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현욱,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협력 및 학교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원 31 (31): 87-105, 2015
2 박영예, "초등영어 교사의 피드백의 유형과 특징 분석" 현대영어교육학회 16 (16): 153-173, 2015
3 임태민, "초등수학 수업에서의 피드백 유형 및 학생의 반응" 초등교육연구원 20 (20): 37-54, 2009
4 김승현, "초등 예비 교사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화법학회 (25) : 41-73, 2014
5 조은영, "중학교 태양계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실담화 사례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9 (39): 113-131, 2015
6 윤권기,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원 26 (26): 1-19, 2010
7 김승호, "수업의 근본구조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93-214, 2007
8 전희옥, "사회과 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 개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1 (21): 51-70, 2014
9 문정애, "사토 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와 행복교육 탐구" 한국일본교육학회 16 (16): 31-48, 2011
10 김성종, "교사의 수업 성찰 지원도구로서 태블릿의 가능성 탐색" 교육연구원 31 (31): 55-75, 2015
1 김현욱,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협력 및 학교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원 31 (31): 87-105, 2015
2 박영예, "초등영어 교사의 피드백의 유형과 특징 분석" 현대영어교육학회 16 (16): 153-173, 2015
3 임태민, "초등수학 수업에서의 피드백 유형 및 학생의 반응" 초등교육연구원 20 (20): 37-54, 2009
4 김승현, "초등 예비 교사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한국화법학회 (25) : 41-73, 2014
5 조은영, "중학교 태양계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실담화 사례분석" 과학교육연구소 39 (39): 113-131, 2015
6 윤권기, "시뮬레이션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른 교사의 피드백 제공 시기가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원 26 (26): 1-19, 2010
7 김승호, "수업의 근본구조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93-214, 2007
8 전희옥, "사회과 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 개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1 (21): 51-70, 2014
9 문정애, "사토 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와 행복교육 탐구" 한국일본교육학회 16 (16): 31-48, 2011
10 김성종, "교사의 수업 성찰 지원도구로서 태블릿의 가능성 탐색" 교육연구원 31 (31): 55-75, 2015
11 이석희,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논의 과정 요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6 (26): 76-86, 2007
12 임혜진, "과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논증 특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 (31): 13-24, 2012
13 김민정, "‘연구공동체’ 교사의 ‘배움의 공동체’ 역사 수업 연구: 지향과 실제" 한국역사교육학회 (25) : 7-48, 2016
14 손우정, "‘배움의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수업개혁에 관한 연구-일본 ‘하마노고(浜之鄕) 소학교’의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42 (42): 375-396, 2004
15 Noh, E., "Threshold requirement and type of repetitive expression in conversation" 4 (4): 101-122, 1997
16 Scott, P. H., "The tension between authoritative and dialogic discourse :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meaning making interactions in high school science lessons" 90 (90): 605-631, 2006
17 Landis, J. R.,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33 (33): 159-174, 1977
18 Lemke, J. L.,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5-17, 1990
19 Mortimer, E. F.,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 Open University Press 2003
20 Osborne, J.,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41 (41): 994-1020, 2004
21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Educational psychology glossary" Hakjisa 2000
22 Chin, C., "Classroom interaction in science : Teacher qustioning and feedback to students’ response" 28 (28): 1315-1346, 2006
23 Kim, Y., "Analysis of feedback patterns b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primary schools" 3 : 99-108, 1997
24 Lee, C. D., "A study on the ways of teacher’s question and feedback in the classroom" 15 : 177-216, 2008
25 Kim, Y. D., "A path analysis of learner’s variables affecting on scientific argument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1 (21): 1-1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