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학적 윤리 판단 형성 과정의 이해 ― ‘은둔형 외톨이’의 예를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Theological-Ethical Judgment Formation Process — Focusing on the Example of ‘Hikikomor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73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어떤 행위가 윤리적으로 선하고 옳은지, 또는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척도, 판단 기준 그리고 원리를 세우고, 그 유효성을 제시하는 신학적 윤리적 판단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윤리적 판단 형성 과정에 대한 개념 이해부터 동기와 목적 그리고 간략한 역사를 독일어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최근에 윤리적 판단 형성 과정을 기술한 로이터의 이론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로이터가 생각하는 윤리 이해와 판단 형성 과정에 대한 4단계를 차례대로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로이터가 제시한 판단 형성 과정의 4단계를 근거로 해서 ‘은둔형 외톨이’의 현상을 살펴보았다. 판단 형성 이론에 따른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문제를 다루다 보니 이 현상에 대한 모든 면을 다룰 수 없었다. 단지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관점에 차이에 대해서 다루었고, 또한 ‘은둔형 외톨이’는 잠재적 사회 범죄자 그룹을 양산하는 사람들이다’라고 주장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다는 대립된 주장에 대해서만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판단 형성 과정의 논의를 통해 드러난 결과들을 근거로 한국 교회에 주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는 신학적 윤리 판단 형성 과정은 현대 사회에 일어나는 윤리적 갈등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메타윤리적 전략과 방법임을 논의하였다. 두 번째는 그것은 윤리적 판단 형성 과정이 한 번에 끝나는 것이 계속적인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이것은 어떻게 하면 지금보다 더 타당하고 합리적인 판단에 이르고자 하는 노력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동시에 또 다른 윤리적 주체들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길이 열어준다는 점이다. 결국 이 계속되는 과정은 윤리적 주체들 간의 소통과 이해를 가짐으로 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리적 주체들로 하여금 윤리적으로 가장 타당한 판단으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은둔형 외톨이’의 문제는 사회가 발전하면 할수록 결코 외면할 수 없는 사회적 현실이라는 것을 모두 인식해야 한다. 그래서 공동체는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이들을 배제가 아니라 포용으로 돌보고 배려할 수 있는 전략들을 계속해서 수립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이것이 지속 가능한 사회로 나아가는 길이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어떤 행위가 윤리적으로 선하고 옳은지, 또는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척도, 판단 기준 그리고 원리를 세우고, 그 유효성을 제시하는 신학적 윤리적 판단 형성 과정을 ...

