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승공예를 이용한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위치한 ○○복지관을 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90976
2016
Korean
학술저널
25-43(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승공예를 이용한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위치한 ○○복지관을 이...
본 연구는 지승공예를 이용한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위치한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표현한 독거노인 18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한국판 노인 우울검사(GDS-K)와 노인 생활 만족도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원 개인별 행동 변화를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감소 및 삶의 만족도와 관련된 회기별 진행 과정과 집단의 역동, 집단원 개인의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우울 감소와 삶의 만족도 향상을 돕는 효과적인 미술치료 기법으로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노인복지 임상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effects of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using Ji-seung Craft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tudy subjects were 18 elderly living alone using a community welfare center located i...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effects of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using Ji-seung Craft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study subjects were 18 elderly living alone using a community welfare center located in Y city, Gyeonggi-do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is study, GDS-K and Life Satisfaction Scale for Elderly were utiliz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Changes in individual behavior was also analyzed qualitatively, dividing the program into the initial stage, the middle stage, and the final stag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has meaningful effec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econd,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ird,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showed positive effects on group behavior and individual behavior of study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has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craft-centered group art therapy on decreasing depression and improving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s expected to provide basis for clinical settings of welfare for the elderly.
목차 (Table of Contents)
문제행동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통제촉진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성향 성인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