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서관 주간 표어의 내용 및 구조 분석 = Analysis of Content and Structure of Library Week Slog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5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서관 주간은 1964년에 설정된 이래 2020년까지 56년 동안 이어지면서 도서관 분야의 가장 크고 중요한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한국도서관협회는 도서관 주간 홍보에 활용하기 위한 표어를 공모 및 선정하여 포스터 제작 등에 활용하는데, 본 연구는 그 내용과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브랜딩 전략 차원에서 보다 효율적인 표어를 개발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도서관 주간 공식 표어로 선정된 116개의 내용을 박영준(2001)이 제안한 언어적 기법과 핵심 단어에 따라 분석했는데, 그 결과 '한글 문자'로만 이루어진 것이 103개(88.79%)였고, 문자 구조 유형은 '문장형'이 46개(39.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표어에 포함된 핵심 단어를 분석한 결과 '도서관'이 포함된 것이 111개(96.52%)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도서관 주간 표어는 '도서관'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한글 문자'로 이루어진 '문장형'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도서관 주간은 1964년에 설정된 이래 2020년까지 56년 동안 이어지면서 도서관 분야의 가장 크고 중요한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한국도서관협회는 도서관 주간 홍보에 활용하기 위한 표...

      도서관 주간은 1964년에 설정된 이래 2020년까지 56년 동안 이어지면서 도서관 분야의 가장 크고 중요한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한국도서관협회는 도서관 주간 홍보에 활용하기 위한 표어를 공모 및 선정하여 포스터 제작 등에 활용하는데, 본 연구는 그 내용과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브랜딩 전략 차원에서 보다 효율적인 표어를 개발 및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도서관 주간 공식 표어로 선정된 116개의 내용을 박영준(2001)이 제안한 언어적 기법과 핵심 단어에 따라 분석했는데, 그 결과 '한글 문자'로만 이루어진 것이 103개(88.79%)였고, 문자 구조 유형은 '문장형'이 46개(39.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표어에 포함된 핵심 단어를 분석한 결과 '도서관'이 포함된 것이 111개(96.52%)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도서관 주간 표어는 '도서관'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한글 문자'로 이루어진 '문장형'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도서관협회 홈페이지"

      2 박영환, "표어의 형태와 의미" 24-25 : 173-186, 1984

      3 권순희, "표어의 긍정·부정적 표현을 통한 표현 교육 방향" 국어교육학회 (32) : 129-172, 2008

      4 권익수, "표어에 대한 개념적 혼성 분석: “5분 먼저 가려다 50년 먼저 간다”" 담화·인지언어학회 20 (20): 1-20, 2013

      5 한성일, "표어(標語)의 응결성에 대한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7 : 137-162, 2009

      6 이희복, "우리나라 도시 브랜드의 슬로건 분석 - 광역시와 일반시의 비교 -" 한국OOH광고학회 7 (7): 25-50, 2010

      7 한국도서관협회, "알림자료 : 도서관 주간의 의의와 역사" 51 (51): 76-80, 2010

      8 장인봉, "신문 광고 슬로건에 나타난 언어 현상 연구 : 우리나라 일간지 광고의 기호학적 접근" 38 (38): 413-445, 1999

      9 이만수, "독서에 관한 표어 조사 분석 - 독서의 달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5 (35): 105-127, 2004

      10 이만수, "도서관에 관한 표어 조사 분석 - 도서관 주간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6 (36): 169-188, 2005

      1 "한국도서관협회 홈페이지"

      2 박영환, "표어의 형태와 의미" 24-25 : 173-186, 1984

      3 권순희, "표어의 긍정·부정적 표현을 통한 표현 교육 방향" 국어교육학회 (32) : 129-172, 2008

      4 권익수, "표어에 대한 개념적 혼성 분석: “5분 먼저 가려다 50년 먼저 간다”" 담화·인지언어학회 20 (20): 1-20, 2013

      5 한성일, "표어(標語)의 응결성에 대한 연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7 : 137-162, 2009

      6 이희복, "우리나라 도시 브랜드의 슬로건 분석 - 광역시와 일반시의 비교 -" 한국OOH광고학회 7 (7): 25-50, 2010

      7 한국도서관협회, "알림자료 : 도서관 주간의 의의와 역사" 51 (51): 76-80, 2010

      8 장인봉, "신문 광고 슬로건에 나타난 언어 현상 연구 : 우리나라 일간지 광고의 기호학적 접근" 38 (38): 413-445, 1999

      9 이만수, "독서에 관한 표어 조사 분석 - 독서의 달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5 (35): 105-127, 2004

      10 이만수, "도서관에 관한 표어 조사 분석 - 도서관 주간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6 (36): 169-188, 2005

      11 권윤경, "대학의 슬로건 개발과 활용 방안"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8 (8): 517-526, 2008

      12 박영준, "기업 슬로건의 언어적 기법에 대한 분석" 이중언어학회 (19) : 273-298, 2001

      13 강은정, "공공기관 홍보에 관한 인식 연구 : 내부 홍보 담당자 대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2

      14 Walton, 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Library Management 5: Branding" 29 (29): 770-776, 2008

      15 Denton, R. E. Jr, "The Rhetorical Functions of Slogans : Classifications and Characteristics" 28 (28): 10-18, 1980

      16 "Interbrand Home Page"

      17 Harriff, S., "Branding of UK Public Libraries" 32 (32): 346-360,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