      이 논문은 어떤 행위가 윤리적으로 선하고 옳은지, 또는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척도, 판단 기준 그리고 원리를 세우고, 그 유효성을 제시하는 신학적 윤리적 판단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윤리적 판단 형성 과정에 대한 개념 이해부터 동기와 목적 그리고 간략한 역사를 독일어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최근에 윤리적 판단 형성 과정을 기술한 로이터의 이론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로이터가 생각하는 윤리 이해와 판단 형성 과정에 대한 4단계를 차례대로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로이터가 제시한 판단 형성 과정의 4단계를 근거로 해서 ‘은둔형 외톨이’의 현상을 살펴보았다. 판단 형성 이론에 따른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문제를 다루다 보니 이 현상에 대한 모든 면을 다룰 수 없었다. 단지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관점에 차이에 대해서 다루었고, 또한 ‘은둔형 외톨이’는 잠재적 사회 범죄자 그룹을 양산하는 사람들이다’라고 주장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다는 대립된 주장에 대해서만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판단 형성 과정의 논의를 통해 드러난 결과들을 근거로 한국 교회에 주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먼저는 신학적 윤리 판단 형성 과정은 현대 사회에 일어나는 윤리적 갈등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메타윤리적 전략과 방법임을 논의하였다. 두 번째는 그것은 윤리적 판단 형성 과정이 한 번에 끝나는 것이 계속적인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이것은 어떻게 하면 지금보다 더 타당하고 합리적인 판단에 이르고자 하는 노력임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동시에 또 다른 윤리적 주체들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론적인 길이 열어준다는 점이다. 결국 이 계속되는 과정은 윤리적 주체들 간의 소통과 이해를 가짐으로 사회 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윤리적 주체들로 하여금 윤리적으로 가장 타당한 판단으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은둔형 외톨이’의 문제는 사회가 발전하면 할수록 결코 외면할 수 없는 사회적 현실이라는 것을 모두 인식해야 한다. 그래서 공동체는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이들을 배제가 아니라 포용으로 돌보고 배려할 수 있는 전략들을 계속해서 수립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이것이 지속 가능한 사회로 나아가는 길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theological and ethical judgment formation process that establishes standards, judgment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whether an action is ethically good and right, or worth the effort, and presents its validity.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ethical judgment formation process, its motivation and purpose, and provided a brief history, focusing on the German-speaking world. Then, we describe in detail Reuter’s theory that recently described the process of forming ethical judgments. Reuters presents in detail the four stages of ethical understanding and judgment formation. Finally, we looked at the phenomenon of ‘reclusive loners’ based on the four stages of the judgment formation process presented by Reuters. While dealing with the issue of Hikikomori according to judgment formation theory, it was not possible to cover all aspects of this phenomenon. This case only dealt with the differences in personal ethics and social ethics perspectives, and also described only the conflicting claims of those who claim that ‘Hikikomori’ are people who create a group of potential social criminals’ and those who do not.
      Lastly, we looked at the meaning for the Korean church based on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discussion of all judgment formation processes. First, it was discussed that the theological ethical judgment formation process is a metaethical strategy and method that can effectively resolve ethical conflict situations that occur in modern society. Second, the process of forming ethical judgment is not a one-time process, but progresses as a continuous process, and that this is an effort to arrive at a more valid and reasonable judgment. And at the same time, it opens a methodological path to understanding other ethical subjects. Ultimately, this ongoing process can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by enabling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ethical subjects. This is because it can guide ethical subjects to the most ethically sound judgment. Lastly, we must all recognize that the problem of Hikikomori is a social reality that cannot be ignored as society develops. Therefore, based on this awareness, the community must continue to establish and develop strategies to care for and consider these people by including them rather than excluding them. This is because this is the path to a sustainable society.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theological and ethical judgment formation process that establishes standards, judgment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whether an action is ethically good and right, or worth the effort, and presents its validity. To this end, w...

      This paper examines the theological and ethical judgment formation process that establishes standards, judgment standards, and principles for whether an action is ethically good and right, or worth the effort, and presents its validity.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ethical judgment formation process, its motivation and purpose, and provided a brief history, focusing on the German-speaking world. Then, we describe in detail Reuter’s theory that recently described the process of forming ethical judgments. Reuters presents in detail the four stages of ethical understanding and judgment formation. Finally, we looked at the phenomenon of ‘reclusive loners’ based on the four stages of the judgment formation process presented by Reuters. While dealing with the issue of Hikikomori according to judgment formation theory, it was not possible to cover all aspects of this phenomenon. This case only dealt with the differences in personal ethics and social ethics perspectives, and also described only the conflicting claims of those who claim that ‘Hikikomori’ are people who create a group of potential social criminals’ and those who do not.
      Lastly, we looked at the meaning for the Korean church based on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discussion of all judgment formation processes. First, it was discussed that the theological ethical judgment formation process is a metaethical strategy and method that can effectively resolve ethical conflict situations that occur in modern society. Second, the process of forming ethical judgment is not a one-time process, but progresses as a continuous process, and that this is an effort to arrive at a more valid and reasonable judgment. And at the same time, it opens a methodological path to understanding other ethical subjects. Ultimately, this ongoing process can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by enabling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ethical subjects. This is because it can guide ethical subjects to the most ethically sound judgment. Lastly, we must all recognize that the problem of Hikikomori is a social reality that cannot be ignored as society develops. Therefore, based on this awareness, the community must continue to establish and develop strategies to care for and consider these people by including them rather than excluding them. This is because this is the path to a sustainable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천, "힐링목회를 위한 영성학적 힐링의 의미 고찰 - 헨리 나우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82) : 193-219, 2022

      2 김진혁, "환대와 선택: 환대의 신학을 위한 예정론의 재해석"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3 (53): 95-125, 2021

