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우하우스의 창조적 디자인 개념과 청소년을 위한 기초조형 교육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86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범위 및 방법
      • Ⅲ. 바우하우스의 역사적 배경과 바우하우스 교육체계의 미학적 기본이념
      • 1. 바우하우스의 역사적 배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범위 및 방법
      • Ⅲ. 바우하우스의 역사적 배경과 바우하우스 교육체계의 미학적 기본이념
      • 1. 바우하우스의 역사적 배경
      • 2. 바우하우스 교육체계의 미학적 기본이념
      • Ⅳ. 바우하우스 교육체계
      • 1. Johannes Itten
      • 2. Laszlo Moholy-Nagy
      • 3. Joseph Albers
      • 4. Paul Klee
      • 5. Wassily Kandinsky
      • 6. 개별 마이스터들의 교육목표, 작업목표, 방법론 및 교육적 실천
      • V. 바우하우스의 ‘창조적 예술조형’ 이념과 그 현재적 의미
      • VI.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andinsky, W., "Ü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1970

      2 Nietzsche, F., "Zur Genealogie der Moral – Eine Streitschrift" 1980

      3 Albers, J., "Werklicher Formunterricht" 2 (2): 1928

      4 Schiemann, G., "Wahrheitsgewissheitsverlust:Hermann von Helmholtz' Mechanismus im Anbruch der Moderne" 1997

      5 Moholy-Nagy, L., "Von Material zu Architektur" 1929

      6 Moholy-Nagy, L., "Vision in Motion" Paul Theobald and Company 1965

      7 Mirzoeff, N., "The Visual Culture Reader" Routledge 2002

      8 Klee, P., "Staatliches Bauhaus Weimar 1919-1923" 1923

      9 Kandinsky, W., "Staatliches Bauhaus Weimar 1919-1923" 1990

      10 Kandinsky, W., "Staatliches Bauhaus Weimar 1919-1923" 1990

      1 Kandinsky, W., "Ü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1970

      2 Nietzsche, F., "Zur Genealogie der Moral – Eine Streitschrift" 1980

      3 Albers, J., "Werklicher Formunterricht" 2 (2): 1928

      4 Schiemann, G., "Wahrheitsgewissheitsverlust:Hermann von Helmholtz' Mechanismus im Anbruch der Moderne" 1997

      5 Moholy-Nagy, L., "Von Material zu Architektur" 1929

      6 Moholy-Nagy, L., "Vision in Motion" Paul Theobald and Company 1965

      7 Mirzoeff, N., "The Visual Culture Reader" Routledge 2002

      8 Klee, P., "Staatliches Bauhaus Weimar 1919-1923" 1923

      9 Kandinsky, W., "Staatliches Bauhaus Weimar 1919-1923" 1990

      10 Kandinsky, W., "Staatliches Bauhaus Weimar 1919-1923" 1990

      11 Kandinsky, W., "Rückblick" 1955

      12 Koffka, K., "Perception: An introduction to the Gestalt-theorie" 1922

      13 Hausmann, R., "PRÉsentismus" 1921

      14 Itten, J., "Mein Vorkurs am Bauhaus. Gestaltungs- und Formlehre" 1963

      15 Moholy-Nagy, S., "Laszlo Moholy-Nagy – ein Totalexperiment" 1972

      16 Herzogenrath, W., "Josef Albers und der >Vorkurs< am Bauhaus 1919 - 1933" 1979

      17 Wissmann, J., "Josef Albers" 1971

      18 Lipps, T., "Grundlegung der Ästhetik" 1914

      19 Köhler, W., "Gestalt psychology" 1929

      20 Helmholtz, H. v., "Die Lehre von den Tonempfindungen als physiologische Grundlage für die Theorie der Musik" Friedrich Vieweg &Sohn 1863

      21 Mach, E., "Die Analyse der Empfindungen und das Verhältnis der Physischen zum Psychischen" 1900

      22 Kandinsky, W., "Der Wert des theoretischen Unterrichts in der Malerei" 1926

      23 Fiedler, K., "Der Ursprung der künstlerischen Thätigkeit" Leipzig 1887

      24 Mösser, A., "Das Problem der Bewegung bei Paul Klee" 1976

      25 Klee, P., "Beiträge zur bildnerischen Formenlehre" 1979

      26 Wick, R., "Bauhaus Pädagogik" DuMont Buchverlag 1982

      27 Albers, J., "Bauhaus 1919-1928" Katalogbuch 1938

      28 Gropius, I., "Bauhaus 1919-1928" Teufen 19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논문집 청소년시설환경 -> 청소년시설환경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8 1.094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