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 지자체 등 공공부문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22900
2021
-
350
KCI등재
학술저널
247-274(2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 지자체 등 공공부문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
현재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 지자체 등 공공부문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공공부문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부문의 빅데이터 활용사례를 분석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공공부문에서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빅데이터 전담조직 신설 및 운영, 빅데이터 관련 조례 제개정, 빅데이터 전문인력 확보, 빅데이터 전문기관과의 협력 등이 성공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성공요인을 기반으로 빅데이터 활용정책을 추진할 경우, 복잡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빅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빅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Recently, the public sector lik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utilize the 4th industria...
Currently, the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s increasing. Recently, the public sector lik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utiliz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Especially, in case of big data, the policies could be carried out based on data, so it could be usefully utilized in the public sector.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factors of success by analyzing the cases of utilizing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and also to present the policy measures for actively utilizing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stablishment/operation of organization in charge of big data, enactment/revision of ordinances related to big data, securement of manpower specialized in big data, and cooperation with big data institutions were drawn as the factors of success. In case when carrying out the big data utilization policies based on the drawn factors of success, it would be helpful for solving such complex social problems, and also draw new values by utilizing big data in various areas. As the policy-leve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the basic environment for utilizing big data, and also to establish the cooperation system for the continuous utilization of big dat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귀희, "행정서비스에서 빅데이터 활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데이터 품질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7 (17): 235-257, 2017
2 임후철, "한국군 무기체계 개발 사례분석을 통한 기술혁신 영향요인 연구 - 한국형 소총, 다련장, 전차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5 (35): 23-47, 2019
3 "통계청 홈페이지"
4 "코로나19에도 제주관광 증가, KT빅데이터 공개"
5 "코로나19 피해 빅데이터 찾은 관광"
6 제주연구원, "코로나19 제주경제 영향분석 및 재난지원금 효과분석" 2020
7 서정아,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8 이지연, "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청소년 진로교육의 방향" 65-96, 2017
9 "질본관리청 홈페이지"
10 고선영, "지역관광 빅데이터 정책성과와 과제 -제주특별자치도를 사례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579-586, 2021
1 박귀희, "행정서비스에서 빅데이터 활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데이터 품질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7 (17): 235-257, 2017
2 임후철, "한국군 무기체계 개발 사례분석을 통한 기술혁신 영향요인 연구 - 한국형 소총, 다련장, 전차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5 (35): 23-47, 2019
3 "통계청 홈페이지"
4 "코로나19에도 제주관광 증가, KT빅데이터 공개"
5 "코로나19 피해 빅데이터 찾은 관광"
6 제주연구원, "코로나19 제주경제 영향분석 및 재난지원금 효과분석" 2020
7 서정아, "청소년 빅데이터 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8 이지연, "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청소년 진로교육의 방향" 65-96, 2017
9 "질본관리청 홈페이지"
10 고선영, "지역관광 빅데이터 정책성과와 과제 -제주특별자치도를 사례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579-586, 2021
11 최승범,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의 활용트렌드와 활성화 조건에 대한 연구" 국제개발연구소 6 (6): 177-205, 2016
12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업 추진 현황" 한국지역정보개발원 5 (5): 1-18, 2018
13 서재호,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데이터기반 행정 영향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자치구 공무원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3 (23): 445-464, 2020