      3 조용훈, "현대 기독교윤리학의 동향" 예영커뮤니케이션 1997

      4 정근하 ; 노영희, "한국사회의 은둔형 외톨이 실태 파악의 어려움과 그 해결방안" 한국비교정부학회 26 (26): 137-158, 2022

      5 김옥순, "한국교회의 에큐메니칼 디아코니아를 위한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67) : 551-582, 2019

      6 신상목, "한국교회 트렌드 2024" 규장 2023

      7 정근하 ; 노영희, "한국과 일본의 은둔형 외톨이 은둔생활 비교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26 (26): 121-142, 2022

      8 회페, 오트프리트, "학문윤리학" 시와 진실 2013

      9 김윤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위기 극복을 위한 디아코니아적 실천 방안" 한국실천신학회 (77) : 599-630, 2021

      10 강성영 ; 이상철, "코로나19 시대의 타자의 윤리 ― 본회퍼와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살펴본 혐오 극복의 윤리학" 신학사상연구소 (194) : 127-160, 2021

      1 김수천, "힐링목회를 위한 영성학적 힐링의 의미 고찰 - 헨리 나우웬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82) : 193-219, 2022

      2 김진혁, "환대와 선택: 환대의 신학을 위한 예정론의 재해석"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53 (53): 95-125, 2021

      3 조용훈, "현대 기독교윤리학의 동향" 예영커뮤니케이션 1997

      4 정근하 ; 노영희, "한국사회의 은둔형 외톨이 실태 파악의 어려움과 그 해결방안" 한국비교정부학회 26 (26): 137-158, 2022

      5 김옥순, "한국교회의 에큐메니칼 디아코니아를 위한 방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67) : 551-582, 2019

      6 신상목, "한국교회 트렌드 2024" 규장 2023

      7 정근하 ; 노영희, "한국과 일본의 은둔형 외톨이 은둔생활 비교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26 (26): 121-142, 2022

      8 회페, 오트프리트, "학문윤리학" 시와 진실 2013

      9 김윤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위기 극복을 위한 디아코니아적 실천 방안" 한국실천신학회 (77) : 599-630, 2021

      10 강성영 ; 이상철, "코로나19 시대의 타자의 윤리 ― 본회퍼와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살펴본 혐오 극복의 윤리학" 신학사상연구소 (194) : 127-160, 2021

      11 허석헌, "코로나 시대와 교회 공동체 ― 본회퍼의 비종교적 그리스도교의 개념을 통한 코로나 시대의 교회에 대한 성찰" 신학사상연구소 (191) : 79-115, 2020

      12 노가빈 ; 이소민 ; 김제희, "청년 은둔형 외톨이의 경험과 발생원인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73 (73): 57-81, 2021

      13 정근하 ; 노영희, "지방의회 은둔형 외톨이 조례안 비교 연구 - 6개 시도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36 (36): 209-225, 2022

      14 롤스, 존, "정의론" 이학사 2006

      15 박종균, "전환시대의 기독교와 윤리" 북코리아 2014

      16 김회권, "입시 경쟁에 대한 성서적-신학적 이해: 무한경쟁주의 시대에 우리 아이들의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신학사상연구소 (140) : 69-116, 2008

      17 김영기 ; 김선희 ; 김태희 ; 민재하 ; 이경옥,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심리학 연구 분석과 철학상담의 접목가능성" 인문과학연구소 (77) : 185-218, 2023

      18 판넨베르크, 볼프하르트, "윤리학의 기초-철학적 신학적 관점" 종문화사 2022

      19 포이만, 루이스, "윤리학. 옮고 그름의 발견" 울력 2010

      20 도성달, "윤리학, 그 주제와 논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1

      21 프랑케나, 윌리엄 K., "윤리학" 철학과 현실사 2003

      22 소홍렬, "윤리와 사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23 헤를레, 빌프리트, "선의 매혹적인 힘" 북코리아 2016

      24 서울정보소통광장, "서울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

      25 차진아, "사회적 약자의 인권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약자의 유형에 따른 인권보장의 구체화방향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193-226, 2012

      26 도묘연 ; 이관률,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포용과 지역발전의 관계" 한국지방자치학회 35 (35): 1-29, 2023

