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참여예산제는 2004년 이후 참여민주적 재정통제장치로서 지방자치단체에 도입되어 2014년 현재 2개의 기초지자체를 제외한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되고 있다. 주민참여예산제가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981899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5-201(27쪽)
1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주민참여예산제는 2004년 이후 참여민주적 재정통제장치로서 지방자치단체에 도입되어 2014년 현재 2개의 기초지자체를 제외한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되고 있다. 주민참여예산제가 정...
주민참여예산제는 2004년 이후 참여민주적 재정통제장치로서 지방자치단체에 도입되어 2014년 현재 2개의 기초지자체를 제외한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시행되고 있다. 주민참여예산제가 정착됨에 따라 본 논문은 주민참여예산제가 지방재정 건전성 통제장치로서 유효한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선심성 및 전시성 예산을 재정건전성의 대리변수로 선택하여 종속변수로 하였고, 독립변수는 주민참여예산제 도입여부로 하였다. 또한 모형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하여 재정자립도, 지방자치단체장 소속정당, 지방선거 투표율, 65세 이상 노령인구비율, 도시지역 여부를 통제변수로서 모형에 포함하였고, 이들 변수들에 대한 2004년에서 2012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여 통합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주민참여예산제의 도입은 주민 1인당 절대액으로 정의한 지방자치단체의 선심성 및 전시성예산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통제변수를 추가․제거하면서 분석한 다수의 모형들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모형에 따라일부 통제변수의 계숫값(β)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지만, 모든 모형에서 일관되게주민참여예산제는 선심성 및 전시성 예산의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주민참여예산제가 선심성 및 전시성 예산의 통제장치로서 작용하고 있다고 평가하기어렵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hereinafter the “PB”) is a kind of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that the residents decide how much public resource is allocated to the part of government budget. Since its first debut in Korea by th...
The Citizen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hereinafter the “PB”) is a kind of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that the residents decide how much public resource is allocated to the part of government budget. Since its first debut in Korea by the district government of Buk-Gu, Gwangju, all of local municipal governments except for the two in Korea, as of 2014, have established ordinances pertinent to the PB.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whether the PB can effects soundness of the local government finance, especially control of pork-barrelling & window-dressing budget expenditure. The analysis method is multi-regression analysis with panel data of fiscal year 2004-2012. And in models of this study there are one independent variable and five control ones which fall into the categories of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Factor, Economic and Financial Factor and Social and Cultural Factor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s the analysis results, the PB a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ugmenting the size of the pork-barrelling & window-dressing budget and so do not play a role as a fiscal control device of pork-barrelling & window-dressing budget.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실태분석: 광주시 북구청과 울산시 동구청 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5 (5): 131-167, 2006
2 김철, "표준조례제도의 법정책학적 분석: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조례 표준안을 중심으로" 2008 (2008): 115-139, 2008
3 하승우, "참여예산제와 민주주의: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 사례의 한국에 대한경험적 함의"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 (2): 113-134, 2006
4 이음 참여예산팀, "참여예산 제도가 아니라 주민이다" 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2008
5 안성민, "참여민주주의의 한 형태로서의 참여예산제도 검토: 5개자치구를 중심으로" 2009 (2009): 1-16, 2009
6 김종순, "지방화시대의 지방재정정책: 지방재정지출 효율화를 위한 지방행정체계의 개편방안" 10 (10): 3047-3069, 1995
7 고성철, "지방재정조정제도 운영현황에 대한 분석- 기초지방자치단체 예산의 자주성과 건전성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7 (17): 119-152, 2003
8 이재원, "지방재정의 책임성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2012 (2012): 1-27, 2012
9 행정안전부, "지방재정위기 사전예방 등 지방재정 건전성 강화" 183 (183): 136-136, 2011
10 김배원, "지방재정운영과 주민참가제도 - 지방재정정보공개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7 (7): 119-132, 2006
1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실태분석: 광주시 북구청과 울산시 동구청 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5 (5): 131-167, 2006
2 김철, "표준조례제도의 법정책학적 분석: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조례 표준안을 중심으로" 2008 (2008): 115-139, 2008
3 하승우, "참여예산제와 민주주의: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 사례의 한국에 대한경험적 함의"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 (2): 113-134, 2006
4 이음 참여예산팀, "참여예산 제도가 아니라 주민이다" 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2008
