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목적은 대학생활적응능력(다양성, 회복탄력성, 공감)을 고려하면서 기독교 대학 성서 교양 필수 과목 개발을 위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내외 기독교 대학들이 설립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목적은 대학생활적응능력(다양성, 회복탄력성, 공감)을 고려하면서 기독교 대학 성서 교양 필수 과목 개발을 위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내외 기독교 대학들이 설립 ...
본 논문은 목적은 대학생활적응능력(다양성, 회복탄력성, 공감)을 고려하면서 기독교 대학 성서 교양 필수 과목 개발을 위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내외 기독교 대학들이 설립 정신과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개설하는 성서 혹은 기독교 관련 필수 과목들은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 이러한 위기는 대학 내에서 종교교육과 거리를 두려는 세속화와 전통적인 종교에 무관심하고, 개인의 자유와 다양성을 강조하는 변화된 대학생들의 문화에 기인한다. 그동안 연구자들은 기독교 대학 종교 관련 교양 교육이 맞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단순하고 일방적인 성서의 내용과 기독교 교리를 전달하는 교육 목표를 지양하라고 조언해 왔다. 이는 학습 수요자들인 대학생들의 이해와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학습 커리큘럼을 개발하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선행 연구를 수용하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크게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하고자 한다. 대학생활적응능력 중에서 다양성, 회복탄력성, 공감 능력에 관한 이론을 설명하고, 한신대학교 성서 수업에 참여하는 재학생 199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기독교 대학 성서 교과 개발을 위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lternatives to mandatory Bible courses at Christian universities, considering university students’ abilities for diversity, resilience, and empathy. Christian Universities have offered Christianity-related c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lternatives to mandatory Bible courses at Christian universities, considering university students’ abilities for diversity, resilience, and empathy. Christian Universities have offered Christianity-related courses for their students in order to teach founding values. However, the universities are facing a crisis. This crisis stems from secularization, distance religious education, and the changed culture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different to traditional religions and emphasize their individual freedom and diversity. In order to overcome these issues facing liberal arts education related to religion at Christian universities, scholars have claimed that the educational goals of simply delivering Bible content and Christian doctrine unilaterally should be avoided. They argue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a direction fulfilling the understanding and demands of student learners. While accepting such preceding research,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the situation of students facing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iversity life, difficulties that have greatly increased in the wake of the COVID-19 pandemic. The theories regarding diversity, resilience, and empathy emphasizing the adaptive abil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ll be explained. In addition, reflecting the learners’ demands based on survey results from 199 enrolled students taking Bible courses at Hanshin University, this paper will suggest an alternative for developing a curriculum for mandatory Bible courses.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열 ; 김민규 ;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3 이진구, "한국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 나타난 종교자유 논쟁: 개종주의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학회 29 (29): 134-167, 2016
4 유부미, "천안캠퍼스 남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실태조사" 18 : 29-54, 2004
5 김동기, "종교인들의 심리적 안영감(행복)에 대한 종교적 내재성 및 종교정향의 상호작용 연구 - 개신교, 불교, 천주교를 중심으로" 한국종교학회 (39) : 107-134, 2005
6 송정애 ; 장정순,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5 (15): 119-144, 2010
7 신영헌,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교양수업이 수강생들의 글로벌시민의식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문화다양성과 문화간 대화> 수업을 중심으로"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3) : 143-168, 2023
8 김소영 ; 김현지 ; 이상수, "사회정서역량과 회복탄력성이학교 적응과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77-494, 2018
9 김주덕,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대학 및 대학원생의 다양성 수용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전공과 타전공의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10 김주희, "불안정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1 신우열 ; 김민규 ;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3 이진구, "한국 개신교사학의 종교교육 공간에 나타난 종교자유 논쟁: 개종주의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학회 29 (29): 134-167, 2016
4 유부미, "천안캠퍼스 남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실태조사" 18 : 29-54, 2004
5 김동기, "종교인들의 심리적 안영감(행복)에 대한 종교적 내재성 및 종교정향의 상호작용 연구 - 개신교, 불교, 천주교를 중심으로" 한국종교학회 (39) : 107-134, 2005
6 송정애 ; 장정순,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가족기능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5 (15): 119-144, 2010