      27 고재길, "본회퍼, 한국교회에 말하다" 케노시스 2012

      28 볼프, 미로슬라브, "배제와 포용"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12

      29 헬드, 버지니아, "돌봄 : 돌봄윤리" 박영사 2017

      30 박우영, "도덕적 주체 형성과 사회 참여 주체로서의 교회 이해 ― 래리 라스무센의 생명공동체를 위한 기독교윤리를 중심으로" 신학사상연구소 (197) : 257-291, 2022

      31 이상은, "다원성의 도전 속의 기독교 윤리 -현대 기독교 사회윤리의 도전으로서의 ‘다원주의’의 질문-"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41 : 206-238, 2022

      32 김현수, "다문화, 다인종 사회에서의 정체성 문제: 디트리히 본회퍼의 “폴리포니”를 중심으로" 신학사상연구소 (150) : 217-247, 2010

      33 요나스, 한스, "기술 의학 윤리" 솔출판사 2005

      34 리히, 아루투르, "경제윤리 1" 한국신학연구소 2002

      35 박찬구, "개념과 주제로 본 우리들의 윤리학" 서광사 2006

      36 김혜원, "가족, 사회, 자신을 위한 희망안내서 은둔형 외톨이" 학지사 2021

      37 Tödt, H. E., "Versuch zu Einer Theorie Ethischer Urteilsfindung" 21 : 81-93, 1977

      38 Körtner, Ulrich H.J., "Theologische Ethik und Dogmatik" 77 : 364-375, 2017

      39 Herms, Eilert, "Theologische Ethik der Gegenwart" Mohr Siebeck 2009

      40 Fischer, Johannes, "Theologische Ethik" W. Kohlhammer 2002

      41 Ross, W. D., "The Right And the Good" Oxford University Press 1930

      42 Schäfers, Michael, "Prophetische Kraft der Kirchlichen Soziallehre? Armut, Arbeit, Eigentum Und Wirtschaftskritik" Lit Verlag 1998

      43 Höffe, Otfried, "Lexikon der Ethik" C. H. Beck 2002

      44 Frey, Christofer, "Humane Erfahrung und Selbstkritische Vernunft" 22 : 200-213, 1978

      45 Reuter, Hans-Richard, "Handbuch der Evangelischen Ethik" C.H. Beck 2015

      46 Birkner, Hans-Joachim, "Handbuch der Christlichen Ethik, Vol. 1" Gütersloher Verlagshaus 1978

      47 Badura, Jens, "Handbuch Ethik" J. B. Metzler 2006

      48 Horn, Christoph, "Handbuch Ethik" J. B. Metzler 2006

      49 Heck, Alexander, "Grundkurs Theologische Ethik" Litverlag 2003

      50 Fischer, Johannes, "Grundkurs Ethik. Grundbegriffe Philosophischer und Theologischer Ethik" W. Kohlhammer 2007

      51 Herms, Eilert, "Gesellschaft Gestalten" Mohr 1991

      52 Herms, Eilert, "Evangelisches Soziallexikon" Kohlhammer 2001

      53 Körtner, Ulrich H.J., "Evangelische Sozialethik" Vandenhoeck & Ruprecht 1999

      54 Kreß, Hartmut, "Evangelische Ethik Kompakt" Gütersloher Verlagshaus 2015

      55 Rendtorff, Trutz, "Ethik. Grundelemente, Methodologie und Konkretionen Einer Ethischen Theologie. Vol. 1" Kohlhammer 1990

      56 Lange, Dietz, "Ethik in Evangelischer Perspektive. Grundfragen Christlichen Lebenspraxis" Vandenhoeck&Ruprecht 1992

      57 Bonhoeffer, Dietrich, "Eberhard Bethge and Renate Bethge in Zusammenarbeit mit Ilse Tödt" Gütersloher Verlagshaus 2015

      58 Wolter, Michael, "Das Lukasevangelium" Mohr Siebeck 2008

      59 Höffe, Otfried, "Bemerkungen zu Einer Theorie Sittlicher Urteilsfindung(H.E. Tödt)" 22 : 181-187,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