5 안성민, "참여민주주의의 한 형태로서의 참여예산제도 검토: 5개자치구를 중심으로" 2009 (2009): 1-16, 2009
6 김종순, "지방화시대의 지방재정정책: 지방재정지출 효율화를 위한 지방행정체계의 개편방안" 10 (10): 3047-3069, 1995
7 고성철, "지방재정조정제도 운영현황에 대한 분석- 기초지방자치단체 예산의 자주성과 건전성 측면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7 (17): 119-152, 2003
8 이재원, "지방재정의 책임성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2012 (2012): 1-27, 2012
9 행정안전부, "지방재정위기 사전예방 등 지방재정 건전성 강화" 183 (183): 136-136, 2011
10 김배원, "지방재정운영과 주민참가제도 - 지방재정정보공개제도와 주민참여예산제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7 (7): 119-132, 2006
11 "지방재정법(법률 제11900호)"
12 "지방재정법(법률 제10439호)"
13 "지방재정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5532호)"
14 정성호, "지방재정 위기와 로컬 거버넌스의 역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3-36, 2011
15 임성일, "지방재정 운영의 재정 책임성 제고방안" 2012 (2012): 8-33, 2012
16 조기현, "지방재정 건전성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민간이전경비를 중심으로" 2012 (2012): 3-32, 2011
17 최영수, "지방재정 건전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18 정하용, "지방자치시대의 지역사회개발과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1-30, 2007
19 이상용, "지방자치단체의 선심성・전시성 예산의 통제방안" 26 (26): 17-34, 2010
20 "지방자치단체예산편성운영기준(행정안전부훈령 제129호)"
21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기본현황" 2011
22 안전행정부, "지방자치단체기본현황" 2014
23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기본현황" 2005
24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기본현황"
25 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단체 민간이전경비의 실태와 정책대응" 25 (25): 1-26, 2008
26 현승현, "지방교부세 법정세율의 변화에 따른 재정지출효과와 건전성 분석" 2010 (2010): 1-16, 2006
2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8 안완기, "주민참여예산제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정보학회 10 (10): 257-278, 2007
29 진경아, "주민참여예산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참여예산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5
30 행정자치부, "주민참여예산제운영조례표준안"
31 나중식,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모형에 관한 비교연구 - 브라질, 미국,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133-158, 2005
32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기본모형과 운영시스템 설계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10 (10): 247-276, 2005
33 김겸훈, "주민참여예산제도에 관한 인식차이" 한국콘텐츠학회 9 (9): 289-300, 2009
34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 어떻게 도입할 것인가?" 2003
35 이순향, "주민참여예산제도 도입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지출규모와 구성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3 (23): 319-341, 2011
36 이순향, "주민참여예산제가 지방정부의 세출예산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37 진경아, "주민참여예산제 들춰보기:포르뚜알레그리와 한국의 참여예산제 자료집" 풀뿌리 자치연구소 이음 2007
38 하승우, "주민참여예산제 들춰보기: 포르뚜알레그리와 한국의 참여예산제 자료집" 풀뿌리 자치연구소 이음 2007
39 안성민, "주민참여 예산제도: 포르투 알레그레시의 사례" 한국지방재정공제회 2005 (2005): 139-148, 2005
40 김경호, "재정운영의 회계 책임성 제고방안" 2012 (2012): 34-49, 2012
41 정재진, "재정분권이 지방재정 건전성에 미친 영향" 정부학연구소 17 (17): 289-325, 2011
42 정재진, "재정분권이 지방재정 건전성과 효율성에 미친 영향 분석" 2009 (2009): 1-22, 2009
43 "재정고"
44 김도희, "울산지역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의 성과와 한계:주민참여예산제와 주민배심원제의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5 (15): 131-158, 2006
45 전주상, "예산과정상의 주민참여제도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국내외 사례 비교분석" 한국정당학회 7 (7): 189-216, 2008
46 김철, "시민참여 예산제도의 도입 필요성 연구" 275-306, 2003
47 통계청, "시군구별 주민등록인구"
48 안성민, "성공적인 거버넌스로서의 주민참여예산제" 한국행정학회 2006 (2006): 281-295, 2006
49 강태구, "사회단체보조금 지원 법제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정책학회 7 (7): 433-459, 2007
50 조민경, "비영리민간단체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지원대상 선정기준" 대한정치학회 15 (15): 195-218, 2007
51 나중식, "브라질 알레그레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 성공요인과 한계 -" 한국정부학회 16 (16): 457-482, 2004
52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53 권경환, "기초단체장 재선이 자치단체 세출예산 지출패턴에 미친 영향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291-308, 2005
54 곽채기, "광주광역시 북구의 주민참여예산 제도화 과정과 운영 성과"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175-211, 2007
55 안전행정부, "2014년도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 개요" 안전행정부 2014
56 안전행정부, "2012년 지방재정분석" 2013
57 행정안전부, "2009년도 지방자치단체 예산편성 운영기준 및 기금운용계획 수립기준"
58 행정자치부, "2008년도지방자치단체예산편성기준"
영국과 프랑스의 사회서비스 제도변화 비교 분석: 돌봄서비스의 지방재정과 품질관리를 중심으로
담배관련 제세공과금제도에서 지방세 비중 강화를 위한 담배소비세의 개편과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4-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 Journal of Local Finance -> The Korea Journal of Local Public Financ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2 | 1.22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3 | 1.01 | 1.479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