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Burnout of General Hospital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burnout of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0 nurses from three general hospital in B city.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4.0. Results: Mean scores for each category were 3.98(7) for burnout, 3.40(5) for emotional labor, and 3.71(5) for occupational stress. The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at emotional labor(β=.44, p<.001) and type of working(β=.19, p=.006) predict 20.9%(F=24.68, p<.001) in burnout of general hospital nurses. Conclus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to reduce nurses emotional labor.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burnout of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0 nurses from three general hospital in B city. Data were analysed u...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and occupational stress on burnout of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0 nurses from three general hospital in B city.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4.0. Results: Mean scores for each category were 3.98(7) for burnout, 3.40(5) for emotional labor, and 3.71(5) for occupational stress. The result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at emotional labor(β=.44, p<.001) and type of working(β=.19, p=.006) predict 20.9%(F=24.68, p<.001) in burnout of general hospital nurses. Conclus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to reduce nurses emotional lab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B광역시 소재 3개 종합병원의 간호사 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one 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단계별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소진은 3.98점(7점만점), 감정노동 3.40점(5점만점), 직무스트레스 3.71점(5점만점)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결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정노동(β=.44, p<.001), 근무형태(β=.19, p=.00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0.9%(F=24.68,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근무형태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B광역시 소재 3개 종합병원의 간호사 180명...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소진의 정도를 파악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수집은 B광역시 소재 3개 종합병원의 간호사 1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one 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단계별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사의 소진은 3.98점(7점만점), 감정노동 3.40점(5점만점), 직무스트레스 3.71점(5점만점)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결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정노동(β=.44, p<.001), 근무형태(β=.19, p=.00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0.9%(F=24.68,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감정노동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근무형태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형인,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 고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57-491, 2011

      2 백지윤, "직무만족도에 따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다중집단경로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7 (47): 770-780, 2017

      3 김유미,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078-5090, 2013

      4 고영주,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245-2256, 2016

      5 김종경, "종합병원의 간호업무환경이 간호사의 직무배태성,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0 (20): 69-81, 2014

      6 박희숙,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 25 (25): 136-145, 2019

      7 백다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감성지능의 효과" 간호행정학회 18 (18): 271-280, 2012

      8 임현정,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55-266, 2017

      9 오윤정, "융복합 시대의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415-424, 2015

      10 김영모, "아동보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13 : 1-43, 1998

      1 박형인,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 고찰"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4 (24): 457-491, 2011

      2 백지윤, "직무만족도에 따른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정부조화,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다중집단경로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7 (47): 770-780, 2017

      3 김유미, "중소병원 간호사의 경력정체, 자기효능감,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5078-5090, 2013

      4 고영주,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245-2256, 2016

      5 김종경, "종합병원의 간호업무환경이 간호사의 직무배태성,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0 (20): 69-81, 2014

      6 박희숙,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업무성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간호행정학회 25 (25): 136-145, 2019

      7 백다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감성지능의 효과" 간호행정학회 18 (18): 271-280, 2012

      8 임현정,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가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55-266, 2017

      9 오윤정, "융복합 시대의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415-424, 2015

      10 김영모, "아동보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13 : 1-43, 1998

      11 조영경,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이직에 관한 구조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12 최혜윤,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279-300, 2003

      13 병원간호사회, "병원간호사회 사업보고서: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16

      14 최명이, "병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윤리적 딜레마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26 (26): 42-51, 2019

      15 김영수, "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소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40 (40): 75-88, 2014

      16 박정화, "대학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236-244, 2016

      17 강희순, "기혼여성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206-217, 2017

      18 정명숙, "감정노동과 상사의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병원경영학회 11 (11): 1-18, 2006

      19 김매자,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14 (14): 28-37, 1984

      20 장문정,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간호사가 지각한 수간호사의 감성리더십의 매개효과" 간호행정학회 21 (21): 133-141, 2015

      21 김세향, "간호사의 이직의도,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20 (20): 332-341, 2014

      22 이은연, "간호사의 감정노동, 피로 및 근골격계 통증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351-359, 2017

      23 이승영,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27 (27): 215-223, 2019

      24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간호사 활동 현황 실태조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4

      25 Maslach, C.,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2 (2): 99-113, 1981

      26 Morris, J. A., "The dimension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21): 986-1010, 1996

      27 Maslach, C., "Prevention of burnout : New perspectives" 7 (7): 63-74, 1998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Health Workforce Alliance. Global health workforce crisis: Key message"

      29 Hülsheger, U. R., "Emotional labor, strain, and performance : Testing reciprocal relationships in a longitudinal panel study" 15 (15): 505-521, 2010

      30 Franco, M., "Cybernetic theory as a new approach to studying workers’ well-being" (12) : 163-198, 2010

      31 Byeon, Y. S., "Clinical nursing competency for new graduate nurses-A grounded theory approach" 10 (10): 47-56,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