1980

      27 Walker, S. N.,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Ⅱ.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Omaha 1995

      28 Dunn, N. J., "The Effects of a Leisure Education Program on Leisure Particip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wo Older Women who are Home Centered" 31 (31): 53-71, 1997

      29 Searle, M. S., "The Effect of Leisure Education on Selected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A three Month Follow-up Study" 27 (27): 9-21, 1993

      30 Anderson, T. W., "Life Style and Psychogaphics: A Critical Review and Recommendation" 11 : 405-, 1984

      31 Leitner, M. J., "Leisure in Later Life" Haworth Press 1996

      32 O'Donnell, M. P,, "Health Promotion in Theworkplacem 2nd Edition" Delmar Publisher Inc 1994

      33 Abbey,J.R, "Does Life Style Profiling Work?" 12 (12): 8-14, 1979

      34 McCarthy.N.E, "Basic Marketing. 5th, ed" Irwin 1981

      35 문화체육관광부, "2008체육백서" 삼한기획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