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각 16명씩의 건청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의 낱말위치, 조음방법, 조음위치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를 실시하여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24587
2006
-
370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56-71(1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각 16명씩의 건청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의 낱말위치, 조음방법, 조음위치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를 실시하여 인...
본 연구에서는 각 16명씩의 건청과 인공와우이식아동의 낱말위치, 조음방법, 조음위치에 따른 자음정확도와 음운변동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를 실시하여 인동와우이식아동과 자음정확도가 일치하는 건청 아동을 모집하고 낱말위치별, 조음방법별, 조음위치별 정확도를 각각 비교하였다. 음운변동은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과 건청아동 집단에서 각 음운변동을 2회 이상 보인 아동 수와 출현빈도를 비교하고, 발달적 음운변동과 비발달적 음운변동을 보인 아동 수와 출현빈도를 비교하였다. 자음정확도에 따른 비교는 평균 자음정확도가 일치하는 인공와우이식아동과 건청아동을 80%의 전체 자음정확도를 기준으로 자음정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 발달적 음운변동과 비발달적 음운변동의 출현율을 비교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 및 해석은 다음과 같다. 자음정확도 비교는 조음방법 중 마찰음에서 인공와우이식아동이 건청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음운변동 비교에서 건청아동은 긴장음화에서 유의하게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반면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은 긴장음과 대립되는 이완음화가 높은 출현 빈도를 보였다. 집단 간 음운변동 비교에서 건청아동 집단이 비발달적 음운변동을 거의 나타내지 않은 반면,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은 초성생략, 이완음화, 성문음화, 탈비음화 등의 비발달적 음운변동이 나타났으며, 인공와우이식아동 집단에서도 자음정확도가 낮은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PCC) and phonological processes according to sound position within a word, manner of articulation, and place of articulation comparing normal children with children with cochlear imp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PCC) and phonological processes according to sound position within a word, manner of articulation, and place of articulation comparing normal children with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CI). Sixteen children with CI for more than one year and 16 normal children with consistent PCC were examined using the ‘Korean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 The number of children with phonological processes more than twice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n terms of phonological processes were investigated between the CI and the normal children. Also, the numb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or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n terms of phonological process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Each subject group of CI and normal children with consistent average PCC were further divided into two sub-groups: one with PCC above 80% and the other with PCC under 80%. Then, the 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an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of these groups were subsequently compared. From a comparison of PCC, the CI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CC than the normal children in fricatives. From a comparison of phonological processes, the normal children significantly had higher frequency of tensing while the CI children had higher frequency of laxing, which is in contrast to tensing. From a comparison of phonological processes between the groups, the normal children rarely showed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while the CI children showed various processes such as the omission of the initial syllable, lenition, glottalization, and denasalization.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CI and low PCC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non-developmental phonological processes.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성옥, "청각장애아의 조음특성에 관한 연구" 1986
2 윤미선, "청각장애아의 말,언어 특성. 2004 언어,청능치료 겨울연수회" 세종대학교 2004
3 정현경, "청각장애 아동과 기능적음운장애 아동의 음운오류 비교" 한림대학교 2003
4 김영태, "조음음운발달 및 장애. 의사소통장애개론" 하나출판사 2001
5 김민정, "조음음운능력의 평가. 2005 언어장애 겨울연수회" 서울대학교 2005b
6 김화미, "인공와우 이식수술 아동의 음운변동" 2001
7 이승환, "언어치료전문인을 위한 음향음성학 언어치료전문인을 위한 청각학" 군자출판사 1994
8 김민정,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의 개발" 2005a
9 신지영, "말소리의 이해: 음성학,음운론 연구의 기초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0
10 이준자, "달팽이관 수술 후의 언어재활 언어치료전문인을 위한 청각학" 군자출판사 1994
1 원성옥, "청각장애아의 조음특성에 관한 연구" 1986
2 윤미선, "청각장애아의 말,언어 특성. 2004 언어,청능치료 겨울연수회" 세종대학교 2004
3 정현경, "청각장애 아동과 기능적음운장애 아동의 음운오류 비교" 한림대학교 2003
4 김영태, "조음음운발달 및 장애. 의사소통장애개론" 하나출판사 2001
5 김민정, "조음음운능력의 평가. 2005 언어장애 겨울연수회" 서울대학교 2005b
6 김화미, "인공와우 이식수술 아동의 음운변동" 2001
7 이승환, "언어치료전문인을 위한 음향음성학 언어치료전문인을 위한 청각학" 군자출판사 1994
8 김민정, "아동용 한국어 조음검사의 개발" 2005a
9 신지영, "말소리의 이해: 음성학,음운론 연구의 기초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0
10 이준자, "달팽이관 수술 후의 언어재활 언어치료전문인을 위한 청각학" 군자출판사 1994
11 Lowe,R.J, "Workbook for the identification of phonological process and distinctive features" PRO-ED 2002
12 Dowell, "Speech recognition for 40 patients receiving multi-channel cochlear implants Archives of Otolaryngology" 1054-1059, 1986
13 Hudson,B, "Phonological process which characterize unintelligible and intelligible speech in early childhood" 46 : 369-373, 1981
14 Blamey, P. J, "Phonetic inventory development in young cochlear implant users 6 years post-operation" 44 : 3-79, 2001
15 Elfenbein, "Or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ho are hard of hearing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216-26, 1994
16 Geers, A, "Factor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speech perception skills in children implanted by age five" 24 : 24-35, 2003
17 Meline,T, "Description of phonological patterns for nineteen elementary-age children with hearing loss" 87 : 643-653, 1997
18 Owens, "Consonants errors and remediation in sensorineural hearing los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331-347, 1978
19 Fryaut-Bertschy, H, "Cochlear implant use by prelingually deafened children: The influences of age at implant and length of device use" 40 (40): 183-199, 1997
20 Chin, S. B, "Children’s consonant inventories after extended cochlear implant use" 46 : 849-862, 2003
21 Bernthal, J. E,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5th ed.)" Allyn & Bacon 2004
이야기 다시말하기(story-retelling) 과제를 통한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이야기 능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13-03-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 |
2012-12-1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7-06-25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 ![]() |
2006-09-1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 |
2005-10-1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8 | 1.62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