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에 따른 장신경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3개월 된 Sprague-Dawley계 성숙흰쥐 (300~350 gm)와 24개월 된 노 화흰쥐 (500~550 gm) 소장의 근육층신경얼기와 점막밑신경얼기를 NADH-TR 염색을 하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60319
2001
-
노화 ; 근육층신경얼기 ; 점막밑신경얼기 ; 형태계측 ; 미세구조 ; Aging ; Myenteric plexus ; Submucous plexus ; Morphometry ; Ultrastructure
510
KCI등재후보,ESCI
학술저널
181-191(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노화에 따른 장신경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3개월 된 Sprague-Dawley계 성숙흰쥐 (300~350 gm)와 24개월 된 노 화흰쥐 (500~550 gm) 소장의 근육층신경얼기와 점막밑신경얼기를 NADH-TR 염색을 하여 ...
노화에 따른 장신경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3개월 된 Sprague-Dawley계 성숙흰쥐 (300~350 gm)와 24개월 된 노
화흰쥐 (500~550 gm) 소장의 근육층신경얼기와 점막밑신경얼기를 NADH-TR 염색을 하여 형태계측학적 조사를 하였다.
신경세포 형태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신경얼기에 존재하는 신경세포를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세포의
모양이 둥글고 크며 세포질이 핵에 비해 많은 세포를 1형, 세포의 모양이 방추형인 세포를 2형, 세포의 모양이 둥글고 작으며 세포질의 양이 매우 적어 핵이 세포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세포를 3형으로 분류하여 계수하였다. 신경세포의 수와 면적은 VIDAS 영상분석기 (Carl Zeiss, Co., Ltd.)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또한 노화흰쥐의 장신경계 미세구조의 변화를 JEM-1200 EXII (JEOL Co., Ltd.)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숙흰쥐의 근육층신경얼기와 점막밑신경얼기에서 내재성신경인 3형 신경세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신경분포밀
도(단위면적당 신경세포의 총수)는 근육층신경얼기에서 보다 점막밑신경얼기에서 더 높았다.
2. 노화흰쥐에서 주로 1형과 2형 신경세포가 소실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두 신경얼기에서 동일하였다.
3. 노화흰쥐에서 신경세포의 면적은 모든 유형의 신경세포에서 증가하였으며 면적변화 양상도 두 신경얼기에서 동일하
였다.
4. 노화흰쥐의 장신경세포에서 관찰한 미세구조의 변화로는 세포질 내에 리포푸신과립의 증가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다
른 세포소기관의 변성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노화로 인한 장신경계에서의 신경세포의 소실은 주로 자율신경에서 기원한 1형과 2형 신경세포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신경세포는 노화에 따라 세포질 내에 리포푸신과립이 증가할 뿐 다른 세포소기관은 변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rphometric and ultrastructural change in the adult and aged rat small intestine. The myenteric and submucous plexuses were stained by NADH-TR in the ileum of adult Sprague-Dawley rats (3 mo., 300~350 gm) 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rphometric and ultrastructural change in the adult and aged rat small intestine. The myenteric and submucous plexuses were stained by NADH-TR in the ileum of adult Sprague-Dawley rats (3 mo., 300~350 gm) and aged rats (24 mo., 500~550 gm). The neurons of myenteric and sumucous plexus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their cell body morphology. Type 1 cells were polygonal or round with abundant cytoplasm. Type 2 cells were spindle shaped and type 3 cells were small and round with scanty cytoplasm. The nerve cell numbers and sizes were measured using an image analyzer (VIDAS, Carl Zeiss, Co., Ltd.). Ultrastructural changes were observed by JEM-1200 EXII (JEOL Co., Ltd.)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ed:
1. In adult rats, majority of neuron population were type 3 and neuron density (total numbers/1 μm2) was more higher in submucous plexus than in the myenteric plexus.
2. Statistically significant loss of type 1 and type 2 neurons were in myenteric and submucous plexus of aged rat small intestine.
3. All types of neuron sizes were increased in aged myenteric and submucous plexuses.
4. Lipofusin granules were prominent in the cytoplasm of aged rat. Cell organelles were not shown degenerative
cha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ype 1 and type 2 nerve cells which is originated from autonomic nerves were lost in aged rat small intestine. Ultrastructurally lipofusin granules were prominent in the cytoplasm of aged rat and the cell organelles were not degenerated.
Methyl gallate의 세포독성과 항암활성에 관한 연구
한국산 애생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e)의 대뇌피질과 줄무늬체에서 Neuropeptide Y 면역반응신경세포의 분포
토끼에서 탈회골편과 골편 이식에 의한 골 결손부 재생에 관한 비교 연구
흰쥐에서 WGA-HRP와 Pseudorabies virus를 이용한 부고환의 신경로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