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1980 down to this day, remarkable Neolithic Cultural Site is discovered in and around Liao River valley. Especially, the Neolithic Age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B.C. 4500-B.C. 3000) give a shock to Chinese historians. Because the latter half...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rom 1980 down to this day, remarkable Neolithic Cultural Site is discovered in and around Liao River valley. Especially, the Neolithic Age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B.C. 4500-B.C. 3000) give a shock to Chinese historians. Because the latter half...
From 1980 down to this day, remarkable Neolithic Cultural Site is discovered in and around Liao River valley. Especially, the Neolithic Age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B.C. 4500-B.C. 3000) give a shock to Chinese historians. Because the latter half of Hongshan Culture(B.C. 3500-B.C. 3000) 'Niuheliang(牛河梁)' site is regarded as an 'early ancient State stage culture'. Niuheliang Hongshan Cultural Site have all conditions to be a state some 5500 years ago.
After discovery of Niuheliang Hongshan Cultural Site, China set to work a series of Chinese national projects on history. After that Chinese historians start to use the concept of 'Liao River Civilization(遼河文明)'.
Now a days in China, 'The unified Nation State Theory(統一的多民族國家論)' is united with ‘The Doctrine of Liao River Civilization(遼河文明論)’. On that account Chinese scholars presently insist that, (1) Chinese Civilization is started around 'Liao River valley', (2) all the minority nations around 'Liao River valley' is a descendant of legendary emperor 'Huang-di ethnic group'(黃帝族) from the beginning, (3) the leaders of Liao River Civilization are legendary emperor Zhuan-xu(顓頊) and Di-ku(帝嚳) who are descendants of 'Huang-di(黃帝)' according to Chinese myth, (4) all the minority nation's histories around 'Liao River valley' are 'Chinese history' from the beginning.
The origin of ‘Stone statues’ around Mongolia, Central Asia, and Southern Siberia ascend to the Bronze Age while quite a few similar stone statues have been found all through the Neolithic Age cultural sites of the Liao River Civilization(遼河文明).
In this paper, I focused myself on ‘Stone statues’ found in the Liao River Civilization. Around the Liao River Civilization cultural sites, many ‘Stone Statues’ in the Neolithic Age have been found at the sites of (1) Xinglongwa Culture(興隆洼文化: B.C. 6200- B.C. 5200), (2) Zhaobaogou Culture(趙寶溝文化: B.C. 5000- B.C. 4400), (3) and Hongshan Culture(紅山文化: B.C. 4500-B.C. 3000), comparing these stone statues with those of Mongolia.
As a conclusion, I would like to confirm that ‘Stone Statues’ in Mongolia originated from those found at the very Neolithic Age sites of the Liao River Civiliz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우실하, "「천부경」, 「삼일신고」의 수리체계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국학연구원 1 : 35-101, 2006
2 우실하, "통일적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적용" 고구려발해학회 29 : 63-86, 2007
3 우실하, "최초의 태극 관념은 음양태극이 아니라 삼태극/삼원태극이었다" 동양사회사상학회 8 : 5-38, 2003
4 우실하, "최근 중국의 역사관련 국가 공정들과한국의 과제" 고조선단군학회 12 : 297-330, 2005
5 우실하,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에 대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205-237, 2006
6 데. 바이에르, "몽골석인상의 연구" 혜안 1994
7 우실하, "몽골 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 Ⅱ : ‘구구(9·9, 九九)’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27) : 87-118, 2009
8 우실하, "몽골 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고조선단군학회 18 : 307-345, 2008
9 우실하, "동북아시아 모태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 (창간) : 225-255, 2000
10 우실하, "동북아 샤머니즘 성수(聖數:3.6.9.81)의 기원에 대하여" 고조선단군학회 10 (10): 205-240, 2004
1 우실하, "「천부경」, 「삼일신고」의 수리체계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국학연구원 1 : 35-101, 2006
2 우실하, "통일적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적용" 고구려발해학회 29 : 63-86, 2007
3 우실하, "최초의 태극 관념은 음양태극이 아니라 삼태극/삼원태극이었다" 동양사회사상학회 8 : 5-38, 2003
4 우실하, "최근 중국의 역사관련 국가 공정들과한국의 과제" 고조선단군학회 12 : 297-330, 2005
5 우실하,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에 대하여"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205-237, 2006
6 데. 바이에르, "몽골석인상의 연구" 혜안 1994
7 우실하, "몽골 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 Ⅱ : ‘구구(9·9, 九九)’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한국몽골학회 (27) : 87-118, 2009
8 우실하, "몽골 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고조선단군학회 18 : 307-345, 2008
9 우실하, "동북아시아 모태문화와 ‘3수 분화의 세계관’" (창간) : 225-255, 2000
10 우실하, "동북아 샤머니즘 성수(聖數:3.6.9.81)의 기원에 대하여" 고조선단군학회 10 (10): 205-240, 2004
11 우실하, "동북공정의 최종판 ‘요하문명론’" 고조선단군학회 15 (15): 5-36, 2006
12 우실하, "동북공정의 선행 작업과 중국의 국가 전략" 울력 2004
13 우실하, "동북공정 너머 요하문명론" 소나무 2007
14 우실하, "도교와 민족종교에 보이는 ‘3수 분화의 세계관(1-3-9-81)’" 한국도교문화학회 (24) : 99-134, 2006
15 우실하, "구구가, 구구소한도의 기원과 '3수 분화의 세계관'" 동양사회사상학회 (13) : 347-379, 2006
16 우실하, "고조선의 강역과 요하문명" 동아지도 2007
17 湯池, "試論滦平后台子出土的石雕女神像" (3) : 1994
18 劉国祥, "西辽河流域新石器时代至早期青铜时代考古学文化概論" (1) : 2006
19 額日很巴圖, "蒙古人的石像" 內蒙古人民出版社 2006
20 劉國祥, "興隆洼文化居室葬俗及相關問題" (1) : 1997
21 陆思니, "红山文化裸体女神像的神话考察" (3) : 1993
22 于建設, "紅山玉器" 遠方出版社 2004
23 內蒙古自治區文物考古硏究所, "白音長汗: 新石器時代遺址發掘報告(下)" 科學出版社 2004
24 曲石, "我国新石器时代雕塑人像的研究" (1) : 1989
25 郭大順, "序言: ‘遼河文明’ 解 in遼河文明展 文物集萃" 遼寧省文物考古硏究所 2006
26 李锦山, "史前生殖崇拜及其信仰" (2) : 2004
27 刘国祥, "兴隆洼文化居室葬俗再认识" (1) : 2003
28 우실하, "‘요하문명론’의 초기 전개 과정에 대한 연구" 고조선단군학회 21 : 273-309, 2009
29 쉐르(Я.А.ШЕР), "КАМЕННЫЕ ИЗВАЯНИЯ СЕМИРЕЧБЯ(시에미리에 치야의 석인상)" 모스크바-레닌그라드. 1966
30 "www.nmkgyjs.com"
31 "http://www.npm.gov.tw"
Economic Cooperation since 1990 between Korea and Mongolia: An Evaluation and Prospects
Эртний түрэг, уйгурын үеийн зарим нэр, цолыг зөв бичих тухай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3-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KAFMS -> KAMS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2-2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Mongolian Studies -> TKAFMS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3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33 | 0.501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