14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15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16 "제주특별자치도 관광협회 홈페이지"
1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빅데이터 기반의 정보제공으로 가짜뉴스 차단"
18 이선영,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3 (23): 231-260, 2017
19 김진하,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 방안 모색" 45-58, 2017
20 Schwab, Klaus,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21 안문석, "정부3.0지원을 위한 빅데이터 융합전략" 6 (6): 6-13, 2013
22 오병기, "우리나라 지역별 4차 산업혁명 대응지수 격차에 관한 분석과 거시정책적 시사점" 한국산업경제학회 31 (31): 275-292, 2018
23 정지선, "신 가치창출 엔진. 빅데이터의 새로운 가능성과 대응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18 : 1-30, 2011
24 장혜정, "시민 니즈와 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문제해결을 위한빅 데이터 활용 절차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13 (13): 102-112, 2020
25 김현곤, "스마트국가 구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방안" 6 (6): 14-31, 2013
26 윤선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증세 태도와 사회문제 해결 조직에 대한 투자의 결정요인"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2 (22): 237-258, 2020
27 범지인, "빅데이터(Big Data)활용 사례와 시사점" 농협경제연구소 2013
28 제주특별자치도, "빅데이터 통합관리로 코로나19 관광위기 극복"
29 고수정, "빅데이터 군집 분석을 이용한 학습성취도 예측 - 종단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19 (19): 1769-1778, 2018
30 "데이터3법 통과, 데이터기반혁신의마중물부었다. 2020. 2. 10"
31 김유심, "데이터 기반 정책수립 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32 "데이터 3법 통과, 그래서 뭐가 바뀌는데. 2020. 1. 10"
33 송인방, "데이터 3법 개정 시행에 따른 창업 환경의 변화" 한국법학회 20 (20): 331-358, 2020
34 "대통령직속4차산업혁명위원회"
35 신동희, "국내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77-392, 2015
36 한국IDC, "국내 빅데이터 및 분석 2019-2023 시장 전망" 2020
37 Yunhe Pan, "Urban big data and the development of city intelligence" 2 (2): 171-178, 2016
38 Schwab, Klau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cy 2017
39 WEF,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0 "Industry 4.0,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and use of exponential technologies"
41 Lu, Y, "Industry 4.0 : A survey on technologies, applications and open research issues" 6 : 1-10, 2017
42 임상빈, "ICT 기술변화에 따른 데이터 3법 개정과 지방세 정보화 및 납세편의 제도 발전 과제" 49 : 52-68, 2020
43 Clarke, A., "Governments and citizens getting to know each other? Open, Closed, and Big Data in public management reform" 6 (6): 393-417, 2014
44 Gartner, "Gartner IT Glossary"
45 Janssen, M., "Factors influencing big data decision-making quality" 70 : 338-345, 2016
46 Sanderson, I, "Evaluation, Policy Learning and Evidence-Based Policy Making" 80 (80): 1-22, 2002
47 Statista, "Big data market size revenue forecast worldwide from 2011 to 2027(in billion U.S. dollars)"
48 Klievink, B., "Big data in the public sector : Uncertainties and readiness" 19 (19): 267-283, 2017
49 Thakuriah, P., "Big data and urban Informatics : innovations and challenges to urban planning and knowledge discovery" Springer 11-45, 2016
50 Joseph, R. C, "Big data and Transformational government" 15 (15): 43-48, 2013
51 Chen. M., "Big Data : A Survey" 19 (19): 171-209, 2014
52 김태일, "4차산업혁명을대비하는교육정책" 3-27, 2017
53 장철순, "4차산업혁명시대의 신산업입지정책연구" 국토연구원 31-35, 2017
54 김태경,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 도시발전방향에 관한연구" 경기연구원 1-92, 2017
55 구철모, "4차 산업혁명과 스마트관광" 65 : 65-72, 2016
56 이은민, "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의 변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8 (28): 1-22, 2016
57 백승수,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51, 2017
58 제주특별자치도, "2021 제주특별자치도 빅데이터 시행계획" 2021
59 한국지역정보개발원, "2020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 분석 사례집" 2021
60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2020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2021
61 장필성, "2016 다보스 포럼 :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리의 전략은?" 26 (26): 14-, 2016
62 Deloitte, "2016 Global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Index"
지방의회 정책지원인력의 효율적 운영방안 : 경상남도의회를 중심으로
지방의회 의원들의 쪽지예산에 관한 연구 : 서울시의회 지방교육예산 심의과정을 중심으로
국방과학기술정책의 정책결정요인 분석과 정책 편향성에 관한 연구 : 과학기술인력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2 | 0.36 | 0.64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