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구지역 여성폭력 실태를 분석하고 여성안정 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의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폭력의 전반적인 실태와 지역의 여성안전정책 인지정도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78926
2020
-
360
학술저널
1-27(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구지역 여성폭력 실태를 분석하고 여성안정 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의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폭력의 전반적인 실태와 지역의 여성안전정책 인지정도를 ...
이 연구는 대구지역 여성폭력 실태를 분석하고 여성안정 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지역의 여성을 대상으로 여성폭력의 전반적인 실태와 지역의 여성안전정책 인지정도를 파악하고. 대구시의 여성정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대구여성들이 요구하는 안전사업을 토대로 여성안전 정책을 제안하였다. 연구수행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 및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여성폭력 피해 실태조사 결과 양적으로 여성들의 피해가 많은 부분은 바바리맨 접촉,대중교통 중의 불쾌한 신체접촉 등이었다. 둘째 대구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여성안전 사업 중 중요사업으로 성폭력.가정폭력 예방 캠페인,여성긴급전화 1366 등 피해자 상담지원,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조성 사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여성들은 여성폭력 근절을 위해 필요정책으로 성희롱,성폭력,가정폭력, 성매매 등 기존 피해 지원 강화 및 종합적인 여성 안전 정책의 마련과 정책 홍보,불법촬영 등 디지털 성범죄 피해에 대한 지원등으로 나타났다.
대구지역 여성들이 여성폭력으로부터 안심하고 살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여성안전정책의 방향은 여성들이 가질 수 있는 두려움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방향에서 여성들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콘텐츠를 다양화하면서 종합적이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리고 여성들이 여성폭력 대응에 있어 필요한 정보 교육,대응방법,안전체험,유관기관과의 소통 등이 한 곳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종합적인 「여성안전 테마공간」의 조성하도록 하며 여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지원 강화을 정책으로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주택 유형에 따른 사회 경제적 계층, 범죄, 두려움, 무질서, 유대, 신뢰, 애착, 집합효율성, 그리고 안전의 차이 분석
다문화가족 자녀의 진로지원 방안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