7 신영헌,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교양수업이 수강생들의 글로벌시민의식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문화다양성과 문화간 대화> 수업을 중심으로"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3) : 143-168, 2023
8 김소영 ; 김현지 ; 이상수, "사회정서역량과 회복탄력성이학교 적응과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77-494, 2018
9 김주덕,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대학 및 대학원생의 다양성 수용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전공과 타전공의 비교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10 김주희, "불안정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11 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위원회, "대학혁신지원사업 2023 평화교양대학 교양과정 개편방안 연구 결과보고서" 38-, 2023
12 이효산, "대학생이 지각한 낙관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9
13 박양신 ; 장성호,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공감능력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346-356, 2018
14 정은이, "대학생의 자기 주도성과 대학 적응의 관계에서 다양성 수용도 및 진로 역량의 매개 효과" 한국교육방법학회 28 (28): 651-679, 2016
15 이서연, "대학생의 공감과 대학생활 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에서 사회정서역량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16 김현수, "다문화, 다인종 사회에서의 정체성 문제: 디트리히 본회퍼의 “폴리포니”를 중심으로" 신학사상연구소 (150) : 217-247, 2010
17 나현기 ; 강은미, "기독교 대학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 ― 한신대학교 교목실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신학사상연구소 (194) : 197-225, 2021
18 김현숙,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도에 미치는 영향 -무용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36 : 1-20, 2003
19 고려대학교 다양성위원회, "고려대학교 다양성보고서 : 대학교육과 다양성" 민영 2021
20 신은희, "감정과 공감의 누미노제: ‘한국적 공감 신학’을 향하여" 신학사상연구소 (173) : 199-234, 2016
21 김은희 ; 김인주,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 (12): 2183-2196, 2021
22 김미영 ; 강은희 ; 박효진,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83-294, 2021
23 Schneider, M. E., "The role of ethnic identific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Latinos’ adjustment to college" 25 : 539-554, 2003
24 Baker, R. W.,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9
25 Corra, David, "Social adjustment and dynamics of segregation in higher education-Scrutinising the role of open-mindedness and empathy" 84 : 12-26, 2021
26 Rutter, M., "Resilience in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to psychiatric disorder" 147 : 598-611, 1985
27 Possamai, Adam, "Religious and spirituality diversity at a multi-campus suburban university: what type of need for chaplaincy?" 31 (31): 355-366, 2009
28 Mayrl, Damonl, "Religion and Higher Education: Current Knowledg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48 (48): 263-, 2009
29 Stueber, Karsten R., "Rediscovering Empathy: Agency, Folk Psychology and the Human Sciences" The MIT Press 2006
30 Marger, Martin N., "Race and Ethnic Relations : American and Global Perspectives" Wadsworth 2009
31 Denckla, Christy A., "Psychological resilience: an update on definitions, a critical appraisal, and research recommendations" 11 : 1-18, 2020
32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33 Zembylas, M., "Pedagogies of strategic empathy : navigating through the emotional complexities of anti-racism in higher education" 17 (17): 113-125, 2012
34 Baker, R. W.,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 (31): 179-189,
35 Cox, H. T., "Managing cultural diversity :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competitiveness" 5 (5): 45-65, 1991
36 Briese, Russell, "I’m not religious, but I am spiritual: Inclusive university chaplaincy" 48 : 49-57, 2016
37 McDonald, S. D., "Interracial social comfort and its relationship to adjustment to college" 76 : 130-141,
38 Pavlacic, Jeffrey, "Increasing Psychological Resilience in Graduate programs and academic medical settings: Developing a multimod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model" 1-12, 2023
39 Baker, R. W., "Exploratory Intervention with a Scale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3 (33):
40 Brook, David, "Diversity in the university sector : can an alliance protect it?" 31 (31): 7-24, 2000
41 Jolliffe, 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asic Empathy Scale" 29 (29): 589-611, 2006
42 Bosman, Lisa, "Applying empathy-driven participatory research methods to higher education new degree development" 47 (47): 17-24, 2019
43 최성훈, "4차 산업혁명의 도전과 기독교 대학의 교양과목 운영전략"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67) : 199-225, 2020
44 정효주 ; 정향인,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간호학회 21 (21): 188-196, 2012
45 한신대학교, "2021-22학년도 한신대학교 요람" 한신대학교 출판부 2022
자립 노숙인의 영성 체험 연구 ― 영성적 사회복지 실천의 관점으로
윌리암 마틴(W.A.P. Martin)의 『천도소원』(天道溯原)에 나타난 자연신학 변증 연구
신학적 윤리 판단 형성 과정의 이해 ― ‘은둔형 외톨이’의 예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